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후기의 역사 기록물
본 내용은
"
고려 후기의 역사 기록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26
문서 내 토픽
-
1. 삼국유사일연이 고려 충렬왕 시기에 저술한 기사본말체 사서로, 고조선부터 고려시기까지 기록한 최초의 고조선 기록 서적입니다. 신비사관을 바탕으로 설화와 신화를 '기이'편에 기록했으며, 불교 입장에서 저술되어 유교와 도교는 등한시되었습니다. 향가 25수 중 14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삼국사기와 달리 야사적 성격으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내용들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
2. 동명왕편이규보가 고려 명종 이의민 집권시기에 저술한 5언고시 형태의 서사시로, 동국이상국집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구려 건국자 주몽에 대해 저술했으며, 하백과 유화, 졸본의 송양왕, 금와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전의 유교적 합리사관과 중화사상을 탈피한 민족적 자주의식의 역사서라는 의의가 있습니다.
-
3. 제왕운기이승휴가 저술한 상권과 하권으로 구성된 역사서로, 상권에서는 중국의 역사를, 하권에서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서사시 형태로 기술했습니다. 단군에 대한 기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삼국유사의 단군 기록과 차이가 있습니다. 단군이 1028년간 나라를 통치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4. 해동고승전각훈이 지은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역사 기록물로, 고려 시대 승려들의 전기를 기록한 불교 관련 사서입니다. 고려 후기 불교 문화와 승려들의 활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
1. 삼국유사삼국유사는 한국 고대사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입니다. 일연 스님이 13세기에 저술한 이 문헌은 삼국시대의 역사, 문화, 종교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단군신화부터 삼국통일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 한국 고대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신화적 요소와 역사적 사실이 혼재되어 있어 비판적 검토가 필요합니다. 삼국사기와 함께 비교 분석하면 더욱 정확한 역사 이해가 가능하며, 불교문화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입니다.
-
2. 동명왕편동명왕편은 고구려의 건국자 동명왕의 이야기를 담은 중요한 문헌입니다. 이 작품은 고구려 건국 신화와 역사를 기록하고 있어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주몽의 출생 신화와 건국 과정은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문학적으로도 영웅담의 전형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만 현존하는 자료가 제한적이어서 전체 내용을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고구려 문화와 정체성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문헌입니다.
-
3. 제왕운기제왕운기는 이승휴가 저술한 한국 고대사 통사로, 단군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운문으로 기록한 작품입니다. 이 문헌은 한국 역사의 연속성과 정통성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 단군 조선을 한국 역사의 정통한 시작점으로 설정함으로써 한국 역사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운문 형식으로 작성되어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읽혔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고려시대 역사 인식과 민족 정체성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입니다.
-
4. 해동고승전해동고승전은 한국 불교사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전기 문헌입니다. 이 작품은 한국 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저명한 승려들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불교 전래, 발전, 그리고 사회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입니다. 개별 승려의 전기뿐만 아니라 당시 불교 문화, 사상, 그리고 사회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한국 불교의 정체성과 역사적 위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동아시아 불교 문화 비교 연구에도 귀중한 가치를 지닙니다.
-
조선시기의 역사서1.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전기에 이전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통치 이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관찬 사서입니다. 태종 시기에 하윤을 비롯하여 권근, 이첨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고, 편찬을 시작한 이듬해에 완성하였습니다. 동국사략은 성리학적 기준에 의한 편년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록 형식을 달리하는 강목체(綱目體)를 첨가하...2025.01.12 · 인문/어학
-
조선후기에 편찬된 역사서1. 조선후기 역사서 조선후기에 편찬된 주요 역사서로는 해동역사, 동사강목,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해동역사는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다루었고, 동사강목과 발해고는 각각 조선 역사와 발해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였습니다. 이들 역사서는 조선 후기 실학 경향을 반영하며,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발해고 발해고는 유득공이 저술...2025.01.18 · 인문/어학
-
우리나라의 기록유산1. 기록유산 기록유산은 문자로 기록된 것뿐만 아니라 지도, 악보, 설계도면 등 이미지나 기호로 기록된 것도 포함됩니다. 문자로 기록된 서적 외에 영화나 사진과 같은 시청각 자료도 기록유산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현대에 만들어진 시청각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2.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유네스코에서는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2025.04.25 · 문화/관광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1.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은 고려시대의 역사와 지리를 다룬 역사서로, 성씨홍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의 역대 왕들의 생애와 정치 사건을 기록한 역사서로, 조선 시대에 왕실이 직접 편찬했습니다. 3. 세종실록 세종실록은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의 정부기록을 담은 역사서로, 세종대왕의 업적과 통치기록이 ...2025.01.14 · 인문/어학
-
조선 시대 지리서1. 조선 전기 지리서 조선 전기에는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리서들을 많이 편찬하였습니다. 이 시기의 지리서들은 주로 국가 통치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중심으로 제작되어 국가의 연혁, 강역, 산물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리서로는 동국여지승람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이 있습니다. 2. 조선 후기 지리서 조선 후기의 지리서들...2025.05.01 · 인문/어학
-
고려시대의 한문학1. 고려시대 한문학의 특징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한문학이 발전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정치적인 변화와 함께 문학적 활동도 활발했습니다. 고려시대의 한문학은 사직문학, 문인의 독립성 강화, 소설, 시와 가사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직문학은 궁궐에서 활동한 문인들이 지은 문학으로 왕실의 주도 아래 발전했으며, 문인의 독립성 강화로 정치적 표현과 사회 비...2025.01.13 · 인문/어학
-
고려시대의 문화 3페이지
고려시대의 문화●고려후기의 역사 저술고려후기에는 민족의 자주성을 고취하는 입장에서 역사서의 저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고려 후기 충렬왕 시기에 지어진 역사서로는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있습니다. 고려 충렬왕 시기의 승려 일연은 삼국유사를 저술하였습니다.고려 인종때에 편찬된 삼국사기가 신라, 백제, 고구려의 역사만을 기술한데 반하여 삼국유사에서는 전날신라, 백제, 고구려의 역사외에 가야와 발해, 부여등의 국가들에 대한 역사도 기술을 하였습니다.가야에 대한 역사는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 잘 나와 있습니다.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유교 ...2021.01.25· 3페이지 -
한국사의이해 )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 5페이지
한국사의이해아래 문제에 대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설명해주세요.⑷ 10~12세기의 다원적 국제질서와 고려의 ‘외왕내제’를 설명해주세요.⑸ 고려 후기 역사 서술과 역사 인식을 설명해주세요.한국사의이해아래 문제에 대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⑵ 삼국사회의 신분제와 농민생활을 설명해주세요.⑶ 신라 하대의 정치·사회 변동과 사상계의 변화를 ...2024.07.25· 5페이지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의 가치 10페이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의 가치목 차Ⅰ. 서 론Ⅱ.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준Ⅲ. 한국의 세계기록유산1.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3.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하권下卷4.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5.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 및 제경판諸經板6. 조선왕조 『의궤儀軌』7. 『동의보감東醫寶鑑』8. 『일성록日省錄』9.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광주민주화운동기록물10. 『난중일기亂中日記』11. 새마을운동 기록물12. 한국방송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13. 한국의 유교책판儒敎冊版14...2021.05.26· 10페이지 -
고려 후기 문학과 역사학 3페이지
고려 후기 문학과 역사학무신의 난이 일어나면서 고려의 문학은 침체기를 맞게 되는데요 이후 최충헌이 집권하고 최씨 정권이 확립되면서 문학이 다시 일어나게 됩니다.고려후기를 대표하는 문학은 패관 문학인데요 패관문학은 전설과 설화를 다룬 것으로 현실과는 동떨어진 측면이 많이 있습니다.고려후기 대표적인 패관문학 작품으로는 이인로가 지은 파한집을 비롯하여 이규보의 백운 소설,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 등이 있습니다.고려후기 대표적인 패관문학 작품이인로의 파한집이제현의 역옹패설이규보의 백운 소설최자의 보한집이외에 여러글을 모은 문집들...2020.09.01· 3페이지 -
고려시대의 농업서와 역사서 5페이지
고려시대의 농업서와 역사서고려시대에는 농업에 대한 서적이 많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도입된 농업서적들이 많이 사용이 되었습니다.고려시대의 농업에 대한 서적으로는 농상집요를 비롯하여 사시찬요가 있습니다.농상집요은 한자로 農桑輯要인데요 고려 후기에 이암이 저술하였습니다.이암이 지은 농상집요는 원나라에서 도입된 농업 기술과 정보를 집대성한 것으로, 고려의 농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농상집요는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 농작물 재배법, 뽕나무와 누에치기 등 농업과 목축, 임업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이암이 편찬한...2024.08.27·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