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수검사, 골수검사 해석, bone marrow biopsy
본 내용은
"
골수검사, 골수검사 해석, bone marrow biops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5
문서 내 토픽
-
1. 골수(Bone Marrow)뼈 안쪽의 공간에 위치한 부드러운 조직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세포(혈구)를 생성하는 조혈 공간이다. 하루에 적혈구 20억 개/kg, 혈소판 70억 개/kg, 과립구 8.5억 개/kg이 생성된다. 성인이 되면 적색골수가 황색골수로 변한다.
-
2. 골수검사혈액 양성질환이나 혈액종양(백혈병, 림프종)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검사로, 골수 흡인과 생검을 시행하여 세포충실도, 다양한 골수 세포의 분포 및 형태 변화, 비조혈 종양세포의 침습 유무 등을 조사한다. 골수흡인(Aspiration)과 골수생검(Biopsy)으로 나뉜다.
-
3. 골수검사가 필요한 경우1. 빈혈의 감별진단 2. 호중구 증가증/감소증, 혈소판증가증/감소증, 범혈구감소증의 감별진단 3. 급성백혈병의 진단과 분류, 치료 후 평가 4. 면역글로불린 이상이 있는 질환의 진단 5. 림프종이나 다른 암의 전이 여부 판단과 피로에 대한 반응 평가 6. 원인불명열(FUO)의 원인 규명 7. 감염질환(결핵, 진균 감염증 등)의 진단 8. 저장질환(Gaucher병) 진단 9. 고형암의 전이여부 확인
-
4. 골수검사 과정1. 환자는 옆으로 또는 침대바닥에 배를 대고 눕게 한다. 2. 피부는 알코올 베타딘으로 소독하고 시술 부위는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한다. 3. 골수흡인 침은 골수강 안으로 1cm 정도만 밀어넣고, 밀폐구를 뽑은 후 10ml 주사기로 골수를 뽑는다. 4. 보조자에게 바로 흡인한 주사기를 넘겨주어 슬라이드 제작한다. 5. 골수생검 조직은 유리슬라이드에 굴려서 touch print 4장을 만든 후 고정액이 든 병에 넣는다. 6. 흡인과 생검을 통해 얻은 검체를 슬라이드로 제작하거나 염색한 후 현미경을 통해 골수 세포를 관찰하고 감별계산을 시행한다.
-
5. 골수검사 후 간호과정1. BM bx 후 sand bag 유지하며 병실 올라온다. 2. 검사 후 3~4시간 ABR 시행한다. 3. BM site 발진이나 출혈, 지속적인 통증양상, 발열증상을 확인한다. 4. Sand bag 제거 및 메딕스 dressing을 챙긴다. 5. 2일 뒤 bleeding, oozing 양상을 확인 후 open dressing을 챙긴다.
-
6. DLBCL(미만성거대 세포 림프종)림프종은 림프조직 세포들이 악성 전환되어 생기는 종양이며, 면역체계를 담당하는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이다. DLBCL은 림프조직에 발병하며, 그 외에도 위장관, 피부, 뼈, 중추신경계, 갑상선 부위를 침범할 수 있다. DLBCL 진단 기준은 말초혈액도말검사, 골수흡인검사, 생검조직의 면역조직화학 염색 등이 있다.
-
7. 다발성 골수종(MDS)골수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백혈구의 한 종류인 형질세포(Plasama cell)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액암이다. 뼈를 침윤하는 것이 특징이며, 면역장애, 조혈장애 및 신장장애를 일으킨다. M-단백(악성화된 형질세포에서 생산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신독성을 일으킨다.
-
8. MDS(골수형성이상증후군) 진단기준1. 조직 생검상 형질세포종(plasmacytoma) 2. 골수 형질세포 밀로이드증이 없는 상태에서 소변 kappa 혹은 lambda chain 배출 1g / 24시 소변 증가 3. M protein :IgG 3.5g/L IgA 2.O g/L 4. 골수생검 검사상 CD138, CD34+ 양성 배출 5. 다핵세포나 핵분절의 존재, 거대적혈모구양 변화, 세포질 이상 과립구나 거대핵세포 이상 관찰
-
9. MDS 실제사례 슬립지골수 흡인 및 생검 결과, 골수형성이상증후군(MDS)과 골수섬유증이 진단되었다. 적혈구, 과립구, 거대핵세포 등에서 이형성 변화가 관찰되었고, 형질세포 증가 소견도 있었다.
-
10. DLBCL 실제사례 슬립지골수 흡인 및 생검 결과, 림프종 침윤은 관찰되지 않았다. 말초혈액도말검사에서 비정형림프구 3%, 적혈구 부동증이 관찰되었고, 골수흡인검사에서 중간 크기의 악성 림프종 세포가 13.2% 차지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CD3 양성, CD8 일부 양성, CD4, CD56, CD20 음성이었다.
-
1. 골수(Bone Marrow)골수는 뼈 내부에 있는 연조직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혈액 세포를 생산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골수는 혈액 세포 생산의 중심 역할을 하며, 면역 기능과 혈액 응고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골수 기능의 이상은 다양한 혈액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골수 검사는 이러한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골수검사골수검사는 골수 내부의 세포 구성과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입니다. 골수 천자 또는 골수 생검 등의 방법으로 골수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 검사를 통해 분석합니다. 골수검사를 통해 혈액암, 골수 이상 질환, 감염 등 다양한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 방향 결정과 예후 예측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골수검사는 침습적인 검사이지만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습니다.
-
3. 골수검사가 필요한 경우골수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혈액 검사 결과 이상이 있는 경우 골수 기능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둘째, 백혈병, 림프종 등 혈액암이 의심되는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골수검사가 필요합니다. 셋째,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의 원인을 찾기 위해 골수검사를 실시합니다. 넷째, 골수 섬유증, 다발성 골수종 등 골수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골수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골수 이식 전후 환자의 골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골수검사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골수검사는 다양한 혈액 및 골수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
4. 골수검사 과정골수검사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골수 천자 검사로 주로 골반골에서 골수액을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둘째, 골수 생검 검사로 골반골에서 골수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골수 조직의 구조와 세포 구성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어 진단에 유용합니다. 골수검사 시 국소 마취 후 시행되며, 통증이나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습니다. 검사 후에는 출혈 및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관리가 필요합니다.
-
5. 골수검사 후 간호과정골수검사 후 간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출혈 예방을 위해 압박 드레싱을 하고 활동을 제한합니다. 둘째, 감염 예방을 위해 검사 부위 관리와 항생제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셋째, 통증 관리를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고 냉찜질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넷째, 검사 후 활력징후와 검사 부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합니다. 다섯째, 환자와 보호자에게 검사 결과와 향후 치료 계획 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상담합니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간호 과정을 통해 골수검사 후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6. DLBCL(미만성거대 세포 림프종)DLBCL(Diffuse Large B-Cell Lymphoma)은 가장 흔한 형태의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에서 발생하는 공격적인 림프종입니다. DLBCL은 빠르게 진행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등이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와 질병 특성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최근 치료법의 발전으로 DLBCL 환자의 예후가 크게 향상되고 있지만, 여전히 완치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
7. 다발성 골수종(MDS)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은 골수 내 형질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혈액암입니다. 다발성 골수종은 골 파괴, 신장 기능 저하, 빈혈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진행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암화학요법, 표적 치료제, 면역요법, 골수 이식 등이 사용되며, 환자의 상태와 질병 단계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선택됩니다. 최근 치료법의 발전으로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고 있지만,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므로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
8. MDS(골수형성이상증후군) 진단기준MDS(Myelodysplastic Syndrome)는 골수 내 전구 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분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MDS 진단을 위해서는 골수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첫째, 말초 혈액 검사에서 빈혈,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등의 이상 소견이 있어야 합니다. 둘째, 골수 검사에서 세포 분화와 성숙 과정의 이상이 관찰되어야 합니다. 셋째, 염색체 이상 등 유전적 변이가 확인되어야 합니다. 넷째, 다른 혈액 질환이나 암으로 인한 이차적인 변화가 아닌 원발성 골수 이상 소견이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진단 기준을 통해 MDS를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9. MDS 실제사례 슬립지MDS 실제사례 슬립지는 MDS 환자의 진단, 치료 과정, 예후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이를 통해 MDS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 예후 예측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MDS 환자의 증상, 검사 결과, 치료 경과, 합병증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예후와 생존율, 삶의 질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됩니다. 이러한 실제 사례 자료는 MDS 환자 관리와 치료 방향 설정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
10. DLBCL 실제사례 슬립지DLBCL 실제사례 슬립지는 DLBCL 환자의 진단, 치료 과정, 예후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이를 통해 DLBCL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 예후 예측 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DLBCL 환자의 증상, 검사 결과, 치료 경과, 합병증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예후와 생존율, 삶의 질 등에 대한 정보도 제공됩니다. 이러한 실제 사례 자료는 DLBCL 환자 관리와 치료 방향 설정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
내과 림프종 케이스스터디+casestudy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20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Ⅱ Case Study ]MLBCL(mediastinal large B-cell lymphoma)-가슴세로칸 큰비세포림프종-반학번/이름과목담당 교수님실습 부서실습 기한Ⅰ. 간호사정이름김○○성별/나이M/25입원일2023. 07. 23사정일2023. 07. 27진단명1) R/O : Lymphoma NOS2) 최종 진단 :mediastinal large B-celllymphoma(가슴세로칸 큰비세포림프종)보호자없음1. 일반적 사항주 호소 (C.C)“검사 받으러 왔어요.”입원 당시 의식 상태alert, 의사소통 명확입원 동...2025.04.09· 20페이지 -
[아동간호학] 백혈병 Case study A+ 8페이지
CASE STUDY-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Ⅰ. 문헌고찰1. 정의혈액 및 골수 내 림프구 계통 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백혈병 환자의 혈액에는 정상인에 비해 다량의 백혈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얗게 보이는 현상에서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혈액 세포로 증식, 분화, 성숙하는 일련의 과정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암을 의미한다. 림프구 계통의 혈액 세포에서 백혈병이 발생하고 급성의 경과를 보이는 경우를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라고 한다.2.원인림프구 계...2021.02.23· 8페이지 -
성인간호학 계통별 단어 모음 7페이지
성인간호학 단어 모음1.순환계용어약어의미aneurysm-동맥류angina pectoris-협심증aorta-대동맥aortic stenosisAS대동맥판막 협착증arrhythmia-부정맥arteriosclerosis-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죽상경화증atrial fibrillationAF심방세동atrium-심방bicuspid, mitral valve-이첨판, 승모판bradycardia-서맥cardiac murmur-심장잡음cardiocentesis-심천자cardiomegaly-심장비대cardiopulmonary resusc...2021.03.30· 7페이지 -
[아동간호학 실습] 급성 골수성 백혈병 Case study (간호과정) 11페이지
AML급성 골수성 백혈병진단명: Acute Myeloid Leukemia 급성골수성백혈병대상자의 현상태기저병력 없는 환아로 한달 전부터 간헐적으로 발생한 dizziness가 최근 1주일 사이 악화되어 진료보기 위해 LMC 방문하였고, LMC에서 시행한 혈액검사상CBC 195150>4.5 3.6 < 14K, Blast 75%Ca/P 9.2/3.9Bun/Cr 12/0.83OT/PT 31/32Na/K/CI 134/3.1/100ferritin 736Myelocyte 2%WBC 221.41 [참고치 4.5 ~ 13.0]WBC Blast(백혈...2020.12.01· 11페이지 -
혈액종양내과 간호과정 케이스(사레보고서)-MM(multiple myeloma, 다발성 골수종), 간호진단 3개 및 간호계획+ 문헌고찰+ 약물정리+ 골수흡인검사 26페이지
■ 간호 과정 사례연구자료수집일 실습병동 혈액종양내과 정보제공자 본인, 보호자(자녀)일반적 사항이름 전xx 성별 여 나이 67세의학 진단명 multiple myeloma결혼상태 기혼 교육수준 고졸 직업(현재/과거) 공무원/ 강사 및 주부종교 기독교경제 상태 (상, 중, 하) 보험: 의료보험 ? 의료보호 기타Part I. History Taking가. 현재 주 호소 (chief complaints)- 현재 가장 불편한 점(주 증상)은 무엇인가? “허리 통증이 너무 심해요.”- 이 증상은 언제 처음 나타났는가? “4월 10일부터 아팠어...2021.03.21·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