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과 특성
본 내용은
"
[한국외대] 국어문법론 과제2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8
문서 내 토픽
-
1.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국어 문법 연구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온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은 형태론적 관점과 의미론적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다. 형태론적 관점의 인칭·대상 활용설은 허웅이 주장한 것으로, 종결형·연결형에서 '-오/우-'는 1인칭 주어 대명사일 때 나타나는 인칭 활용 어미이고,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우-'는 대상 활용 어미라고 본다. 의미론적 관점의 의도법설은 이숭녕이 주장한 것으로, '-오/우-'가 화자의 의도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
-
2. 인칭법 선어말어미 '-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 '-오'는 주어가 1인칭임을 표시한다. 주어가 '나', '우리'일 때 '-오-'가 들어간다. 중세국어에서 주어가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생략되는 경우, 문맥상 상정될 수 있는 주어가 1인칭 화자 자신을 가리키면 서술어에 '-오/우-'가 사용된다. 표면상 주어가 3인칭 명사인 경우에도 그 명사가 화자를 지시하면 '-오/우-'가 나타난다.
-
3. 중세국어 문법 연구중세국어의 문법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어말어미와 같은 세부 요소들을 분석해야 한다. 선어말어미는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뒤에 붙어 시제, 인칭, 의도 등 다양한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중세국어 문법 연구는 현대국어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
1. 주제1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선어말어미 '-오/우-'는 한국어 문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 이 어미는 주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하며,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결합하여 시간적 거리감을 표현합니다. 현대국어에서는 '-았/었-'으로 발전했지만, 중세국어에서의 '-오/우-'는 더욱 다양한 문법적 기능을 담당했습니다. 이 어미의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의 시제 체계와 문법 발달 과정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문헌 자료 분석을 통해 '-오/우-'의 다층적 기능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2 인칭법 선어말어미 '-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로서의 '-오/우-'는 화자의 주관적 태도나 청자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는 단순한 시제 표지를 넘어 사회적 맥락과 인간관계를 반영하는 언어 현상입니다. 중세국어에서 '-오/우-'가 존댓말 형성에 관여했던 점은 한국어의 경어법 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현대국어의 '-어요/아요' 체계로의 변화 과정에서 '-오/우-'의 역할을 추적하면, 한국어 문법이 어떻게 체계화되었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3. 주제3 중세국어 문법 연구중세국어 문법 연구는 한국어의 역사적 발전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학문입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문헌들을 통해 당시의 문법 체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이는 현대국어 문법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선어말어미, 어미, 조사 등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면 언어 변화의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중세국어 문법 연구는 단순한 역사 기록이 아니라 언어 체계의 보편적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있습니다.
-
[중세국어문법] 어말어미 - 국어교육과, 국어국문과 5페이지
중세국어(어말어미).hwp1. 어말어미중세국어의 어말어미는 정동사어미(종결어미), 부동사어미(연결어미), 동명사어미(전성어미)로 나누어진다.1.1. 종결어미정동사어미 곧 종결어미는 화자의 태도, 곧 敍法에 따라 ‘설명·감탄·의문·공동·명령·허락·약속’ 일곱종류로 나뉜다. (주로 ‘설명, 감탄, 의문, 명령, 청유’ 정도만 다룸)구분평서형감탄형의문형명령형청유형ㅎㆍ쇼셔체-ㅇㅣ다-도소ㅇㅣ다판정 : -니ㅇㅣㅅ가-쇼셔-사ㅇㅣ다설명 : -니ㅇㅣㅅ고ㅎㆍ야쎠체-ㅤㅣㅇ다판정 : -닛가(설명 : -닛고)-아/어쎠반말체-니-리-니/ -리-고라/-고려ㅎ...2021.06.09· 5페이지 -
중세국어 표준 문법 연구 -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를 중심으로 6페이지
중세국어 표준 문법 연구- 중세 국어의 선어말 어미를 중심으로 -목 차Ⅰ. 서 론Ⅱ. 중세 국어 선어말 어미의 특성Ⅲ. 중세 국어 선어말 어미의 종류Ⅳ. 중세국어의 선어말 어미의 분류1. 선어말 어미와 다른 어미의 결합정도에 따른 분류2 선어말 어미의 기능에 따른 분류3. 선어말 어미 중 ‘-오-’의 의도법Ⅴ. 결 론참고 문헌Ⅰ. 서 론선어말 어미란 용언의 활용 시 어간에서 가장 먼 거리에 나타나는 문법형태소인 어말 어미보다 선행하는 위치에 있는 문법형태소를 말하며 다른 말로는 보조용언이라고도 한다. ‘가-’라는 동사의 어간을 활용...2020.10.29· 6페이지 -
중세국어 정동사의 용법의 논의 5페이지
중세국어 정동사의 용법의 논의목 차Ⅰ. 서 론Ⅱ. 중세국어 정동사 용법1. 설명법/ 2. 감탄법3. 의문법/ 4. 청유법5. 명령법/ 6. 허락법/ 7. 약속법Ⅲ. 결 론참고 문헌Ⅰ. 서 론중세국어의 어말어미는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정동사(verba finita), 부동사(converbum), 동명사(nomina verbalia) 어미로 나누어진다. 이들 가운데 정동사는 주어에 대한 진술을 종결하는 서술어의 형태로서 즉 용언이 종결 어미를 가진 형태를 이르는 개념이다. 어말의 위치에서 정동사어미 형태소는 문장을 종결하는 통사론적 기...2020.10.29· 5페이지 -
중세 선어말어미의 용법 7페이지
- 목 차 -Ⅰ.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Ⅱ. 선어말어미의 개념 및 유형1. 선어말어미의 개념2. 선어말어미와 교착적 선어말어미Ⅲ. 선어말어미의 기능1. 경어법 선어말어미2. 시상법 선어말어미3. 의도법 선어말어미4. 감동법 선어말어미Ⅳ. 결론참고문헌Ⅰ. 조사 목적과 조사 방법과제의 목적은 중세 선어말어미의 용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중세 선어말 어미의 개념과 유형을 조사한 뒤, 어떠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우선 선어말어미는 분리적 선어말어미와 교착적 선어말어미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어떤 ...2019.07.24· 7페이지 -
후기 중세 한국어 경어법의 체계 및 특징(존경법, 겸양법, 공손법, 높임법 등) 10페이지
후기 중세 한국어 경어법의 체계 및 특징목차■ 선어말어미에 따른 높임법1. 존경법2. 겸양법■ 종결어미에 따른 높임법1. 공손법■ 특수어휘에 따른 높임법1. 체언의 높임법2. 어휘에 의한 높임법3. 접사에 의한 높임법높임법이라고도 부르는 경어법은 화자가 이야기에 관계되는 어느 인물에 대해 존대의사를 표현하는가에 따라 존경법, 겸양법, 공손법으로 나뉜다.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높임법의 차이는 선어말어미의 사용 유무에 있는데 중세국어에서의 경어법은 선어말어미에 의해서 실현된다. 경어법은 문법형태소인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의 문법형태소를 ...2019.05.29· 10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