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아동간호학: 체온, 맥박, 호흡 측정방법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사전학습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5
문서 내 토픽
  • 1. 아동 체온 측정방법 및 주의사항
    아동의 체온 측정 시 일관성과 신뢰성을 위해 같은 부위에 같은 체온계를 사용해야 한다. 연령, 협조능력, 질병 중증도,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측정방법을 선택한다. 수은 체온계 사용은 권장하지 않으며, 구강체온계 사용이 어려운 영아나 아동은 액와, 측두동맥, 고막체온계를 사용한다. 액와와 고막체온 측정 결과의 일관성은 연구에 따라 다양하다.
  • 2. 아동 맥박 측정방법 및 주의사항
    심첨맥박은 2세 이하 아동, 불규칙한 심박동수나 선천성 심질환 아동에게 권장되며, 아동이 조용할 때 1분간 측정한다. 강심제 투여 전 반드시 측정해야 한다. 요골맥박은 2세 이상 아동에게 적합하며 성인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측두동맥은 머리 측두골 부위, 심첨맥박은 영아·유아 측정부위이며, 영아는 대천문 박동도 확인한다.
  • 3. 아동 호흡 측정방법 및 주의사항
    영아는 자극, 울음, 수유로 불규칙한 호흡을 보일 수 있다. 호흡 측정 시 청진 전 호기와 흡기 양상을 관찰하여 불규칙한 리듬을 판단한다. 호흡수는 1분간 아동이 모르는 상태에서 청진으로 측정하며, 영아와 어린 아동이 조용할 때 측정한다. 협착음은 크룹이나 후두개염의 징후일 수 있으며, 호기성 협착음은 기도 부분 폐쇄를, 지속적 협착음은 기도 연골 발달지연을 나타낼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아동 체온 측정방법 및 주의사항
    아동의 체온 측정은 정확한 건강 상태 파악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측정 방법으로는 겨드랑이, 귀, 이마 등 다양한 부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방법마다 정확도와 편의성이 다릅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항문 측정이 가장 정확하지만, 아동이 자라면서 겨드랑이나 귀 측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측정 시 주의사항으로는 측정 전 충분한 안정 시간 확보, 올바른 기구 사용, 측정 부위의 청결 유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측정 시간대에 따라 체온이 변할 수 있으므로 일관된 시간에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지털 체온계 사용 시 정확한 판독을 위해 제조사의 지침을 따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2. 아동 맥박 측정방법 및 주의사항
    아동의 맥박 측정은 심혈관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요골동맥, 경동맥, 대퇴동맥 등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가장 안전하고 접근하기 쉬운 요골동맥 측정을 권장합니다. 측정 시 손가락 끝의 감각이 예민한 검지와 중지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압박하되, 엄지손가락은 자신의 맥박을 감지할 수 있어 피해야 합니다. 아동의 정상 맥박은 연령에 따라 다르므로 연령별 기준값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측정 전 아동이 충분히 안정된 상태에 있어야 하며, 최소 15-60초간 측정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어야 합니다. 과도한 압박은 혈류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아동 호흡 측정방법 및 주의사항
    아동의 호흡 측정은 호흡기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활력징후입니다. 측정 시 아동이 자신의 호흡을 의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맥박을 측정하는 척하면서 호흡을 관찰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가슴 또는 복부의 상하 운동을 관찰하여 1회 호흡을 계산하며, 최소 1분간 측정하여 정확한 호흡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아동의 정상 호흡수는 연령에 따라 다르므로 연령별 기준을 숙지해야 합니다. 측정 전 아동이 안정된 상태에 있어야 하며, 울음, 활동, 발열 등의 상태는 호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호흡의 깊이, 규칙성, 음향 등도 함께 관찰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