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과 일상생활에서의 예
본 내용은
"
가트만(Gottman)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에 대해 간략히 쓰고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를 20개 이상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0
문서 내 토픽
  • 1.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가트만은 결혼생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부간의 4가지 특정 상호작용 방식을 비난, 경멸, 담쌓기, 냉담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의 발생빈도에 따라 부부 간의 관계가 큰 영향을 받으며, 이를 통해 이혼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고 연구하였다.
  • 2. 비난
    비난은 상대방의 성격에 대해 좋지 않은 말을 하면서 원망하는 것으로, 특정한 일에 대한 불만과 달리 상대방의 성품 자체를 부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당신은 주말에 친구 만나고 싶어? 진짜 무책임하다. 가족이 우선 아니야?' 등의 표현이 있다.
  • 3. 경멸
    경멸은 비난보다 더 극대화된 사례로, 상대방을 심리적, 정신적으로 큰 상처를 주는 것이다. 상대방의 행동에 반발해서 보복심리로 상처주는 말을 하는 것이 경멸이다. 예를 들어 '나 아니었음 결혼했을거같아? 절대 못했어' 등의 표현이 있다.
  • 4. 방어
    방어는 공격받는다고 느낄 때 공격을 피하고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시도로, '그래, 하지만' 등의 화술을 사용하여 동의하는 것 같지만 이내 되받는 말투를 자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갈등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 5. 냉담
    냉담은 대화가 극한으로 치달으면 한쪽이 그냥 입을 다물어 버리는 상황으로, 싸움을 회피하는 것이지만 상대방과의 관계를 회피하는 셈이 된다. 예를 들어 '말걸지마', '그만 말해 듣기 싫어' 등의 표현이 있다.
  • 6. 역기능적이지 않은 의사소통 방식
    비난을 요청으로, 경멸을 존중으로, 방어를 인정으로, 냉담을 대화로 바꾸는 등 부정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자기 내면의 경험을 적절히 표현하고 좋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가트만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은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대표적인 의사소통 방식입니다. 비난, 경멸, 방어, 냉담 등의 행동은 상대방과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또한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중요합니다.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건강한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비난
    비난은 상대방의 행동이나 성격을 공격하는 의사소통 방식으로, 관계를 악화시키고 상대방의 자존감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비난은 상대방을 비난하는 것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대신 '나' 메시지를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과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상대방의 행동이나 태도에 대해 불편함을 느낄 때 '나는 ~할 때 ~한 느낌이 듭니다'와 같은 방식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상대방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서로 이해하며 해결책을 찾아갈 수 있습니다.
  • 3. 경멸
    경멸은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드러내는 의사소통 방식입니다. 이는 상대방의 자존감을 크게 손상시키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경멸은 상대방을 비하하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나타나며, 이는 상대방과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설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멸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상호 존중과 이해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방어
    방어적인 의사소통 방식은 상대방의 비판이나 비난에 대해 자신을 보호하려는 태도로 나타납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건설적인 대화를 어렵게 만들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방어적인 태도는 상대방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만을 고집하게 만들어,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합니다. 대신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비판을 건설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냉담
    냉담한 의사소통 방식은 상대방과의 관계를 단절시키고 소통을 어렵게 만듭니다. 상대방에 대한 무관심과 거리감을 표현하는 냉담한 태도는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공감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감정과 입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통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냉담한 태도를 극복하고 상호 이해와 존중의 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한 의사소통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역기능적이지 않은 의사소통 방식
    역기능적이지 않은 의사소통 방식은 상대방과의 관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에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 자신의 감정과 요구사항을 '나' 메시지로 전달하는 태도, 건설적인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상호 신뢰와 존중의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을 극복하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긍정적인 의사소통 방식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대방과의 이해와 소통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