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acac)3, Co(acac)3 킬레이트 착물 합성 및 분석
본 내용은
"
[무기화학실험] Cr(acac)3 (acac, acetyl acetonate), Co(acac)3-chelate complex 합성, 재결정화, 분석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30
문서 내 토픽
-
1. 킬레이트 착물 합성Cr(acac)3와 Co(acac)3 킬레이트 착물은 금속이온과 acetylacetone(acac) 리간드의 반응으로 합성된다. Cr(acac)3는 CrCl3·6H2O와 acetylacetone을 반응시켜 직접 합성되며, Co(acac)3는 Co(Ⅱ)와 acac-를 먼저 반응시킨 후 과산화수소로 Co(Ⅲ)로 산화시켜 합성된다. 킬레이트 효과로 인해 6개의 물분자가 방출되면서 엔트로피적으로 유리한 정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
2. IR 분석 및 해석IR 분석을 통해 두 착물의 구조 정보를 얻었다. Cr(acac)3는 KBr pellet법, Co(acac)3는 nujol법을 사용했다. 특징적인 피크로는 O-H stretch(3419.17), C-H stretch(2968.87), C=O stretch(1574.59), C=C stretch(1519.63), C-H bend(1383.68, 1363.43), C-O stretch(1015.34) 등이 확인되었다. 두 착물은 중심금속을 제외하고 구조가 동일하여 거의 동일한 피크를 보였다.
-
3. UV-Vis 분석 및 d-d 전이UV-Vis 분석에서 acac의 keto-enol tautomerization peak(215, 270 nm)와 charge transfer band peak가 확인되었다. d-d 전이는 Laporte 규칙과 spin 선택 규칙이 진동-전자 짝지음 현상에 의해 완화되어 나타난다. 몰흡광계수는 Beer-Lambert 법칙으로 계산되었으며, Cr(acac)3는 500 L/mol·cm, Co(acac)3는 175 L/mol·cm의 값을 가진다.
-
4. 결정장 이론과 산화 상태Co(Ⅱ)는 약한장 리간드와 결합 시 불안정하고 강한장 리간드와 결합 시 리간드 교환이 어렵다. Co(Ⅲ)는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가 -0.4~-2.4로 적당하여 중간세기의 acac- 리간드와 안정적으로 결합한다. Cr(Ⅲ)는 결정장 갈라짐 에너지가 -1.2로 적당하여 직접 합성이 가능하다.
-
1. 킬레이트 착물 합성킬레이트 착물 합성은 무기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 기술입니다. 킬레이트 리간드가 금속 이온과 형성하는 다중 배위 결합은 착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EDTA, 페난트롤린, 비피리딘 같은 킬레이트 리간드를 사용하면 높은 안정성의 착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합성 과정에서 pH, 온도, 반응 시간 등의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최종 생성물의 수율과 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킬레이트 착물은 분석화학, 의약학, 환경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므로 그 합성 기술의 습득은 화학자에게 필수적입니다.
-
2. IR 분석 및 해석적외선 분광법(IR)은 분자의 구조 파악에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분석 기법입니다. 각 화학 결합은 특정한 파수 영역에서 특성 흡수를 나타내므로, IR 스펙트럼을 통해 분자 내 작용기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착물 화학에서는 금속-리간드 결합의 형성을 IR로 확인할 수 있으며, 리간드의 배위 방식 변화도 관찰 가능합니다. 다만 IR 분석만으로는 완전한 구조 결정이 어려우므로, NMR이나 질량분석 같은 다른 분석 기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3. UV-Vis 분석 및 d-d 전이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은 전자 전이를 직접 관찰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전이금속 착물에서 나타나는 d-d 전이는 결정장 이론으로 설명되며, 흡수 파장과 강도는 금속 이온의 산화 상태, 리간드의 종류, 착물의 기하 구조에 따라 달라집니다. d-d 전이의 에너지는 결정장 분열 에너지(Δ)를 직접 반영하므로, UV-Vis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착물의 전자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정량 분석에도 활용되어 착물의 농도 결정에 매우 유용합니다.
-
4. 결정장 이론과 산화 상태결정장 이론(Crystal Field Theory)은 전이금속 착물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리간드의 전기장이 금속 이온의 d 궤도를 분열시키는 방식을 설명하며, 이러한 분열의 크기는 리간드의 강도와 착물의 기하 구조에 의존합니다. 산화 상태는 착물의 전자 배치, 자기적 성질, 반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결정장 이론과 산화 상태를 함께 고려하면 착물의 색상, 자성, 안정성 등 다양한 성질을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착물 화학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무기화학실험] Cr(acac)3 와 chelate 실험 보고서 11페이지
실험 B. Cr(acac)3 와 chelate실험 날짜 :작성자 :실험 목표 : 금속-킬레이트 배위 화합물인 금속-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착화합물을 합성하고 분석하여 금속 이온과 킬레이트 리간드와의 반응을 이해하며, 중심 금속의 변화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와 성질의 변화를 설명한다.이론 및 배경실험 반응식CrCl3ㆍ6H2O + 3acac (urea 첨가)→ Cr(acac)3 + 6H2O + 3Cl루이스 산-염기루이스 산 : 전자쌍 받개, 루이스 염기 : 전자쌍 주개루이스 산은 H+뿐만 아니라 루이스 염기에 의해 제공된 전자쌍을 받아 공유...2023.04.04· 11페이지 -
cr(acac)3 와 chelate 9페이지
제목: 와 chelate실험 목표: 금속- 킬레이트 배위 화합물인 금속-아세틸 아세토네이트 착화합물을 합성하고 분석하여 금속 이온과 킬레이트 리간드와의 반응을 이해하며, 중심 금속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와 성질의 변화를 설명한다.이론적 배경1.1 착물중심에 있는 전이 금속의 양이온에 몇 개의 분자 또는 이온이 결합되어 있는 물질을 착물이라고 한다. 전이 금속의 양이온과 분자 혹은 이온과의 결합은 배위 결합으로 물에 용해 되어도 결합이 끊어지지 않는다. 가장 흔한 배위수는 2,4, 6이며 배위수에 따라서 착물의 구조가 달라진다. 배위수...2023.05.03· 9페이지 -
Cr(acac)3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r(acac)3) [무기화학 및 실험] 24페이지
..PAGE:1Synthesis &Characterization of..PAGE:2개 요서 론Urea, acac 및 Cr(acac)3 의 구조 및 특성Cr(acac)3는 왜 팔면체 인가?실험재료(기구 및 시약)실험절차실험결과데이터 분석..PAGE:3서 론현대 화학 연구의 주요 부문-분자의 원자배열, 전자배열 연구-한 분자에서 다른 분자로의 성분치환(transformation)전이금속과 ligand 사이의 화합물 합성반응-CrCl3·6H2O (전이금속, Cr)과 acac(리간드) 의 반응22..PAGE:4①Cr(acac)3 를 합성 ...2014.05.18· 24페이지 -
Metal acetylacetonate 착화합물의 합성 및 특성 규명 43페이지
Metal acetylacetonate 착화합물의 합성 및 특성 규명실험목적 Metal- acetylacetone 착물의 구조 및 성질에 대해 이해한다 . Metal- acetylacetone 착물을 합성할 수 있다 .실험 이론Acetylacetone 다이케톤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두 자리 리간드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의 선구물질 이다 . 주로 킬레이트화제로 쓰인다 . Tautomer 의 상호 전환이 빠른 유기 화합물로 유명함 Enol-keto tautomerismAcetylacetonate 는 일반적으로 자리수의 ligand 로서 작...2013.04.15· 4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