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전대병원 수술실 사전학습 가이드
본 내용은
"
화순전대병원 수술실 사전학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2
문서 내 토픽
-
1. 수술실 환경관리수술실 환경은 온도 20~24℃, 습도 20~60%를 유지하여 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한다. 천장과 벽은 매끈한 내화 재질로 향균제로 쉽게 닦을 수 있으며, 바닥은 미끄럼 방지 재질을 사용한다. 환기는 시간당 15회 이상 필요하고, 3회는 청결한 공기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기 입구는 HEPA 필터가 장착되어 90% 이상의 먼지를 여과한다. 수술 전후와 일과 종료 시 청소를 실시하며, 모든 표면은 병원 인정 청소용액으로 닦는다.
-
2. 감염관리 및 무균술수술 전 환자는 샤워와 체모 제거를 하고, 예방적 항생제를 피부 절개 전 60분 이내에 투여한다. 수술 중 외과적 손씻기와 무균술을 시행하며, 충분한 산소공급과 체온 유지가 필수적이다. 수술실 온도는 20~24도, 습도는 20~60%를 유지하고, 절개에 사용한 거즈는 즉시 치운다. 수술 후 예방적 항생제는 24시간 이내 투여한다. HEPA 필터 시스템으로 공기 매개 감염을 방지한다.
-
3. 수술실 구역관리수술실은 제한구역, 준제한구역, 허용구역으로 나뉜다. 제한구역(수술실)은 마스크, 모자, 수술복, 전용신발 착용이 필수이다. 준제한구역(복도, 소독준비실)은 모자, 수술복, 전용신발을 착용한다. 허용구역(탈의실, 사무실)은 일상복으로 출입 가능하다. 수술실 문은 환자, 의료진, 소모품 이동 시를 제외하고 닫혀있어야 하며, 공기압은 양압을 유지한다.
-
4. 외과적 방포 및 드레이핑외과적 방포는 환자의 피부 절개선을 제외한 부위를 감싸 소독부위와 비소독부위 사이의 미생물 전파를 차단한다. 방포 종류는 Self-adhering plastic sheeting, Incise drape, Towel drape, Aperture drape, Nonwoven fabric drapes, Woven fabric drape 등이 있다. 드레이핑 시 멸균 장갑을 착용하고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젖은 방포는 사용하지 않는다. 방포는 소독부위에서 비소독부위로 덮으며, towel clip이나 suture로 고정한다.
-
5. 수술환자 체위 관리주요 체위는 앙와위(복부수술), 측와위(하복부수술), 복위(척추수술), 쇄석위(부인과수술), 트렌델렌버그(대장수술), 역트렌델렌버그(담낭수술), 좌위(경추수술), 잭나이프(항문수술)이다. 체위 시 신경손상 예방을 위해 팔을 90도 이상 벌리지 않고, 돌출된 뼈 부분에 패드를 대며, 머리와 척추를 일직선으로 유지한다. 장시간 수술 시 허리 통증 예방을 위해 골반과 무릎을 약간 굽혀준다.
-
6. 피부준비 및 소독수술 전 피부준비는 미생물 오염을 제거하고 감염 위험을 최소화한다. 수술 전날 저녁에 항균비누로 5-10분간 부드럽게 닦아 세균 수를 감소시킨다. 피부 소독의 목표는 때와 일과성 미생물 제거, 정주 세균 최소화, 미생물 반발 성장 억제이다. 준비 부위는 수술부위를 중심으로 충분히 넓게 잡으며, 살균된 새 면도날을 사용하고 피부 손상을 주의한다.
-
1. 수술실 환경관리수술실 환경관리는 수술의 성공과 환자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적절한 온도, 습도, 조명, 공기질 관리는 감염 예방과 의료진의 작업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HEPA 필터를 통한 공기 정화와 양압 유지는 수술 부위 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환경 모니터링과 청소 프로토콜의 철저한 준수는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실 환경관리에 대한 투자는 환자 예후 개선과 의료비용 절감으로 이어지므로 의료기관의 우선순위가 되어야 합니다.
-
2. 감염관리 및 무균술감염관리와 무균술은 수술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원칙입니다. 의료진의 손 위생,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 멸균 기구 사용은 수술 부위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합니다. 무균술 위반은 심각한 합병증과 환자의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으므로 모든 의료진이 엄격하게 준수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교육과 감시, 감염률 모니터링을 통해 무균술 준수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감염관리는 단순한 규칙이 아닌 환자 안전을 위한 필수 문화로 정착되어야 합니다.
-
3. 수술실 구역관리수술실 구역관리는 감염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제한구역, 반제한구역, 비제한구역의 명확한 구분은 오염 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고 무균 환경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각 구역별 접근 권한 제한, 복장 규정, 출입 절차의 철저한 관리는 수술 환경의 질을 보장합니다. 특히 제한구역 내 인원 최소화와 불필요한 출입 금지는 감염 위험을 크게 감소시킵니다. 구역관리 규정의 일관된 적용과 정기적인 감시는 수술실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
4. 외과적 방포 및 드레이핑외과적 방포와 드레이핑은 수술 부위를 격리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멸균된 방포를 사용하여 수술 부위 주변의 피부와 환경을 격리함으로써 미생물 오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합니다. 적절한 드레이핑 기법은 수술 시야 확보와 동시에 무균 영역을 최대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방포 선택 시 재질, 투과성, 강도 등을 고려하여 수술 특성에 맞게 적용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숙련도와 정확한 기술 적용은 수술 감염률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5. 수술환자 체위 관리수술환자의 체위 관리는 수술 접근성 확보와 환자 안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적절한 체위는 수술 시야를 최적화하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켜 환자의 부담을 줄입니다. 동시에 신경 손상, 혈액 순환 장애, 피부 손상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신체 각 부위에 적절한 지지와 쿠션을 제공해야 합니다. 체위 변경 시 천천히 진행하고 환자의 생리적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체위 관리의 숙련도는 환자 예후와 합병증 예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6. 피부준비 및 소독피부준비와 소독은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하는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수술 전 적절한 목욕이나 샤워를 통한 피부 청결 유지와 수술 직전의 항균제를 이용한 소독은 피부 상재균을 크게 감소시킵니다. 소독제 선택 시 피부 자극성, 효과 지속시간, 알레르기 반응 등을 고려하여 환자 특성에 맞게 적용해야 합니다. 소독 범위는 수술 부위뿐 아니라 주변 영역까지 충분히 포함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정확한 피부준비와 소독 기법의 준수는 수술 감염률 감소의 핵심 요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