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 장애: 구조, 기능 및 임상 질환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부신 장애[부신(Adrenal glands), 부신 수질(Adrenal medulla), 부신피질 기능항진증(쿠싱증후군, 알도스테론증), 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디슨병,Addison's disease), 부신위기(Addison's crisis), 갈색세포증(Pheochromocytoma)] 자료조사, 요약정리, 문헌고찰, 교과서(교재, 필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7
문서 내 토픽
-
1. 부신의 구조와 기능부신은 신장 상부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피라미드 모양 기관으로, 생명에 필수적인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부신피질은 당류피질호르몬(코르티솔), 염류코르티코이드(알도스테론), 안드로겐을 분비하며, 부신수질은 카테콜라민(에피네프린 75%, 노르에피네프린 25%)을 분비합니다. 이들 호르몬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대사, 수분 및 전해질 균형,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합니다.
-
2. 쿠싱증후군(부신피질 기능항진증)쿠싱증후군은 코르티솔 과잉으로 인한 질환으로, 의인성(스테로이드 장기 사용)과 내인성(부신종양, ACTH 분비 종양)으로 분류됩니다. 주요 증상은 문페이스, 들소목, 자색선, 근육 소모, 골다공증, 고혈당, 고혈압, 감염 위험 증가입니다. 진단은 덱사메타손 억제검사, 혈장 코티솔 검사, 혈장 ACTH 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약물요법(코티솔 합성 억제제) 또는 수술(경접형골 선종제거술, 부신절제술)입니다.
-
3. 에디슨병(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디슨병은 부신피질 호르몬 부족으로 인한 질환으로, 일차성(부신 자체 파괴)과 이차성(뇌하수체 질환)으로 분류됩니다. 증상은 피로, 허약감,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색소침착(얼굴, 목, 손, 팔꿈치, 무릎), 저혈당, 기립성 저혈압입니다. 진단은 24시간 소변 수집(17-OHCS, 17-KS 측정), 혈장 코티솔, ACTH 자극검사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호르몬 보충(하이드로코르티손, 플루드로코르티손)과 고탄수화물, 고단백 식이입니다.
-
4. 부신위기(Addison's crisis)부신위기는 부신 부전의 급성 악화로, 호르몬 요법 중단, 과도한 스트레스, 급성 감염이나 출혈로 발생합니다. 증상은 식욕 감퇴, 오심, 구토, 설사, 전신 근육 쇠약, 혼돈, 부정맥,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심한 저혈압 및 쇼크입니다. 치료는 응급 상황으로 스테로이드 투여, 수액 공급, 전해질 투여가 필요하며, 신속한 치료로 12시간 내에 회복됩니다.
-
5. 갈색세포증(Pheochromocytoma)갈색세포증은 부신수질의 카테콜라민 분비 종양으로, 일반적으로 양성이나 10%는 악성입니다. 카테콜라민 과잉분비로 인해 심하고 일시적인 고혈압, 두통, 빈맥, 불안, 발한, 심계항진, 오심, 구토, 고혈당이 발생합니다. 진단은 혈장 및 소변 카테콜라민 증가, CT, MRI로 이루어지며, 치료는 수술 전 알파, 베타 교감신경 수용체 차단제로 증상 조절 후 부신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1. 부신의 구조와 기능부신은 신장 위에 위치한 작은 내분비선으로, 외부의 피질과 내부의 수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신피질은 세 층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호르몬을 분비합니다. 이 구조적 특성은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 염분 및 수분 조절, 성적 발달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담당합니다. 부신수질은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분비하여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킵니다. 이러한 호르몬들의 정교한 조절은 혈압, 혈당, 전해질 균형 유지에 중요하며, 부신의 기능 이상은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2. 쿠싱증후군(부신피질 기능항진증)쿠싱증후군은 과도한 코르티솔 분비로 인한 질환으로, 신체에 광범위한 부작용을 초래합니다. 특징적인 증상으로는 중심성 비만, 자주색 줄무늬,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이 질환은 뇌하수체 종양, 부신 종양, 또는 이소성 ACTH 분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24시간 요중 유리 코르티솔 검사, 저용량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치료 등으로 진행되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예후 개선에 매우 중요합니다.
-
3. 에디슨병(부신피질 기능저하증)에디슨병은 부신피질이 충분한 호르몬을 생산하지 못하는 만성 질환으로, 주로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며 피로, 근력 약화, 저혈압, 저혈당, 피부 색소 침착 등을 포함합니다. 이 질환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부신위기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 진단은 ACTH 자극 검사와 기저 코르티솔 수치 측정으로 확인됩니다. 치료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미네랄로코르티코이드 대체 요법으로 이루어지며, 적절한 약물 관리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
4. 부신위기(Addison's crisis)부신위기는 에디슨병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급격한 코르티솔 결핍으로 인한 생명 위협적 상태입니다. 감염, 외상, 수술, 스트레스 등의 유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심한 저혈압, 저혈당, 전해질 불균형, 의식 변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의료 응급 상황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치료는 정맥 주사를 통한 고용량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투여와 생리식염수 수액 공급으로 이루어집니다. 에디슨병 환자들은 항상 응급 약물을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의료진과 가족들이 부신위기의 징후를 인식하는 것이 생명 구조에 중요합니다.
-
5.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갈색세포종은 부신수질의 크롬친화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과도한 카테콜아민을 분비합니다. 이로 인해 발작적인 고혈압, 두통, 과도한 발한, 심계항진, 불안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약 10%는 악성이며, 일부는 유전적 증후군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진단은 24시간 요중 메타네프린 측정, 혈장 유리 메타네프린 검사, 영상 검사(CT, MRI, PET)로 이루어집니다. 치료는 주로 수술적 제거이며, 수술 전에 알파 차단제와 베타 차단제로 혈역학적 안정화가 필수적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완치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소화기·내분비·간호수행 사전학습1.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소화기계는 음식물을 가공하여 소화산물을 혈액으로 흡수하고 흡수되지 않은 물질을 배설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주요 기관으로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간, 담낭, 췌장이 있으며, 각 기관은 특정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강에서는 저작과 침에 의한 소화가 일어나고, 위에서는 음식물 저장과 위액 분비가 이루어지며, ...2025.11.1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약리학 튜터링 -튜터링 대회1등 수상1. 간, 담낭, 췌장의 구조와 기능 간의 구조와 기능, 담낭과 췌장의 구조를 이해하고 간, 담낭, 췌장의 건강문제와 관련된 간호에 대해 학습하였다. 간의 기능, 담관 조영술(ERCP)에 대한 이해, 황달 발생 원인 등을 학습하였다. 2. 지방간과 간종양 지방간과 간종양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에 대해 학습하였다. 간동맥화학색전술(TACE)에 대한 ...2025.05.09 · 의학/약학
-
내분비계의 구조, 기능 및 질환 관리1. 내분비선의 종류 및 위치 인체의 내분비선은 뇌하수체, 갑상선, 부갑상선, 부신, 췌장, 성선, 흉선 등으로 구성된다. 뇌하수체는 뇌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엽과 후엽으로 나뉜다. 갑상선은 목의 전면에 위치하여 타이록신을 분비한다. 부갑상선은 갑상선 아래 양쪽에 4개가 위치하며 칼슘과 인의 균형을 조절한다. 부신은 피질과 수질로 나뉘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2025.11.11 · 의학/약학
-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과정1.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2주 동안 최소 2번 이상 다른 시간에 측정한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혈압이 높을수록 심장동맥질환, 뇌졸중, 콩팥 및 말초혈관병변 유발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0세 이상에서 수축기혈압이 140mmHg이상으로 높으면 심혈관계 질환에 이환될 위험이 더 높은 것...2025.05.16 · 의학/약학
-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관련 장애의 특징과 치료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PTSD는 전쟁, 고문, 자연재해 등 심각한 사건 경험 후 공포감과 함께 재경험 및 고통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충격적 사건의 재경험, 관련 자극 회피, 해리 현상, 공황 발작 등입니다. 평생 유병률은 약 6.7%이며, 원인으로는 어린 시절 심리적 상처, 성격 장애, 부적절한 가족 관계, 유전적 취약성 등이 ...2025.11.12 · 심리/행동
-
인체해부학 기말고사 정리 및 문제풀이1. 심장 자극전도계 심장의 전기신호 전달 경로는 동방결절(SA node)에서 시작되어 방실결절(AV node), 히스다발(AV bundle), 심장전도근육섬유(Purkinje fiber) 순서로 진행된다. 동방결절은 분당 60~100회의 흥분을 만들어 심박동수를 결정하며, 방실결절은 심방에서 심실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유일한 통로이다. 히스다발은 심실 중...2025.11.13 · 의학/약학
-
병리학-내분비계통ppt 67페이지
*Part1 .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Part 2. 내분비계 질환*1.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1.1 호르몬의 조절기전 1.2 호르몬 유리 조절 1.3 호르몬 운반 1.4 호르몬 작용기전 2. 뇌하수체의 구조와 기능 3. 갑상샘의 구조와 기능 4. 부갑상샘의 구조와 기능 5. 부신의 구조와 기능 6. 췌장의 구조와 기능 7. 성호르몬*• 외분비샘(exocrine gland) : 관을 따라 신체내와 피부까지 분비물 운반한다. = 침샘, 기름샘, 땀샘, 간, 위, 장, 췌장, 전립샘, 젖샘, 눈물샘 등 • 내분비샘(endocrine gl...2024.03.17· 67페이지 -
성인간호 중환자실 체액과다,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케이스 1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사례 연구목차Ⅰ. 서론Ⅱ. 문헌 고찰-만성신부전Ⅲ. 연구 기간 및 방법Ⅳ. 간호 과정Ⅴ. 결론* 참고문헌Ⅰ. 서론중환자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간호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하나의 질환이 아닌 여러 가지 질환으로 인한 복합적인 문제가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복잡한 과거력과 고령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간호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쇠약을 진단 받고 입원했으나 중환자실 입실 후에는 신장내과의 환자로 CRRT를 받으며 혈압, 혈당 조절에 힘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대상자의 질병을 통...2024.01.29· 16페이지 -
질환 정리 레포트(비뇨계통, 호르몬분비이상, 뼈대계통, 뇌혈관질환) 8페이지
비뇨계통1) 콩팥염증후군(신증후군)? 토리 질환(사구체 질환). 주요 임상증후군, 하루 단백질 3g 이상 소변으로 손실? 4대 증상저알부민혈증(=저단백질혈증),단백뇨, 심한 부종, 고지혈증4) 면역기전을 통한 토리병변(1) 모세관내증식성 토리콩팥염? 콩팥토리 염증 갑자기 발생하는 것? 감염증에 이어 발생하는 경우 많고 목감기 등 앓는 소아 잘 발병? 원인균 A군 β-hemolytic Streptococcus(4) 전신질환에 수반하는 토리병변1 루푸스콩팥염? SLE 환자에서 생기는 루푸스콩팥염? 루푸스 환자 약 1/3에 발생 (자가면...2023.07.02· 8페이지 -
63. 간경변 (Liver Cirrhosis) 14페이지
간경변(Liver Cirrhosis)대학교/학과교 과 목담 당 교 수제 출 일제출자: 학년/반/학번이름Ⅰ. 질병 보고서(Care study)1. 질병명 및 정의간경변 [ Liver Cirrhosis ]간의 만성 질환이며 미만성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결국 간의기본구조가 변하고 간 기능이 상실되는 질병이다.2. 원인 및 위험요인유형원인특성괴사 후 간경화증(Postnecrotic cirrhosis)간독소로 인한 괴사간의 크기 작아짐(결절·섬유화조직에 의해)영양성, 문맥성, 알코올성 간경화증(Laennec's cirrhosis)알코올 중독...2024.10.16· 14페이지 -
임상심리학 )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관련 장애(Trauma-and Stress-Related Disorder)에 대한 설명과 이 범주에 포함되는 하위 정신장애들을 각각 소개하고 그 장애의 특징 및 원인, 유병률, 치료의 예후를 찾아서 설명하시오. 5페이지
임상심리학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관련 장애(Trauma-and Stress-Related Disorder)에 대한 설명과 이 범주에 포함되는 하위 정신장애들을 각각 소개하고 그 장애의 특징 및 원인, 유병률, 치료의 예후를 찾아서 설명하시오.임상심리학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관련 장애(Trauma-and Stress-Related Disorder)에 대한 설명과 이 범주에 포함되는 하위 정신장애들을 각각 소개하고 그 장애의 특징 및 원인, 유병률, 치료의 예후를 찾아서 설명하시오.목차1. 서론2. 본론2.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2023.04.30·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