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혈액 검사 및 임상 화학 검사 가이드
본 내용은
"
Lab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30
문서 내 토픽
-
1. 완전혈구계산(CBC) 검사CBC는 적혈구(RBC), 백혈구(WBC), 혈소판 수를 측정하는 기본 혈액검사입니다. RBC는 1mm3당 적혈구 수를 측정하며 정상치는 여성 380-520만, 남성 420-540만입니다. WBC는 4000-10000개/mm3이 정상이며 감염, 백혈병 등의 진단에 중요합니다. 혈소판은 150000-450000/mm3이 정상범위이며 응고기능과 관련됩니다. 이 검사들은 빈혈, 감염, 혈액질환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
2. 응고기능검사(Coagulation Study)응고기능검사는 혈액응고 과정을 평가합니다. PT(프로트롬빈시간)는 10-15초가 정상이며 외적응고경로를 사정합니다. PTT(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는 30-45초가 정상이며 내적응고경로를 평가합니다. 출혈시간(BT)은 1-4분, 응고시간(CT)은 6-13분이 정상입니다. DIC, 비타민K결핍, 간질환 등에서 이상값을 보입니다.
-
3. 간기능검사간기능검사는 AST(8-40 IU/L), ALT(3-60 IU/L), 총빌리루빈(0.1-1.1 mg/ml)을 포함합니다. AST와 ALT는 간세포손상을 나타내며 심근경색, 간염, 간경변에서 증가합니다. 빌리루빈은 헤모글로빈 파괴산물로 간질환, 담도차단, 용혈성질환에서 증가합니다. ALP(10-95 IU/L)는 뼈와 담도에 고농도로 존재하며 골질환, 간질환에서 상승합니다.
-
4. 신기능검사신기능검사는 BUN(8-25 mg/dl), 크레아티닌(여성 0.5-1.1, 남성 0.6-1.2 mg/dl)을 측정합니다. BUN은 간에서 형성되어 신장에서 배설되며 신부전, 탈수, 장관출혈에서 증가합니다. 크레아티닌은 골격근의 질소함유성분으로 근육크기와 활동수준에 따라 변합니다. 이 검사들은 신장질환 진단과 신기능 평가에 중요합니다.
-
5. 당뇨병 진단검사(DM Study)당뇨병 진단검사는 공복혈당(FBS), HbA1c, 식후2시간혈당(PP2hr), 경구포도당내성검사(OGTT)를 포함합니다. FBS는 140 mg/dl 이상이 2회 이상시 당뇨병으로 진단됩니다. HbA1c는 60-120일간의 혈당조절을 평가하며 정상치는 6%입니다. OGTT는 포도당에 대한 인슐린 분비능력과 감수성을 동시에 관찰하는 가장 민감한 검사입니다.
-
6. 심근경색 표지자심근경색 진단에 사용되는 표지자는 CK-MB, 트로포닌, LDH입니다. CK-MB는 발병 후 4-8시간 내에 60%, 12-24시간에 100% 양성을 보이며 36시간 후 급격히 감소합니다. 트로포닌-I는 3-6시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12-24시간에 최고치에 달하며 5-7일간 지속됩니다. LDH는 심근경색 후 3-4일부터 증가하여 5-7일 이상 경과하면 정상으로 낮아집니다.
-
7. 전해질검사전해질검사는 나트륨(135-145 mEq/L), 칼륨(3.5-5.5 mEq/L), 마그네슘(1.5-2.5 mEq/L), 칼슘(9-10.8 mg/ml), 인(3-4.5 mg/ml)을 측정합니다. 나트륨은 체내 수분양을 조절하며 탈수증에서 증가합니다. 칼륨은 95%가 세포내에 존재하며 신부전, Addison병에서 증가합니다. 칼슘은 비타민D에 의존하며 부갑상선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
8. 종양표지자검사종양표지자는 암 진단과 경과관찰에 사용됩니다. AFP(알파태아단백)는 간암, 간아세포종, 기형종에서 증가하며 정상치는 8.5 ng/ml 이하입니다. CEA(암배아항원)는 대장직장암의 단계결정과 재발감시에 사용되며 흡연자는 5 ng/ml, 비흡연자는 3 ng/ml 이하가 정상입니다. 이 검사들은 암의 조기진단과 치료효과 평가에 중요합니다.
-
9. 혈청단백검사혈청단백검사는 총단백(6.6-8.5 g/dL), 알부민(3.5-5.0 g/dL)을 측정합니다. 총단백은 탈수증, 고감마글로불린혈증에서 증가하며 간경변, 영양실조에서 감소합니다. 알부민은 총단백의 약 60%를 차지하며 영양상태, 간기능, 신장질환을 반영합니다. 알부민은 각종 성분을 결합운반하고 교질삼투압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10. 혈액형 및 교차시험혈액형은 ABO식과 Rh식으로 분류됩니다. O형은 항A, 항B 응집소를 가지고 A형은 항B, B형은 항A, AB형은 응집소가 없습니다. Rh양성은 응집원D가 있고 음성은 없습니다. 교차시험은 수혈 전 환자혈청과 공혈자혈구, 공혈자혈청과 수혈자혈구를 반응시켜 응집이나 용혈유무를 판정하는 검사입니다.
-
1. 완전혈구계산(CBC) 검사완전혈구계산 검사는 임상 진단의 기초가 되는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와 형태를 파악함으로써 빈혈, 감염, 혈액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응급상황에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빠르게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정기적인 CBC 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 경과 모니터링에 매우 유용하며, 비용 대비 진단 가치가 높아 모든 의료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
2. 응고기능검사(Coagulation Study)응고기능검사는 혈액의 응고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로, 출혈 위험성과 혈전 형성 경향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PT, aPTT, 혈소판 수 등의 지표를 통해 수술 전 출혈 위험도를 평가하고, 항응고제 치료의 효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심혈관질환, 간질환, 혈액질환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며, 응급상황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정확한 검사 결과는 환자의 안전한 치료와 합병증 예방에 직결되므로 신뢰성 있는 검사 수행이 필수입니다.
-
3. 간기능검사간기능검사는 간의 합성 기능, 해독 기능, 담즙 배설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AST, ALT, ALP, 빌리루빈 등의 지표를 통해 간염, 간경변, 지방간 등 다양한 간질환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약물 부작용 감시, 알코올 중독 평가, 영양 상태 판정에도 유용합니다. 간은 신체의 주요 장기이므로 정기적인 간기능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고위험군에서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
4. 신기능검사신기능검사는 신장의 여과 기능과 배설 기능을 평가하는 필수 검사입니다. 크레아티닌, BUN, 사구체여과율 등의 지표를 통해 만성신질환, 급성신손상, 신부전 등을 진단하고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고혈압 환자의 신장 합병증 모니터링에 특히 중요하며, 약물 용량 조절의 기준이 됩니다. 신기능 저하는 다른 장기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과 관리가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생명 연장에 매우 중요합니다.
-
5. 당뇨병 진단검사(DM Study)당뇨병 진단검사는 혈당 조절 상태를 평가하고 당뇨병을 진단하는 핵심 검사입니다. 공복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 등의 지표를 통해 당뇨병의 유무와 조절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당화혈색소는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을 반영하므로 장기적인 혈당 관리 평가에 매우 유용합니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질환이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는 합병증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혈당 모니터링은 환자의 건강 유지와 삶의 질 향상에 직결됩니다.
-
6. 심근경색 표지자심근경색 표지자는 심근 손상을 신속하게 진단하는 생명을 구하는 검사입니다. 트로포닌, 미오글로빈, CK-MB 등의 지표를 통해 급성 심근경색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 시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감도 트로포닌은 매우 민감하여 심근 손상을 빠르게 감지하므로 응급실에서 필수적입니다. 심근경색은 시간이 생명인 질환이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표지자 검사와 신속한 결과 보고는 응급 의료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7. 전해질검사전해질검사는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등 체액의 전해질 균형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전해질 불균형은 신경근 기능, 심장 리듬, 신장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응급상황, 수술 전후, 이뇨제 사용 환자에서 매우 중요하며, 신질환, 내분비질환 진단에도 유용합니다. 전해질 이상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상태이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신속한 교정이 환자 안전에 필수적입니다.
-
8. 종양표지자검사종양표지자검사는 암의 조기 발견, 치료 효과 평가, 재발 감시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CEA, PSA, AFP, CA 19-9 등 다양한 표지자를 통해 특정 암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양표지자는 암 특이도가 완벽하지 않으므로 단독으로 진단 기준이 될 수 없으며, 영상 검사와 조직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추적 관찰은 암의 조기 발견과 치료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며, 특히 고위험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 혈청단백검사혈청단백검사는 총단백, 알부민, 글로불린 등을 측정하여 영양 상태, 간 기능, 면역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단백질은 신체의 주요 구성 성분이므로 혈청단백 수치는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반영합니다. 간질환, 신질환, 영양 부족, 면역질환 진단에 유용하며, 치료 경과 모니터링에도 중요합니다. 특히 알부민은 간 합성 기능의 지표이므로 간질환 평가에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혈청단백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환자의 영양 상태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
10. 혈액형 및 교차시험혈액형 및 교차시험은 수혈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필수 검사입니다. 혈액형 검사를 통해 ABO 및 Rh 혈액형을 확인하고, 교차시험을 통해 공여자 혈액과 수혜자 혈액의 적합성을 확인합니다. 부적절한 혈액 수혈은 용혈 반응, 감염, 사망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응급 수혈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신뢰성 있는 검사 수행과 정확한 기록 관리는 환자의 생명 보호에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책임입니다.
-
[아동간호학실습A+++] 신생아실/신생아중환자실 미숙아 case study 간호진단/간호과정 2개1. 미숙아 정의 및 특성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출생 시 체중과 관계없이 재태 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하거나, 또는 최종월경일에서 259일 전에 태어난 신생아를 미숙아(prematureinfant)라고 정의한다. 미숙아는 체중이 적고 재태 기간이 짧을수록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지며, 외모, 호흡기계, 위장관계, 간, 비뇨기계, 면역계 등에서 다양한 특...2025.05.07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실습 A+ 소아외과 척추측만증 케이스 스터디1.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한다. 척추가 옆으로 휘어져있는 변형일 뿐만 아니라, 옆에서 볼 때 정상적인 곡선 또한 변형되고, 척추체 자체도 비정상적인 회전 변형을 일으키는 3차원적인 변형이다. 대부분(85~90%)의 척추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를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한다. 임상적으로 가장 흔...2025.05.06 · 의학/약학
-
병리학 일반혈액검사,일반화학검사, 혈액응고검사의 정의와 각 항목별 정상범위 과제 3페이지
1. 일반혈액검사 (CBC검사)1) 일반혈액검사 (CBC검사)의 정의일반혈액검사(CBC검사)란 혈액 속의 유형성분인 혈구의 정보를 분석하는 전혈구 계산을 의미하며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혈색소의 수를 측정함.2) 일반혈액검사 (CBC검사)의 정상범위- WBC(백혈구)남: 4.00 ~ 10.00(10³/μL)여: 4.00 ~ 10.00(10³/μL)- RBC(적혈구)남: 4.10 ~ 5.60(10^6/μL)여: 3.70 ~ 4.70(10^6/μL)- Platelet(혈소판)Whole Blood남: 150 ~ 370(10³/μL)여...2024.11.25· 3페이지 -
폐암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1개- 아주 완벽한 간호과정과 간호과정 틀이 있습니다. 23페이지
사례보고서의학적진단명Lung cancer폐암과 목 명:성인 간호학Ⅰ실습[ 목 차 ]Ⅰ. 문헌 고찰Ⅱ. 간호과정1. 간호 사정1) 간호 정보조사2) 임상 검사2-1) 방사선 검사 (X-선 검사, 흉부 CT, PET-CT, MR. Brain)2-2) 조직화학 검사 (US guided core needle biopsy)(Des)(Histochemisty)2-3) 혈액검사 (CEA, CBC, 일반화학검사-CRP, BUN, Creatinine, Total protein, Albumin)3) 투약4) 입원 후 경과 기록Ⅲ. 간호과정 적용1. ...2025.03.10· 23페이지 -
성인간호학 심방중격결손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A+ 22페이지
목 차1. PBL을 통한 간호사례2. 문헌고찰3. 진단검사 ???????? 1) 일반혈액검사???????? 2) 일반화학면역검사???????? 3) 전해질검사???????? 4) 혈액응고검사???????? 5) 기타 검사???????? 6) 혈액가스분석검사???????? 7) 객담, 소변, 대변 검사???????? 8) 영상의학검사4. 약물5. 간호과정 ???????? 1) 간호과정 #1 시술 후 부동자세 유지 어려움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5. 간호과정 ???????? 2) 간호과정 #2 인지기능장애와 관련된지식 부족6. Refere...2024.04.16· 22페이지 -
성인간호학 직장암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A+ 15페이지
목 차1. PBL을 통한 간호사례2. 문헌고찰3. 진단검사 ???????? 1) 직장암???????? 2) 회장루???????? 3) 회장루 복원술4. 약물5. 간호과정 ???????? 1) 간호과정 #1 수술 부위와 관련된 통증???????? 2) 간호과정 #2 수술로 인한 카테터 유지 와 관련된 감염위험성6. 결론7. Reference1. PBL을 통한 간호사례이00씨는 74세 남환으로 2020년 진단받은 DM과 2021년 진단받은 고혈압으로 약물을 복용하며 지내던 중, 2022년 3월 00대학병원을 방문하여 직장암 진단을 받고...2024.04.16· 15페이지 -
[A+ 보장]아동간호학실습 천식(Asthma)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4페이지 자료입니다. 14페이지
[A+ 보장]아동간호학실습 천식(Asthma)A+ 받은 14페이지 자료입니다.목차Ⅰ. 문헌고찰1. 정의2. 증상3. 원인4. 진단5. 검사6. 치료7. 경과/합병증8. 예방방법9. 생활가이드Ⅱ. Pediatric Nursing Practice Conference1. Briefing Note2. 진단적 검사3. 약물요법Ⅲ. 간호과정1. 의학 및 간호학적 처치와 관리(간호)2. 간호진단3. 간호과정4. 참고문헌5. 임상사례관리와 관련하여 새롭게 알게 된 간호용어 & 약어 정리Ⅰ. 문헌고찰1. 정의소아 연령에서 발생하는 천식이다. 폐 속...2025.01.31· 1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