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버공학실험2_DMA 분석
본 내용은
"
파이버공학실험2_DMA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9
문서 내 토픽
-
1. 탄성, 점성, 점탄성물질의 역학적 성질은 탄성, 점성, 소성 등으로 자주 표현된다. 완전한 탄성체는 변형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고, 변형을 원래대로 돌이키면 응력은 없어지고 가해진 역학적 에너지도 회복된다. 완전한 점성체는 변형속도에 대응해서 응력이 생기지만, 변형을 멈추면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여, 응력은 없어지지만 가해준 역학적 에너지는 모두 열로서 소비된다. 점탄성 물질은 점성의 성질과, 탄성의 성질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
2.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는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힘(진동)을 주어 그 힘에 반응하는 시료의 상태를 알아보는 분석법이다. 주기적으로 가하는 힘과 시료의 변형에서 발생하는 위상 지연을 통해 시료의 점성을 관찰할 수 있고 회복되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모듈러스를 관찰할 수 있다. 시료에 힘을 가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
3. PET 필름 DMA 분석PET 필름을 DMA로 분석한 결과, Loss modulus에서의 최대값이 1.35E+08일 때의 Tg는 108.6도, tanδ에서의 최대값이 1.24E-01일 때의 Tg는 122.19도로 나타났다. 또한 탄성 모듈러스의 값이 떨어지는 것을 보아 rubbery region이 관찰되었다.
-
1. 탄성, 점성, 점탄성탄성, 점성, 점탄성은 물질의 기계적 거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탄성은 외력을 가했을 때 물질이 변형되지만 힘이 제거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성질을 말합니다. 점성은 외력을 가했을 때 물질이 점진적으로 변형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점탄성은 탄성과 점성이 동시에 나타나는 성질로, 외력을 가했을 때 물질이 즉시 변형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형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이러한 물질의 기계적 거동은 다양한 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고분자 재료의 설계와 응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2.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는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분석 기법입니다. DMA를 통해 재료의 탄성 계수, 점성 계수, 점탄성 특성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재료의 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DMA는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 결정화 온도, 용융 온도 등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이러한 DMA 분석 결과는 고분자 재료의 설계, 제조, 응용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DMA는 고분자 재료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분석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PET 필름 DMA 분석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투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입니다. PET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DMA를 통해 PET 필름의 탄성 계수, 점성 계수, 유리 전이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PET 필름의 구조-물성 관계를 규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DMA 분석은 PET 필름의 열적 안정성, 결정화 거동, 분자량 분포 등을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DMA 분석 결과는 PET 필름의 최적 설계와 제조 공정 개선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PET 필름의 다양한 응용 분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숭실대 고분자 점탄성 결과레포트 4페이지
고분자 점탄성-결과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1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고분자 점탄성2. 실험 날짜 : 2021년 5월 13일 (목요일)3. 실험 목적 : DMA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을 이해한다. DMA를 이용해 제조한 film의 물리적 거동을 이해하고 데이터를 통해 특성을 분석한다.4. 시약 및 기기 : PVAc/PLA blend film, DMA5. 실험 방법1) PVAc@PLA film을 6mm X 22mm로 자른다.2) film 두께를 측정한다.3) DMA Clamp에...2022.05.17· 4페이지 -
숭실대 고분자 모폴로지 및 표면특성 예비레포트 3페이지
고분자 모폴로지 및 표면특성-예비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1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고분자 모폴로지 및 표면특성2. 배경 및 이론1) Polymer morphology 분석 방법고분자의 morphology는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형상과 크기를 말한다. 고분자의 morphology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DSC나 DMA를 이용하여 Tg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결정성 고분자가 포함 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낼수 있다. 이를 통해 고분자의 형상을 가늠해볼수...2022.05.17·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