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과 일상생활에서의 예
본 내용은
"
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대해 간략히 쓰고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6
문서 내 토픽
  • 1.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가트만은 부부 사이 갈등이 나타나는 과정에서 부부의 정서적인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부부관계를 위협하는 의사소통, 상호작용 방식을 정리했다. 가트만이 언급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에는 격하게 시작하기, 비난, 경멸, 방어, 담쌓기 등이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은 부부 갈등을 악화시키고 이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
  • 2. 일상생활에서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예
    발표자는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로 비난, 경멸, 방어, 담쌓기 등을 들었다. 비난의 예로는 '너는 항상 이런 식이야.', '넌 왜 맨날 이렇게 늦어?' 등이 있다. 경멸의 예로는 '네가 그렇지 뭐.', '너 정말 멍청이구나?' 등이 있다. 방어의 예로는 '네가 잘한 게 뭐가 있어?', '난 너처럼 그렇게 안 해.' 등이 있다. 담쌓기의 예로는 '지겹다, 지겨워.', '네 말이 다 맞다.' 등이 있다. 이를 기능적인 의사소통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이론은 부부 관계에서 나타나는 부정적인 의사소통 패턴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는 비난, 방어, 경멸, 철수 등의 4가지 주요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을 제시했는데, 이러한 행동들은 상대방과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갈등을 증폭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이론은 부부 상담 및 치료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건강한 의사소통 방식을 익히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역기능적 의사소통 패턴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일상생활에서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예
    일상생활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자주 발생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부모-자녀 관계, 직장 내 상하 관계, 친구 관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녀를 지나치게 비난하거나 경멸하는 경우, 자녀는 자존감 저하와 함께 부모와의 갈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직장 내에서 상사가 부하 직원을 무시하거나 모욕적인 말을 하는 경우, 직원의 동기 저하와 함께 조직 분위기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친구 관계에서도 서로를 비난하거나 배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관계 단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일상생활 속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개인과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건강한 의사소통 방식을 익히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