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급영양학 - 식품의 연소 에너지, 생리적 에너지, 에너지 밀도, 활동수준과 체중 변화에 따른 에너지요구량
본 내용은
"
고급영양학 ) 1. 식품의 연소 에너지가 2. 생리적 에너지가 3. 에너지 밀도 4. 활동수준과 체중 변화 방향에 따른 에너지요구량을 참고하여 다음 환자의 활동수준에 따른 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6
문서 내 토픽
-
1. 식품의 연소 에너지식품의 연소 에너지는 사람을 포함한 동물이 섭취하는 음식이나 사료, 식품 등에 포함되어있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합니다. 식품은 주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사람(동물)은 이와 같은 영양성분을 섭취함에 따라 에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식품에 포함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비율에 따라 에너지가가 달라지며, 각 함유량에 따라 물리적인 연소치에 소화흡수율을 곱하고 최종적으로 그 값을 다시 더하면 식품의 연소 에너지가가 나옵니다. 식품의 연소 에너지가는 칼로리(kcal)로 표기됩니다.
-
2. 생리적 에너지생리적 에너지는 사람이나 동물이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대사를 의미합니다. 식품, 수면 등을 통해 발생하는 에너지가도 있지만 외부에서 에너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외부에 존재하는 에너지가 모두 생리적인 에너지가 될 수는 없으며 사람이나 동물의 신체와 접촉되었을 때 유효하게 작용할 때 생리적 에너지가의 가치가 있습니다.
-
3. 에너지 밀도에너지의 밀도는 에너지가 가지고 있는 부피, 무게 등 특정한 단위에 따라 부여되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밀도를 부피에 따라 측정하는 것과 무게에 따라 측정하는 것은 그 값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에너지 밀도 표기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1g에 4kcal, 지방은 1g에 9kcal입니다.
-
4. 활동수준과 체중 변화에 따른 에너지요구량환자의 신장은 158cm, 체중은 67kg이며 평상시 활동수준은 보통 활동입니다. 표준체중은 (158-100)×0.9의 값에 따라 52.2kg입니다. 이 환자의 이상체중 백분율은 67/52.2×100의 값이 123.21%로 비만으로 판정됩니다. 활동률이 보통에 속하며 비만인 사람이 체중감소를 원할 때 30kcal을 대입하여 계산을 해야하는데, 신속하게 감량을 원할 경우 52.2x30에 따라 1566kcal를, 실패없이 확실한 감량을 원할 경우 2010kcal처방을 할 수 있는데, 조정체중을 기준으로 원할 경우이기 때문에 1566kcal를 처방합니다.
-
5. 체질량지수(BMI) 및 복부비만 판정실습 대상자의 키는 164cm, 체중은 83kg입니다. BMI 계산 결과 83÷(164÷100)²= 30.85로 2단계 비만에 해당합니다. 허리둘레는 101.5cm, 약 39인치로 대한비만학회의 복부비만 기준인 남성 90cm를 초과하므로 복부비만으로 판정됩니다.
-
1. 식품의 연소 에너지식품의 연소 에너지는 식품이 완전히 산화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환될 때 방출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식품의 열량 또는 칼로리로 표현되며,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 주요 영양소의 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식품의 연소 에너지는 인체의 기초대사와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과 체중 관리를 위해서는 식품의 연소 에너지 정보를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생리적 에너지생리적 에너지는 인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초대사, 체온 유지, 세포 활동, 호르몬 분비 등 인체의 기본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입니다. 생리적 에너지 요구량은 개인의 성별, 연령, 체중, 활동 수준 등에 따라 다르며,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생리적 에너지 요구량을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식단과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에너지 밀도에너지 밀도는 식품 1g당 함유된 에너지의 양을 의미합니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은 지방이나 설탕이 많이 함유된 고열량 식품이며, 에너지 밀도가 낮은 식품은 채소, 과일, 통곡물 등의 저열량 식품입니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식품은 적은 양으로도 많은 에너지를 섭취할 수 있어 체중 증가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체중 관리를 위해서는 에너지 밀도가 낮은 식품을 선택하고, 적절한 양의 섭취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활동수준과 체중 변화에 따른 에너지요구량개인의 활동 수준과 체중 변화에 따라 에너지 요구량이 달라집니다. 활동량이 많은 사람은 기초대사량과 활동 에너지 소비가 높아 에너지 요구량이 증가하며, 체중이 증가하면 기초대사량도 함께 증가합니다. 반면 활동량이 적거나 체중이 감소하면 에너지 요구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활동 수준과 체중 변화를 고려하여 에너지 요구량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식단과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건강한 체중 관리와 에너지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5. 체질량지수(BMI) 및 복부비만 판정체질량지수(BMI)와 복부비만 지표는 개인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BMI는 체중(kg)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이를 통해 과체중 및 비만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은 허리둘레 측정을 통해 평가하며, 복부 지방 축적이 많을수록 대사 질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개인의 건강 관리와 질병 예방을 위해 중요하게 활용되며, 정기적인 측정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건강한 생활 습관과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적정 BMI와 복부비만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식품생화학 대사의 통합1. 호르몬 호르몬은 내분비선이나 세포에서 분비되고 혈액을 통해 작용대상이 되는 세포로 이동하여 호르몬의 수용체에 결합하면서 생체 조절 기능(몸의 항상성 유지)을 하는 물질이다. 호르몬은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아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호르몬의 작용은 매우 정교한 조절 시스템이 관여하는데 특히 시상하부, 뇌...2025.05.07 · 자연과학
-
임신생리 요약정리1. 임신력과 출산력 임신력과 출산력에 대한 용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Gravida는 임신한 여성, Gravidity는 임신력, Primigravida는 처음으로 임신한 여성, Multigravida는 두 번 이상 임신한 여성, Nulligravida는 임신을 전혀 경험하지 않은 여성을 의미합니다. Para는 20주 이상의 태아를 출산한 여성, Nulli...2025.01.24 · 의학/약학
-
영양판정및실습 기말고사 정리 // 지용성 비타민, 수용성 비타민, 임상조사, 영양판정의 활용1. 지용성 비타민 영양상태판정 비타민A 결핍 -경계수준의 결핍 -적절- 과다- 중독 생화학적 검사 – 혈액, 유즙, 간의 비타민A함량 측정 기능성 검사 – 암적응 검사, 결막상피세포 조사, 투여반응시험혈청 비타민 A 비타민A의 영양상태판정에 가장 많이 사용저장이 잘되며 체내 항상성 조절, 체내에서 완전히 고갈되었거나 초과시 변화 정상범위 45~55ug/d...2025.01.14 · 의학/약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