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GR, FGR 정리(정의, 그래프, 원인, 진단 및 평가, 처치)+OBY 주요약물
본 내용은
"
IUGR,FGR 정리(정의, 그래프, 원인, 진단 및 평가, 처치)+OBY 주요약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4
문서 내 토픽
  • 1. IUGR, FGR 정의
    IUGR(자궁내 성장지연)은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하며, FGR(태아 성장 지연)은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합니다. 또한 LGA(부당 중량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90% 이상, AGA(적정 체중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90% 이상, SGA(부당경량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합니다.
  • 2. IUGR, FGR 그래프
    IUGR, FGR은 대칭적 및 비대칭적 성장제한으로 나뉩니다. 대칭적 성장제한은 머리둘레와 복부둘레가 비례하는 것이며, 비대칭적 성장제한은 머리 성장에 비해 복부 성장이 불균형적으로 뒤떨어지는 것입니다. 이는 세포 성장 초기의 화학물질, 바이러스 감염, 염색체 이상, PIH, GDM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IUGR, FGR 원인
    IUGR, FGR의 원인은 크게 모체측, 태아측, 태반측으로 나뉩니다. 모체측 요인으로는 산모 체구가 작은 경우, 산모 영양결핍, 모체 혈관 질환, 산모 흡연이나 고산지대, 산모 음주 및 약물 남용, 산모 결핵 및 매독 등이 있습니다. 태아측 요인으로는 염색체 이상, 세염색체증 이상 등이 있습니다. 태반측 요인으로는 궁극적으로 자궁태반 기능부전이 야기되어 성장제한이 발생하게 됩니다.
  • 4. IUGR, FGR 진단 및 평가
    IUGR, FGR의 진단 및 평가는 태아성장의 평가, 도플러 검사, 양수량 평가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태아성장의 평가는 자궁저 높이 측정, 초음파 생체계측(양쪽마루뼈지름, 머리둘레, 복부 부둘레, 대퇴골 길이)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도플러 검사는 제대 및 중간대뇌 동맥의 혈류변화를 관찰하여 태아성장제한의 초기변화나 늦은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수량 평가는 태아의 신혈류를 간접적으로 반영하여 태아 혈류순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5. IUGR, FGR 처치
    IUGR, FGR의 처치는 태아 감시, 분만 시기 결정, 분만 방법 선택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태아 감시는 정밀 초음파 검사, 도플러 검사, 양수량 변화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분만 시기는 성장제한의 원인과 임신주수에 따라 결정되며, 24~34주 미만의 경우 산모 상태 평가와 함께 스테로이드 투여, 34주 이상의 경우 양수과소증, 제대 동맥의 비정상 혈류파형, 임산부의 위험인자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분만 방법은 주로 제왕절개가 권고되나, 양수 부족으로 인한 탯줄압박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6. OBY 주요약물
    OBY 주요약물로는 Betasine(혈압강하제), Betamethasone(코티코스테로이드), Tagamet(H2 수용체 길항제), Curosurf(폐 표면활성제)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물은 고혈압, 태아 폐성숙, 위궤양 치료,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치료 등에 사용됩니다. 각 약물의 적응증, 용법/용량, 주의사항 및 금기사항 등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IUGR, FGR 정의
    IUGR(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과 FGR(Fetal Growth Restriction)은 태아의 성장이 정상적인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IUGR은 태아의 체중이 임신 주수에 비해 10번째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를 말하며, FGR은 태아의 성장이 잠재적인 성장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두 용어는 유사한 개념을 나타내지만, IUGR은 태아의 체중을 기준으로 하고, FGR은 태아의 성장 잠재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러한 상태는 태아와 산모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IUGR, FGR 그래프
    IUGR과 FGR의 진단을 위해서는 태아의 성장 곡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아의 체중, 복부 둘레, 대퇴골 길이 등의 지표를 임신 주수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내어 정상 범위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태아의 성장이 정상적인지, 지연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아의 성장 곡선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IUGR 또는 FGR의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그래프 분석은 태아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IUGR, FGR 원인
    IUGR과 FGR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산모의 건강 상태, 임신 중 발생한 합병증, 태아의 유전적 요인 등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산모의 고혈압, 당뇨병, 감염, 흡연, 약물 남용 등이 있습니다. 또한 태반 기능 저하, 태아의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등도 IUGR과 FGR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태아의 성장 지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UGR과 FGR의 정확한 진단과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산모와 태아의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4. IUGR, FGR 진단 및 평가
    IUGR과 FGR의 진단 및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 방법이 활용됩니다. 우선 산모의 복부 촉진과 태아 심음 청취를 통해 태아의 성장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체중, 복부 둘레, 대퇴골 길이 등을 측정하고, 이를 성장 곡선과 비교하여 IUGR 또는 FGR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플러 초음파를 통해 태반과 태아의 혈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궁 내 태아 산소 포화도 측정, 태아 심박동 검사, 양수 검사 등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도의 평가를 통해 IUGR과 FGR의 원인, 중증도, 예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5. IUGR, FGR 처치
    IUGR과 FGR의 처치는 원인 질환의 치료,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 그리고 적절한 분만 시기 결정 등을 포함합니다. 우선 산모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태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산모의 영양 섭취 개선, 고혈압 및 당뇨병 관리, 감염 치료 등이 시행됩니다. 또한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태아 곤란증이 발생하는 경우 적절한 시기에 분만을 유도하거나 제왕절개술을 시행합니다. 이 외에도 스테로이드 투여, 산소 공급, 혈관 확장제 투여 등의 보조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국 IUGR과 FGR의 처치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 6. OBY 주요약물
    산부인과 영역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우선 자궁 수축 억제제로는 베타-아드레날린성 작용제(ritodrine, terbutaline 등)와 칼슘 통로 차단제(nifedipine 등)가 사용됩니다. 이는 조기 진통 억제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자궁 수축 촉진제로는 옥시토신이 널리 사용되며, 분만 유도와 진통 촉진에 활용됩니다. 그 외에도 프로스타글란딘 제제(misoprostol, dinoprostone 등)가 분만 유도에 사용됩니다. 임신성 고혈압 치료를 위해서는 메틸도파, 라베탈롤, 니페디핀 등의 항고혈압제가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항생제, 스테로이드, 혈전 용해제 등 다양한 약물이 산부인과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