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제어실험의 이론값과 실험값 오차 분석
본 내용은
"
[A+]2024전남대 기계공학실험 모터제어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1
문서 내 토픽
-
1. 이론값 오차 원인모터제어실험에서 이론값 오차는 두 가지 주요 원인으로 발생한다. 첫째, Kirchoff의 전압 법칙을 적용할 때 수학적 모델링을 단순화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실제 시스템은 이론 모델보다 훨씬 복잡하기 때문이다. 둘째, 교재의 표에 제시된 디스크, 허브 등의 질량, 저항, 관성모멘트 값이 실제값과 차이가 있어 오차를 유발한다. 이론값과 실제 작동 환경의 불일치가 오차의 근본 원인이다.
-
2. 실험값 오차 원인실험값 오차는 측정 과정에서 발생한다.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면 엔코더에서 각도값을 읽고 라디안으로 변환한 후 미분하여 속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과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엔코더 자체의 고유 오차로 인해 측정치의 최대 오차가 발생한다. 엔코더의 정확도는 100%가 될 수 없으므로 실제 위치와 측정된 위치 사이에 항상 오차가 존재한다.
-
3. 엔코더 측정 오차엔코더는 모터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측정 과정에서 고유한 오차를 가진다. 엔코더의 정확도는 실제 위치와 엔코더가 보고한 위치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측정치의 최대 오차를 의미한다. 엔코더의 정확도가 100%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모든 측정에 불가피한 오차가 포함됨을 의미한다.
-
4. 신호 처리 과정의 오차엔코더로부터 얻은 각도 데이터를 라디안으로 변환하고 미분하여 속도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거나 노이즈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최종 측정값의 정확도를 저하시킨다.
-
1. 이론값 오차 원인이론값 오차는 실제 물리 현상을 수학적 모델로 단순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상적인 조건을 가정하면서 공기 저항, 마찰력, 온도 변화 등 현실의 복잡한 요소들을 무시하게 됩니다. 또한 물리 상수의 근사값 사용, 미분방정식의 근사 해법, 경계 조건의 단순화 등이 오차를 야기합니다. 고차 항을 무시하는 테일러 전개나 선형화 과정도 중요한 오차 원인입니다. 이러한 오차는 시스템의 복잡도가 높을수록 더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모델의 정교함과 현실성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실험값 오차 원인실험값 오차는 측정 장비의 정밀도 한계, 환경 변수의 불안정성, 그리고 인적 오류로부터 발생합니다. 측정 기구의 영점 오차, 눈금 읽기 오차, 기계적 마모 등이 체계적 오차를 만들고, 온도 변화, 습도, 진동 같은 외부 환경 요인들은 불규칙한 오차를 초래합니다. 또한 샘플 준비 과정의 부정확성, 반복 측정 시 조건 변화,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도 오차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오차들을 최소화하려면 정밀한 기기 사용, 환경 제어, 충분한 반복 측정, 그리고 통계적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
3. 엔코더 측정 오차엔코더는 회전 각도나 선형 변위를 측정하는 중요한 센서이지만 여러 오차 원인을 가집니다. 기계적 백래시, 축 정렬 불량, 베어링 마모로 인한 진동이 측정 오차를 유발합니다. 광학식 엔코더의 경우 먼지나 오염으로 인한 신호 감소, 온도 변화에 따른 재료 팽창, 해상도 한계 등이 문제가 됩니다. 자기식 엔코더는 자기장 간섭, 금속 부품의 자기 특성 변화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의 노이즈, 샘플링 주파수 부족, 신호 지연도 오차를 증가시킵니다. 정기적인 유지보수, 적절한 설치, 고품질 신호 처리 회로 사용이 오차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
4. 신호 처리 과정의 오차신호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필터링, 샘플링 단계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양자화 오차는 연속 신호를 이산 값으로 변환할 때 불가피하게 발생하며, 비트 해상도가 낮을수록 커집니다. 나이퀴스트 정리를 위반하는 저주파 샘플링은 에일리어싱을 야기하고, 필터의 특성 곡선 왜곡은 신호 손실을 초래합니다. 또한 계산 과정에서의 부동소수점 연산 오차, 필터 계수의 양자화 오차, 신호 지연도 누적됩니다. 이러한 오차들을 최소화하려면 충분한 샘플링 레이트, 적절한 필터 설계, 높은 비트 해상도, 그리고 정확한 알고리즘 구현이 필요합니다.
-
직류 모터 속도 제어 시스템 실험1. 폐루프 궤환 제어시스템 폐루프 궤환 제어시스템은 출력을 측정하여 입력과 비교하는 피드백 메커니즘을 통해 구성된다. 시스템의 전달함수는 G = KG/(1+KGH)로 표현되며, H=1인 경우 Unity Feedback이라 한다. 이득 K를 증가시키면 출력과 입력이 더욱 일치하게 되어 시스템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식기세척기, 냉장고, 오...2025.11.15 · 공학/기술
-
직류모터 속도제어 시스템의 폐루프 궤환 제어 실험1. 폐루프 궤환 제어시스템 폐루프 궤환 제어시스템은 출력을 측정하여 입력과 비교하는 피드백을 통해 구성된다. 이 시스템에서 전달함수는 G=(Output)/(Input)로 표현되며, 폐루프 전달함수는 C/R = (KG)/(1+KGH)로 정리된다. Unity feedback인 경우 K가 클수록 출력과 입력이 같아지지만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모터 제어에서 ...2025.11.18 · 공학/기술
-
아주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동역학 및 자동제어 만점 결과보고서1. 모터의 정의와 구동 원리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솔레노이드 내부에 균일하면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통해 자기장과 전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을 만들 수 있다. 모터는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DC 모터와 교류전원을 이용하는 AC 모터로 나눌 수 있다. 2. 모터의 용도에 따...2025.01.22 · 공학/기술
-
[A+, 한양대 에리카] 일반물리학실험1 7.회전관성1. 회전관성 회전관성은 물체가 회전운동을 유지하려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관성 모멘트 I라고도 한다. 회전관성은 회전체의 질량이 회전축에 대하여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 알려준다. 특정한 회전축에 대하여 강체의 회전관성은 일정한 값을 가진다. 회전관성은 물체가 외부의 토크에 대한 민감도를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는 원형 링과 원판의 회전관성을 측정하고 ...2025.01.14 · 자연과학
-
2023 명지대 기공실 로봇의 제어 실험 결과레포트1. 정기구학 실험 실험1에서는 정기구학 실험으로 조인트의 속도와 가속도, 각도를 입력하여 말단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진행되었습니다. 실험 설정값으로 첫 번째 링크 길이 180mm, 두 번째 링크 길이 150mm, 각속도 1000dps, 각가속도 500dps, 첫 번째 링크 각도 45°, 두 번째 링크 각도 60°가 사용되었습니다. 실제 움직인 좌표와 이...2025.05.09 · 공학/기술
-
555타이머 IC를 이용한 비안정 발진회로 실험1. 555타이머 IC 비안정 발진회로 NE555 타이머 IC를 이용하여 비안정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실험입니다. 비안정 발진회로는 안정적인 상태가 없으며 외부 트리거 없이도 두 상태 사이를 지속적으로 사이클합니다. 출력은 구형파 형태이며 LOW와 HIGH 신호를 반복적으로 출력합니다. 주파수는 f=1.44/((RA+2RB)C1) 식으로 계산되며, 저항과 커...2025.11.14 · 공학/기술
-
모터제어_보고서 3페이지
Dankook University Mechanical Engineering모터제어Dankook University Mechanical Engineering모터제어모터제어Key Words: Control system(제어 시스템), DC motor(직류모터), Steady state error(정상 상태 오차), Gain(이득값), Function(함수), Closed-Loop Feedback Control System(폐루프 궤환 제어시스템),초록: 속도 제어 시스템에서 직류 모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고안을 해보고자 실험을 진...2023.12.24· 3페이지 -
동역학 및 자동제어 응용실험 결과보고서(아주대 기계공학 응용실험) 11페이지
- 결과 보고서 -실험 제목: 동역학 및 자동제어 응용 실험과목명 : 기계 공학 응용 실험제출일: 2023년 4월 일실험일자: 2023년 4월 일실 험 조 명 :반 조책임 수행자 :공동 수행자 :형 식/ 15이론 설명 및 실험 방법/ 15결 과 및 토 의/ 20결 론/ 10합 계/ 60비 고아주대학교 기계공학부- 목 차 -1. 실험 목적2. 실험 이론3. 실험 장치 및 실험 방법4. 실험 결과 및 고찰5. 결 론6. 참고문헌1. 실험 목적1) DC 모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모터의 위치 제어 시스템을 만들고, PID를 제어기로 사용...2024.03.08· 11페이지 -
[기계공학]모터제어 실험 결과레포트 13페이지
1. 실험 제목 및 인적 사항(1) 실험 제목모터 제어 실험2. 실험결과 1(1) DC 모터 모델링 검증 실험① 수학식으로부터 예측된 계산된 관성모멘트 값은?관성모멘트를 구할 수 있는 수학식은J`=` {1} over {2} mr ^{2}입니다. 이때,J`는 여러 관성모멘트가 합쳐져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DC Motor, Load Hub, Disk Load의 관성모멘트입니다. 언급한 관성모멘트를 수식으로 나타내보면J`=`J _{eq} `=`J _{m} +J _{h} +J _{d} 로 적을 수 있습니다.J _{m} (Rotor``i``...2024.06.21· 13페이지 -
[한양대 기계공학부] 동역학제어실험 실험12 PID 모터 위치 제어 A+ 자료 17페이지
실험 레포트실험 12PID 모터 위치 제어과목명.동역학제어실험1(10651)제출일.2022. 12. 22.공과대학 기계공학부X학년, 학번 20XXXXXXXXO O O1. 실험 목적이번 실험에서는 모터의 PID 구동에 대하여 다루어본다. 이전 시간까지 배운 것을 토대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2. 실험 이론2-1. 제어기의 동작 원리와 종류제어기의 목적은 제어를 하고자 하는 시스템(Process) 의 출력값(Output) 을 사용자가 원 하는 값(Setpoint) 과 일치시키는 것이다. 출력 값과 원하는 값의 차이가 오차(Error)...2023.01.07· 17페이지 -
기계공학실험A 모터제어 결과보고서 (2024년도 2학기) 10페이지
기계공학실험B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제출자 : XXXRevision. 12024년도 1학기기계공학실험 A< A-7 모터 제어 실험 >Report(XX 조)A-1A-2A-3A-4A-5A-6인장 실험경도 및 충격 실험압력용기 및 좌굴 실험크리프 실험도립 진자제어능동 진동제어A-7A-8A-9A-10A-11A-12모터 제어금속재료진동실험복합재료동역학실험동마찰계수 및 충격량 측정이 름 : XXX학 번 : XXX담당교수 : XXX 교수님제출일자 :기계공학실험 A 2024년 10월 X일1. Open-loop control system & Clos...2025.01.05· 10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