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분자 열적 물성 분석
본 내용은
"
숭실대 신소재공학실험1) 9주차 고분자 열적물성 예비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5
문서 내 토픽
-
1. DSC 분석DSC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고분자 열적 특성 분석 방법입니다. DSC는 sample과 reference에 동일하게 열을 가하고 기준이 되는 sample과 비교했을 때 reference의 온도가 더 증가하는지 아니면 감소하는지를 측정하게 됩니다. 열 유속의 차이를 측정하고 이를 시간으로 미분하면 에너지양(mWs 또는 mJ)으로 환산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하나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적분하면 총열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됩니다. 이때 sample이 에너지를 흡수하면 흡열, 방출하면 발열이라고 표기합니다. 에너지를 받아서 흡열 되는 과정에서 고분자 상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유리 전이 온도(Tg)와 녹는점, 화학반응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 유리 전이와 혼화성유리전이는 무정형의 고분자에서 또는 반결정물질 내 무정형 영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온도가 증가할 때 딱딱하고 상대적으로 부서지기 쉬운 유리와 같은 상태에서 점성을 가지거나 고무와 같은 성질의 상태로 변하는 것을 말한다. 혼화성은 두 개 이상의 물질이 섞이면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혼화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물질이 섞였을 때 유리 전이 온도의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두 개 이상의 물질이 혼화되어 있다면, 유리 전이 온도가 낮아지거나 높아지는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
-
3. TGA 열분해 분석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분석에서 Td,10은 고분자 물질이 열분해되는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Td,10은 보통 10%의 질량이 감소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이 온도는 고분자 물질의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TGA 열분해 곡선에서 Td,10은 고분자 물질이 열분해되는 온도를 나타내므로, 이를 통해 고분자 물질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
1. DSC 분석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분석은 열적 특성을 연구하는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이 기법을 통해 물질의 상변화, 열용량, 상호작용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DSC 분석은 고분자, 세라믹, 금속 등 다양한 물질의 열적 거동을 이해하는 데 활용됩니다. 특히 고분자 재료의 경우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용융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DSC 분석은 화학반응, 상호작용, 열분해 등 다양한 열적 현상을 연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를 통해 물질의 열적 안정성, 열적 특성, 열적 거동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SC 분석은 재료 과학, 화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중요한 분석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유리 전이와 혼화성유리 전이(Glass Transition)는 고분자 재료에서 매우 중요한 열적 특성입니다. 유리 전이는 고분자 사슬의 운동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온도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 온도 이하에서는 고분자가 유리 상태로 존재하며, 이 온도 이상에서는 고분자 사슬의 운동성이 증가하여 고무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유리 전이 온도는 고분자의 분자량, 구조, 화학적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열적, 전기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한편, 혼화성(Miscibility)은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가 균일한 단일 상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혼화성은 고분자 블렌드 개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혼화성이 좋은 고분자 블렌드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리 전이와 혼화성은 고분자 재료 개발에 있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열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TGA 열분해 분석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는 물질의 열분해 특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TGA 분석을 통해 물질의 열적 안정성, 열분해 온도, 중량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고분자, 세라믹, 금속 등 다양한 물질의 열분해 거동을 연구하는
-
파이버공학실험2_DMA 분석1. 탄성, 점성, 점탄성 물질의 역학적 성질은 탄성, 점성, 소성 등으로 자주 표현된다. 완전한 탄성체는 변형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고, 변형을 원래대로 돌이키면 응력은 없어지고 가해진 역학적 에너지도 회복된다. 완전한 점성체는 변형속도에 대응해서 응력이 생기지만, 변형을 멈추면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여, 응력은 없어지지만 가해준 역학적 에너지는 모두 열로서...2025.05.16 · 공학/기술
-
화학공학실험 고분자분석 및 DSC분석 결과레포트1. 고분자중합 고분자의 자유 라디칼 중합은 자유 라디칼을 이용하여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으로, 개시, 성장, 종결 반응으로 구분된다. 벌크 중합은 모노머와 개시제만 투입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반응열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용매를 사용하는 solution polymerization은 열 및 점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용매 제거 및 비용 증가가...2025.05.10 · 공학/기술
-
PET PBT 블렌딩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 및 필름 제조 특성 분석1. PET/PBT 블렌딩 PET와 PBT는 각각 뛰어난 기계적 성질과 열적 안정성을 지닌 고분자 물질로, 두 물질을 블렌딩하여 새로운 고분자 복합체를 제작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PET와 PBT의 혼합 비율이 필름 형태의 물리적 및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합니다. 2. 필름 제조 및 품질 PET와 PBT를 각각 ...2025.01.28 · 공학/기술
-
A+ 졸업생의 광중합 결과레포트1. 광중합 이번 실험은 반응 시 열 대신 빛에 의한 에너지 공급으로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중합 실험을 하였다. 광중합은 광원을 제거함으로써 반응 종결 조절이 가능했다. 광중합을 이용하여 2개의 단량체를 구성단위로 하고 있는 공중합체 고분자를 중합하였는데, 여러 가지 공중합체의 종류 중에서도 불규칙한 공중합체를 중합하였다. 2. NMR 분석 H-NMR DAT...2025.01.16 · 공학/기술
-
화학공정 플라스틱 열변형, 장치 원리에 대한 내용 정리1. 플라스틱의 열변형 물질은 열을 받으면 에너지 상태가 변화하게 되고 에너지 상태가 변하면 상태가 변화하게 됩니다. 액체, 기체, 고체 간의 상태 변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게 됩니다. 고분자의 경우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바로 변화하거나 고무화가 일어나는 등 상태 변화 과정이 복잡합니다. 또한 고분자는 열분해가 일어나기...2025.04.26 · 공학/기술
-
페놀 수지 합성의 기기분석 결과(IR, DSC, TGA)1. IR 분석 IR 분석 결과를 통해 가교 전후의 페놀 수지 구조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교 전 페놀 수지에서는 3300cm-1대의 broad한 피크에서 페놀의 OH가 나타났으며, 700~900 cm-1 에서 Aromatic C-H bending, 1500~1600 cm-1 대에서 Aromatic C=C bending, 1100~1250 사이의 강한...2025.01.20 · 공학/기술
-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및 DSC 분석 (예비/결과 레포트 합본) 8페이지
1. 실험제목: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및 DSC 분석2. 실험목적: 새로운 물성을 지닌 고분자 재료를 합성방법에 의해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의 고분자를 단순 혼합하여 새로운 고분자를 개발한다.3. 실험 이론 -물성: 물질 자체가 갖고 있는 특유한 상태, 성질. 밀도, 녹는점, 끓는점, 전도율, 열전도율, 점성도, 결정의 형태 등과 빛의 흡수 스펙트럼, 자기적 성질 또한 물질의 고유한 물리적 성질이다. -열분석: 물질의 불연속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상변화를 일으키는 온도를 결정하는 실험 방법이다. 이를 ...2022.03.27· 8페이지 -
[분석기기 수업]자가치유 고분자의 구조 분석 및 활용방안 보고서 4페이지
[2021-1학기 나노소재기기분석 팀프로젝트 연구 계획서]연구과제명자가치유 고분자의 구조 분석 및 활용방안팀 번호팀원 성명/학번1. 연구 목표 및 내용도로나 교량, 건축물에 이상이 생겼을 때 스스로 치유해서 재난을 미리 방지하고, 스마트폰이나 전자제품이 파손됐을 때 알아서 다시 원상복구 된다는 것은 SF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이야기지만 이제 머지않아 현실로 올 수도 있다. 바로 ‘자율적으로 수명을 제어하는 화학소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1]그림1. 형상 기억형 자가치유 고분자의 치유 메커니즘 ...2023.03.08· 4페이지 -
인천대학교 일반화학실험 A+자료) 12. 고분자 화합물의 합성 예비보고서 6페이지
실험 예비보고서고분자 화합물의 합성실험일시학과조학번이름담당교수*** 작성 시 유의사항 ***- 폰트크기: 11- 글꼴 : 맑은 고딕- 줄 간격 : 130실험목표━━━━━━━━━━━━━━━━━━━━━━━━━━━━━━━━━━━━━━━━1. PVA와 borate 이온을 반응시켜 PVA- borate 다리걸친 중합체를 합성해본다.2. PVA와 borate 이온의 상대적인 양을 달리하여 중합체를 형성한 후, 그 차이점을 분석한다.이론━━━━━━━━━━━━━━━━━━━━━━━━━━━━━━━━━━━━━━━━가. 단위체(monomer)고분자화합물...2022.02.28· 6페이지 -
A+ 고분자 재료설계 1차 레포트(1차 및 2차 구조 설계) 24페이지
고분자 재료 설계1차 보고서-1차 및 2차 구조 설계교과목 : 고분자 재료 설계* 목 차 *1. Abstract2. Background Theory2.1. 고분자의 구조2.1.1. 1차 구조2.1.2. 2차 구조2.1.3. 3차 구조2.1.4. 4차 구조2.2. C-value2.3. 고분자 사슬의 크기2.4. 고분자 사슬의 Model3. Details of Experiment3.1. 설계 수행 방법3.2. 설계 조건4. Result and Discussion4.1. 물성 분석4.2. 결과 분석4.2.1. 온도와 압력에 따른 결합 길...2024.02.12· 24페이지 -
숭실대 신소재공학실험1) 9주차 고분자 열적물성 결과보고서 4페이지
1. 실험 제목고분자 열적물성2. 실험 날짜2023.04.273. 실험 목적- DSC를 이용하여 함량에 ㄸㆍ른 고분자 블렌드의 유리전이온도, 용융온도, 결정화, 열용량, 혼화성 분석- TGA를 이용하여 고분자의 열분해 분해온도 분석4. 시약 및 기기비율별 PVAc / PLA blend film, TGA cell, Sample crimper press,Aluminum sample pan & lid5. 실험 방법1) 쿨러를 키고 질소 가스를 연다.2) 필름을 셀에 올려 미세 저울로 무게를 재면서 시료가 3~5mg 이 되도록 샘플링 한다...2024.03.02·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