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상피난소암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 및 피부손상 간호
본 내용은
"
[A+] 상피난소암 케이스스터디(전해질불균형, 피부통합성장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4
문서 내 토픽
  • 1. 상피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
    44세 여성 환자로 2021년 상피난소암 stage IIIC 진단받음. Docetaxel-carboplatin 항암화학요법 8차 진행 중(2022.10.25). 2021년 12월 24일 탐색적 개복술 및 종양 제거술 시행. 현재 장폐색 및 복막암종증으로 항암 및 지지요법 진행 중. 입원 후 12kg 체중 감소(73.35kg→61kg) 및 일반적 허약감 호소.
  • 2. 전해질 불균형(Electrolyte Imbalance)
    잦은 설사(11/1 밤 11회, watery 양상)로 인한 심각한 전해질 불균형 발생. 검사 결과 Na 130(정상 135-145), K 3.2(정상 3.5-5.5), Cl 93(정상 98-110) 등 저하. 탈수 증상으로 구강 건조, 피부 건조 관찰. I/O 불균형(11/3: 1580/620) 및 설사로 인한 수분 및 전해질 손실. 간호 중재로 수액 및 TPN 투여, 지사제 포타겔 투약, 비위관 유지.
  • 3. 욕창 및 피부통합성장애(Pressure Ulcer and Skin Integrity)
    부동 및 잦은 설사로 인한 피부손상 발생. 양쪽 엉덩이 stage 2 욕창, 손바닥 발적 관찰. 입원 후 대부분 침상에서 보내며 활동 제한. 간호 중재로 Mepilex border heal, Comfeel barrier cream, Aquacel foam 드레싱 적용. 4시간마다 피부 사정, 체위 변경 격려, 압력 완화 패드 적용. 11/9 추가 피부손상 없음으로 단기 목표 달성.
  • 4.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관리(Chemotherapy Side Effects Management)
    Docetaxel-carboplatin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 발생. 급성 통증(NRS 6점, 복부 전체), 피로 및 허약감, 설사, 구역질 등. 진통제(Caldolor 400mg, Tridol 100mg), 항구토제(Meckool 10mg), 지사제(포타겔) 투약. 비타민 유지요법(Tamipool), 아미노산 보급(Cletamin) 시행. 영양 지지를 위해 Nasojejunal tube 삽입 및 TPN 40cc/hr 투여.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상피난소암(Epithelial Ovarian Cancer)
    상피난소암은 여성 암 중에서도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으로, 조기 진단의 어려움이 주요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진행된 단계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은 편입니다. 현대 의학에서는 수술적 제거와 백금 기반 화학요법의 병합 치료가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잡았으며, 최근 PARP 억제제와 항혈관신생제 같은 표적 치료제의 개발로 치료 성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재발률이 높고 약물 내성 문제가 존재하므로, 개인맞춤형 치료와 조기 선별 검사 개발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심리사회적 지원도 종합적 치료 계획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2. 전해질 불균형(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 불균형은 다양한 질환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으로,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불균형은 신경근 기능, 심장 리듬, 뼈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암 환자나 신장 질환자, 장기간 약물 복용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혈액 검사와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원인 파악과 함께 적절한 식이 조절, 수액 관리, 필요시 약물 치료를 통해 정상 범위로 복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세심한 관찰과 환자 교육이 예방과 관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3. 욕창 및 피부통합성장애(Pressure Ulcer and Skin Integrity)
    욕창은 장기 입원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예방 가능한 합병증입니다.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한 조직 손상은 감염, 통증, 치료 비용 증가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체위 변경, 피부 상태 모니터링, 적절한 영양 관리, 습도 조절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암 환자의 경우 영양 상태 악화와 면역력 저하로 욕창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초기 단계에서의 적절한 중재와 다학제적 접근이 욕창 진행을 막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4. 항암화학요법 부작용 관리(Chemotherapy Side Effects Management)
    항암화학요법은 암 치료의 핵심이지만 다양한 부작용을 동반하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오심, 구토, 탈모, 골수 억제, 말초신경병증 등의 부작용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현대에는 5-HT3 길항제, NK1 길항제 등의 제토제 개발로 오심 관리가 많이 개선되었으며, 조혈 성장인자 사용으로 골수 억제도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차가 크므로 맞춤형 부작용 관리 계획이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영양 지원, 심리 상담, 운동 프로그램 등 통합적 접근이 환자의 치료 순응도 향상과 예후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