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 가공을 위한 포자 멸균
본 내용은
"
생물공정실험 예비보고서_Spore sterilization for food processing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4
문서 내 토픽
-
1. Clostridioides difficileClostridioides difficile은 Firmicutes문, Clostridia강에 속하는 혐기성 내생 포자 형성 세균으로, 사람에게 위장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균입니다. C. difficile의 내생 포자는 1차 담즙산에 의해 발아가 시작되며, 항생제나 장내 미생물의 대사산물에 의해 억제됩니다. 또한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인해 리소좀의 효과에 저항합니다.
-
2. 멸균(Sterilization)멸균은 살아 있는 모든 세포와 포자, 그리고 비세포성 입자(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프리온)를 완전히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세균의 내생 포자와 원생생물의 피낭을 제어하기 어려우므로, 상황에 따른 미생물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멸균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
3. 물리적 멸균 방법물리적 멸균 방법에는 열, 여과, 방사선, 진동 등이 있습니다. 습열 멸균은 끓는 물이나 고압 멸균기를 이용하여 세포와 포자를 파괴하며, 건열 멸균은 오븐에서 160-170°C로 2-3시간 동안 처리합니다. 자외선은 DNA에 손상을 주어 미생물을 사멸시키지만 투과력이 약하고, 저온 플라즈마와 전리 방사선은 활성 산소와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여 포자를 파괴합니다. 여과 방법은 미생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
4. 화학적 멸균 방법화학적 멸균 방법에는 페놀류, 할로겐, 금속 등이 있습니다. 페놀은 단백질을 변형시키고 세포막을 파괴하며, 요오드는 단백질을 산화시킵니다. 4차 암모늄 화합물과 이산화염소도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 물질은 세균 포자를 쉽게 파괴하지 못하므로 주로 소독제나 방부제로 사용됩니다.
-
1. Clostridioides difficileClostridioides difficile (C. diff)는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심각한 설사와 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박테리아입니다. C. diff 감염은 주로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하며, 고령자와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C. diff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손 위생, 환경 청소 및 소독, 항생제 사용 관리 등의 감염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C. diff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C. diff 감염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과 의료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멸균(Sterilization)멸균은 의료기관에서 매우 중요한 감염 관리 절차입니다. 멸균은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여 의료기기나 물품을 완전히 안전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멸균 방법에는 고압증기멸균, 건열멸균, 화학멸균 등이 있으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의료기관에서는 멸균 대상 물품의 특성과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멸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멸균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철저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멸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멸균은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의 핵심 요소이므로, 의료진과 관리자 모두가 멸균 관리에 대한 인식과 역량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
3. 물리적 멸균 방법물리적 멸균 방법은 열, 방사선, 압력 등의 물리적 요인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물리적 멸균 방법으로는 고압증기멸균, 건열멸균, 가스멸균 등이 있습니다. 이 방법들은 화학적 멸균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이며, 멸균 효과가 우수합니다. 하지만 멸균 대상 물품의 재질이나 형태에 따라 적용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멸균 과정에서 물품이 손상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멸균 대상 물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물리적 멸균 방법을 선택
-
식품가공학 필승 기초 공략집 13페이지
★헤파필터★온도를 낮춰서 가공하는 이유★시간구하는 공식이용식품가공을 해야하는 이유블렌칭 데치기 목적V값 F값 F0값Q10값미생물 간접 불활성화허들테크놀로지열풍건조 이유와 목적 원리분무건조와 동결건조 차이박테리오신포자형성균 비포자형성균 처리방법동결진공건조와 분무건조 차이점성낮은 물질 혼합 (패들터빈프로펠러)살균 멸균 상업적살균가열치사시간식품가공학 첫 번째1. 정의- 식품의 정의식품은 인간이 섭취하도록 완전 혹은 일부 가공한 것이나 가공하지 않아도 먹을 수 있는 모든 재료를 말하며 음료류와 검류도 해당된다. (화장품, 담배, 의약품 X...2022.03.29· 13페이지 -
미생물 제어를 통한 식품저장 및 포장방법, 식품미생물학 레포트 11페이지
미생물 제어를 통한 식품저장 및 포장방법 Ⅰ 서론 1.1 문제의식 1.2 배경 Ⅱ 본론 2.1 식품 품질 저하 2.1.1 식품 품질 저하 요인 2.1.2 식품 부패 요인 2.2 식품저장 2.2.1 식품저장의 필요성 2.2.2 미생물 제어방법에 따른 식품저장·포장기술 2.2.3 식품저장기술 적용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1.1 문제의식 필자는 레포트 주제로 미생물 제어를 이용하는 식품 저장 및 포장을 선택했다. 그 이유는 1학년 2학기에 미생물 과목을 수강하였고, 수업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내용이 식품 가공 시 다양한 미생물 ...2024.12.19· 11페이지 -
nester's microbiology chapter5 8페이지
Nester's Microbiology: A Human PerspectiveChapter 5 Review QuestionsAnswer in Korean1. How is preservation different from pasteurization?보존은 부패하기 쉬운 제품의 부패를 지연시키는 과정이다. 식품의 저장 상태는 미생물의 느린 성장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저온 살균은 보통 식품에 적용되는 간단한 열처리를 의미하며 제품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부패를 유발하는 유기체 수와 병원균을 파괴한다. 정리하자면 보존은 미생물의 성장을 지...2023.12.05· 8페이지 -
식품저장학_수업자료정리8_식품의 방사선사용실태 6페이지
식품 저장학 8방사선 사용 실태-학 과식품생명공학과학 번이 름교수명1. 방사선조사의 이용* 미생물 불활성화를 위한 식품 조사1. Radappertizastion : 처리후 재오염만 되지 않는다면 식품을 얼마나 오랫동안 또는 어떤 조건에서 저장하든 관계없이 미생물의 부패나 독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이온화 에너지량으로 식품을 처리하는 것으로 멸균이라고도 한다. 보통 필요한 선량은 25~45kGy이다.2. Radicidation : 어떠한 공인된 세균 시험방법으로 시험하였을 때 처리된 식품에서 아무것도 검출될 수 없는 수준까지 살아있는,...2023.11.20· 6페이지 -
알코올 소독 실험 5페이지
미생물생리학 실험보고서 (6) 2019년 10월 15일화학적 미생물 제어 ? 알코올 소독 실험1. Objects화학적 미생물 제어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보고 그 중 하나인 알코올을 이용한 소독에 대해 알아본다. 알코올의 농도와 소독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12. Introduction이상적인 소독제는 낮은 농도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감염원(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항산성균, 세균의 내생포자, 균류, 바이러스)에 모두 효과적이며 유기물도 있어야 효과가 높은 것이다. 또한 오래 보관해도 역가가 떨어지지 않아야 하고, 냄새가...2021.10.21·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