산부인과 주요 약물의 작용, 용법, 부작용 정리
본 내용은
"
산부인과 약물 정리 (산과, 부인과 개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4
문서 내 토픽
-
1. Dexamethasone (덱사메타손)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로 34주 이내 조산 위험 시 태아 폐성숙 유도에 사용됩니다. 정맥, 근육주사 또는 점적주사로 투여하며 기관지 천식, 피부염, 관절염 등에도 사용됩니다. 반복 투여 시 태아 뇌 손상, 산모 감염 위험, 고혈당, 폐부종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임신 33주 이전이나 분만 24~48시간 이전 투여는 금기입니다.
-
2. Lavopa injection (라보파 주사)자궁이완제로 임신 22주~37주 사이의 조숙산통 관리 및 분만억제에 사용됩니다. 근육주사로 투여하며 초회 10mg 후 효과 없으면 1시간 내 재투여하고 4~6시간마다 10~20mg을 12~48시간 계속 주사 가능합니다. 심계항진, 빈맥, 안면홍조, 발열,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임신 24주 미만에서는 안정성이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
3. Nalador injection (날라도르 주사)500mcg 용량의 출산 후 자궁 출혈 지혈제입니다. 생리식염수와 함께 4~16mcg/min으로 투여하며 최대 33mcg/min까지 가능합니다. 구토, 구역, 위경련, 설사,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태아 손상 가능성으로 임신 종결 상태에서만 사용하고 근육주사는 금지됩니다.
-
4. Fentanyl (펜타닐)경막 외 마취에 사용되는 마약성 진통제로 비마약성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는 통증 완화에 사용됩니다. 근육주사로 50~100mcg을 1시간마다 투여합니다. 호흡곤란, 혈압강하, 시각이상, 졸음, 두통, 떨림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호흡곤란 시 중지해야 합니다.
-
5. Oxytocin (옥시토신)자궁수축을 유발 및 촉진하며 분만 후 출혈 방지 및 치료에 사용됩니다. 분만유도, 유산, 진통미약 등에 적용되며 정맥주입으로 5~10U를 포도당액에 섞어 1~2milliunit/min으로 투여하거나 근육주사, 피하주사로 0.25~0.5IU부터 시작합니다.
-
1. Dexamethas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is a potent corticosteroid with significant clinical applications in managing inflammatory and autoimmune conditions. Its effectiveness in reducing inflammation and suppressing immune responses makes it valuable for treating conditions like cerebral edema, severe allergic reactions, and certain respiratory diseases. However, prolonged use carries notable risks including immunosuppression, metabolic complications, and potential adrenal insufficiency. The drug requires careful monitoring and judicious dosing to balance therapeutic benefits against adverse effects. Its role in COVID-19 treatment demonstrated renewed clinical relevance, though long-term safety considerations remain important for patient management strategies.
-
2. Lavopa injection (라보파 주사)Lavopa injection, containing levodopa, represents an important therapeutic option for Parkinson's disease management, particularly for patients with advanced disease or motor complications from oral medications. The injectable formulation provides more consistent dopaminergic stimulation and can reduce motor fluctuations experienced with oral therapy. This delivery method is especially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ies or severe motor symptoms. However, the need for regular injections and potential for dyskinesias remain considerations. The medication exemplifies how alternative delivery systems can optimize treatment outcomes when conventional oral administration becomes inadequate for manag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symptoms.
-
3. Nalador injection (날라도르 주사)Nalador injection, containing naloxone, serves a critical role in emergency medicine as a rapid-acting opioid antagonist for treating opioid overdose. Its ability to quickly reverse respiratory depression and restore consciousness makes it life-saving in acute overdose situations. The medication's safety profile and minimal side effects in non-opioid-dependent individuals support its widespread availability and use. However, its short duration of action necessitates careful monitoring and potential repeated dosing. The development of intranasal and auto-injector formulations has improved accessibility, making naloxone an essential component of public health strategies addressing the opioid crisis.
-
4. Fentanyl (펜타닐)Fentanyl is a potent synthetic opioid with legitimate medical applications in pain management and anesthesia, yet its high potency and abuse potential present significant public health challenges. When used appropriately under medical supervision for severe pain or perioperative anesthesia, it provides effective analgesia. However, its involvement in overdose deaths and illicit drug markets highlights the critical importance of strict prescribing protocols and monitoring. The development of transdermal patches and other controlled-release formulations aimed to improve safety, but diversion remains problematic. Balancing legitimate medical needs with addiction prevention requires comprehensive strategies including education, regulation, and alternative pain management approaches.
-
5. Oxytocin (옥시토신)Oxytocin is a naturally occurring hormone with essential roles in childbirth and lactation, making it indispensable in obstetric practice for labor induction and management of postpartum hemorrhage. Its clinical applications have proven effective and relatively safe when administered appropriately by healthcare professionals. Beyond obstetrics, oxytocin's involvement in social bonding and stress response has generated research interest, though clinical applications remain limited. The hormone's physiological complexity means effects vary based on dosage, timing, and individual factors. While oxytocin's medical utility in obstetrics is well-established, broader therapeutic claims require rigorous scientific validation before clinical implementation.
-
투약오류 QI 보고서(Penicillin G potassium) 9페이지
투약오류 QI 보고서(penicillin G potassium)과 목 명 :의료질 관리지도교수 :제 출 자 :제 출 일 :목 차Ⅰ.서론1. 사업의 배경(주제선정의 필요성)2. 문제의 개요3. 팀 구성4. 팀 목표5. 자료수집6. 자료분석 및 해석7. 수행목표Ⅱ.본론1. 일정계획2. 개선 전략 및 개선 활동Ⅲ.결론 및 추후관리Ⅳ.참고 문헌Ⅰ. 서론1. 사업의 배경(주제선정의 필요성)투약오류는 세계적으로 보고가 가장 많은 사건유형이다. 그중 위해가 있는 약물위해사건(Advers Drug, Event, ADE)으로 이어지거나 심각한 위해...2024.12.04· 9페이지 -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 자궁내막증(A+) 26페이지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은 대상자의 전복강경하전자궁절제술 시행 후 간호과목명여성건강간호학실습교수명000 교수님실습지학번이름제출일Ⅰ. 서 론11. 연구의 필요성12. 문헌고찰1Ⅱ. 본 론71. 간호사정71) 정보수집7(1) General Data7(2) Present History7(3) Past Histroy7(4) Family History7(5) 진단검사 8(6) Physical Examination9(7) 약물요법10(8) 주관적자료와 객관적자료172. 간호문제173. 간호진단184. 간호과정19Ⅲ. 결 론231. 연구결과의 총정...2023.07.03· 26페이지 -
정신간호학 임상실습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3개,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 잘 되있고, 교수님피드백받고 수정한 파일 16페이지
E. 정신과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기록지1) 정신과 간호사정 기록지▷ 일반적 정보성명 : 강ㅇㅇ성별/연령 : F / 43세결혼 상태 : 28세에 결혼해서 약 5년간 생활하다가 이혼, 자녀는 없다고 함교육 정도(학력) : 남원의상고 졸업직업 : 무직종교 : 불교경제 상태(상/중/하) : 중의료 보장(의료보호 또는 의료보험) : 해당사항 없음입원 경로(응급실 또는 외래) : 외래정보 제공자 : 환자, 부모님, 여동생정보 신뢰도(상/중/하) : 중▷ 건강력1) 주증상(Chief Complaint, C/C)1. 부적절한 언행2. 망상적 ...2019.10.12· 16페이지 -
성인실습 버킷림프종 문헌고찰부터 간호사정 간호과정3가지 A+자료입니다 17페이지
Ⅰ.서론1)연구의 필요성‘연구’란 어떤 일이나 사물에 대하여 깊이 있게 조사하고 생각하여 진리를 따져 보는 일이다. 따라서 간호연구도 이러한 연구를 간호영역에 적용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간호사가 환자에게 간호를 수행함에 있어 단순히 간호행위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간호에 대해서 깊이 있게 조사하고 간호행위를 비판적으로 생각해보면서 간호 지식에 대하여 탐구하고 간호영역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또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간호를 하는 것이다. 간호연구를 함에 따라 간호사는 간호 지식을 발전시킬 수 있고 이를 실무에 적용시키며...2017.11.06· 17페이지 -
충수돌기염(Appendicitis) case study 22페이지
성인- 케이스 스터디( 충수돌기염(Appendicitis))< 목 차 >Ⅰ서 론 ---- 2Ⅱ문헌고찰 ---- 2Ⅲ간호과정 ---- 5참고문헌 --- 21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충수돌기염(appendicitis)은 맹장(충수)에서 발생하는 염증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으로, 주로 20~30代에서 발생하는 염증으로 일반외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충수돌기염은 수술만 한다면 완쾌될 수 있고, 의료기술이 발달한 선진국에서는 수술 당일 퇴원을 고려할 만큼 회복이 빨라 질병을 간단하고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충수돌...2014.09.19· 2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