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사전학습 자료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사전학습 강추합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7
문서 내 토픽
-
1. 응급실 약물 관리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을 분류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Atropine(진경제), Dexamethas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 Digoxin·Dobutamine·Dopamine(강심제), Epinephrine(혈관수축제), Lidocain(마취제), Prednisol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 Cordarone·Tobrex(강심제), Isoket(협심증치료제), Lasix(이뇨제), Norpin(혈관수축제), Labesin(베타차단제) 등이 있으며, 각 약물의 분류, 적응증, 용도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
2. 응급환자 분류체계 및 중증도 분류응급환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Triage 체계를 설명합니다.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분류법이 있으며, 현장에서는 주로 4단계 분류법을 적용합니다. 즉시(immediate), 지연(delayed), 기대(expectant), 경미(minimal) 등으로 분류하여 환자의 생명 위험도와 치료 우선순위를 판단합니다.
-
3. 출혈 및 쇼크 사정과 간호출혈의 4단계(15% 미만, 15-25%, 25-35%, 35% 이상)와 각 단계별 증상을 설명합니다. 쇼크의 증상으로는 불안감, 약하고 빠른 맥박, 얕고 빠른 호흡, 차가운 피부, 창백함 등이 있습니다. 출혈 처치 간호로는 기도 유지, 정신적 지지, 편안한 자세, 붕대 적용, 산소 공급, 수액 처치 등을 포함합니다.
-
4. 외상 대상자 사정 및 신경학적 평가외상 환자의 1차 사정(의식, 기도, 호흡, 순환, 출혈 확인)과 2차 사정(활력징후, 신체검진)을 설명합니다. Glasgow coma scale을 이용한 신경학적 손상 평가, 뇌진탕·뇌출혈·경추손상·흉복부손상·안구손상 등 부위별 간호 중재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
5. 호흡곤란 대상자 사정 및 간호호흡기계 응급상황의 병력 사정(흉통, 기침, 수면장애, 객혈, 천명음), 호흡곤란의 등급 분류(Grade 0-4), 비정상적 호흡 형태(지속성 흡식, 운동실조성, 바이오, 느린 호흡, 체인-스톡, 쿠스마울, 빈 호흡) 등을 설명합니다. 흡입손상과 익수손상으로 인한 호흡계 질환 간호중재를 포함합니다.
-
6. 급성흉통 및 뇌졸중 응급 간호흉통의 원인별 특징(흉막염, 폐종양, 기흉, 폐색전, 협심증, 심근경색, 심낭염 등)과 간호중재를 설명합니다. 뇌졸중의 진단검사(뇌척수액, 혈관조영술, CT, MRI), 뇌조직 관류 장애 증상, 급성·아급성 간호(뇌압 감소, 흡인 위험성, 신체기동성, 피부손상, 영양, 언어소통 등)를 포함합니다.
-
7. 심폐소생술(CPR) 및 제세동심정지의 증후, 생존사슬(신속한 확인·신고, 심폐소생술, 제세동, 전문 소생술, 심정지 후 치료), 심정지 확인 방법을 설명합니다. 흉부압박 속도(분당 100회 이상), 깊이(5cm 이상),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 비율(성인·소아 30:2, 영아 15:2), 자동제세동기 적용 방법을 상세히 기술합니다.
-
8. 감염관리 및 격리주의감염 전파의 3가지 요소(감염원, 숙주, 전파수단)와 5가지 전파경로(접촉, 비말, 공기, 공통매개물, 생물매개체)를 설명합니다. 전파경로별 주의 간호로 접촉주의(1인실 배정, 개인보호구 착용), 비말주의(마스크, 눈보호대), 공기주의(음압격리병실, N95 호흡기보호구) 등을 포함합니다.
-
1. 응급실 약물 관리응급실 약물 관리는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업무입니다. 응급 상황에서는 신속한 약물 투여가 필수적이지만, 동시에 정확성과 안전성이 절대 타협되어서는 안 됩니다. 약물의 올바른 보관, 정확한 용량 계산, 투여 경로 확인 등 모든 단계에서 체계적인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특히 응급실의 빠른 속도와 스트레스 환경에서도 이중 확인 시스템을 통해 의약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모니터링도 중요하며,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
2. 응급환자 분류체계 및 중증도 분류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제한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정확한 중증도 분류를 통해 위험한 환자를 우선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직결됩니다. 다양한 분류 시스템(예: 트리아주)이 있지만, 각 응급실의 특성과 환자 구성에 맞는 체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류 기준이 명확하고 일관되어야 하며, 의료진의 충분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또한 분류 후에도 환자 상태 변화에 따른 재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3. 출혈 및 쇼크 사정과 간호출혈과 쇼크는 응급실에서 가장 위험한 상황 중 하나이며, 신속한 사정과 적절한 간호가 생명을 구합니다. 출혈의 양과 속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쇼크의 단계를 조기에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액 소생술, 수혈, 지혈 등의 중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의 활력징후와 조직 관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심리적 지지와 감염 예방도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의료팀의 조직적인 협력과 명확한 의사소통이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
4. 외상 대상자 사정 및 신경학적 평가외상 환자의 신경학적 평가는 뇌손상의 정도를 파악하고 예후를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글래스고우 혼수척도(GCS)와 같은 표준화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해야 합니다. 초기 평가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른 신경학적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뇌부종이나 출혈 같은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게 합니다. 정확한 기록과 의료진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이 중요하며, 필요시 신경외과 전문의와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
5. 호흡곤란 대상자 사정 및 간호호흡곤란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 파악이 적절한 치료의 첫 단계입니다. 환자의 호흡 패턴, 산소포화도, 호흡음 등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필요시 산소 치료나 기계적 환기를 제공해야 합니다. 환자의 불안감을 완화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기저 질환(천식, 폐렴, 심부전 등)에 따른 맞춤형 간호가 필요하며, 환자와 보호자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안심시키는 것도 간호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
6. 급성흉통 및 뇌졸중 응급 간호급성흉통과 뇌졸중은 시간이 생명인 응급 상황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흉통의 경우 심근경색을 배제하기 위해 신속한 심전도 검사와 심표지자 검사가 필요하며, 뇌졸중의 경우 발병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여 혈전용해제 투여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두 질환 모두 신경학적 또는 심장학적 전문가와의 신속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상황을 명확히 설명하고, 필요한 검사와 치료에 대한 동의를 얻는 것도 중요합니다.
-
7. 심폐소생술(CPR) 및 제세동심폐소생술과 제세동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가장 중요한 응급 처치입니다. 정확한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 적절한 압박 깊이와 속도가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제세동기의 신속한 사용도 중요하며, 특히 심실세동의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모든 의료진은 정기적인 CPR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하며, 팀 내 명확한 역할 분담과 의사소통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소생술 후 관리와 신경학적 예후 평가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
8. 감염관리 및 격리주의응급실의 감염관리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를 보호하는 필수적인 업무입니다. 표준주의를 기본으로 하여 손 위생, 개인보호장비 사용, 환경 소독 등을 철저히 시행해야 합니다. 감염성 질환의 조기 인식과 적절한 격리 조치가 감염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특히 호흡기 감염, 혈액 매개 감염 등 전파 경로에 따른 구체적인 격리주의를 적용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감염관리 프로토콜의 정기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감염 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대응 체계도 갖추어져야 합니다.
-
A+)성인간호학 응급실 ER 사전학습,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 교육자료, 응급실 신규간호사 지침 14페이지
사전 학습응급실약어용어의미AAAabdominal aortic aneurysm복부대동맥류ACSacute coronary syndrome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LSadvanced cardiac lift support최신심장생명유지법ADIacute drug intoxication급성약물중독AED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자동 제세동기AGNacute glomerulonephritis급성 사구체 염AMIacute myocardial infarction급성 심근경색증ARDSadult(acute) respirato...2022.07.27· 1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27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ER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2) 응급환자 분류체계3)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4)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5)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6)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7)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8) CPR 간호9) 감염관리 간호 - 격리 대상자 간호1) Emergency Cart- 약물약물적응증 / 작용부작용주의사항Norpin Inj.? 각종 질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쇽의 보조치료(심근경색·패혈증에 의한 쇽, 아나필락시성쇽, 순환 혈액량 저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쇽,...2023.07.19· 27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순환장애 대상자 간호,신장과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 45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목 차1.순환장애 대상자 간호1p(1)심장의 구조와 기능1p(2)심장의 순환과 심장의 전도계1p(3)심장의 주요 질환2p(4)주요 시술과 검사6p(5)기타 학습8p2.신장과 요로계 장애 대상자 간호12p(1)신장과 요로계의 구조와 기능12p(2)신장과 요로계 주요 질환14p(3)주요 시술과 검사19p(4)기타 학습21p3.사전학습공통자료24p4.참고문헌43p1. 순환장애 대상자 간호(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종격중부에 위치하며, 크기는 성인 주먹 정도의 크기이다.- 무게는 체중의 4~5%인 250g...2022.09.13· 45페이지 -
A+맞은자료[간호학과]_성인간호학실습_중환자실 사전학습 29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Ⅲ사전학습 보고서중환자실 실습실습기관 :실습부서 :실습기간 :제출자 :제출일 :담당교수 :목차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3. 신경계 구조와 기능4.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5. emergency cart(약물)6. Endotracheal Intubation7.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8. 산소요법9. 혈류역학모니터(1) Central venous pressure monitoring(2) Swan-ganz catheter monitoring10. 심전도(El...2022.11.14· 29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비뇨생식기계 사전학습 35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비뇨·생식기계 병동 사전학습교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담당교수님교수님제출일2021.11.14. 일요일학년/반3학년 반학번/이름목차1. 용어 및 약어22. 주요 학습내용31. 콩팥 요로계 병동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 검사 전?후 간호 3(U/A, PSA, α-Fetoprotein, RFT, K.U.B. RGP, Excretory, Urogram(EUG; IVP), Cystoscopy, Cystometry, TRUS UPP Renal angiography, Renal biopsy 등)2. 방광 적출술과 요로전환술 수술 전·후 간호...2024.04.12· 3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