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ctate threshold 정의(젖산 역치의 정의)
본 내용은
"
Lactate threshold 정의(젖산 역치의 정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5
문서 내 토픽
-
1. 젖산의 역할과 의미많은 사람들이 젖산으로 인해서 피로가 쌓인다고 생각하지만, 운동 후 발생하는 피로는 일상생활의 피로와 다르다. 고강도 운동 후 젖산이 많이 쌓이지만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지나면 대부분 젖산 축적량이 감소한다. 젖산은 탄수화물 분해 과정에서 생기는 에너지이며, 탄수화물 분해량이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젖산의 양도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젖산이 운동 후 피로 유발 물질이라고 인식되지만, 실제로는 피로를 막기 위해 생성된다. 젖산이 생성되면 피로의 원인 중 하나인 칼륨이 근육에서 빠져나와 근수축 저하를 일으키고 피로를 방지한다.
-
2. 젖산 역치의 정의젖산 역치는 혈액 속 젖산 농도가 오르는 시점을 말한다. 젖산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젖산 농도는 생성된 젖산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 젖산을 뺀 것이다. 운동 강도를 계속 올리면서 혈액을 뽑으면 젖산 농도가 올라가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젖산 역치다. 운동 강도가 높아지면 해당과정이 실행되어 젖산 농도가 올라간다. 따라서 젖산 역치는 중강도 운동에서 고강도 운동으로 바뀌는 시점이 된다. 젖산 역치가 낮은 사람은 낮은 강도로도 해당과정이 일어나지만, 젖산 역치가 높은 사람은 젖산이 생성되는 순간 바로 에너지원으로 바꿔 쓰기 때문에 혈중 젖산 농도가 쉽게 올라가지 않는다.
-
1. 젖산의 역할과 의미젖산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젖산은 유산소 운동 중 근육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젖산은 근육 수축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피로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젖산은 당신의 신체 pH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과도한 젖산 축적은 근육 피로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적절한 수준의 젖산은 운동 수행력을 높이고 건강한 신체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젖산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젖산 역치의 정의젖산 역치는 운동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젖산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 지점은 유산소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젖산 역치는 개인의 건강 상태, 체력 수준, 나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측정하여 최적의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젖산 역치를 초과하면 근육 피로와 통증이 증가하므로, 이 지점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젖산 역치는 운동 처방과 건강 관리에 있어 매우 유용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운동생리학 운동대사 20페이지
운동대사항정상태 (steady state) 신체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나 내부 환경이 완전히 정상 상태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따라서 항정상태란 운동시 세포조직의 요구량과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신체 반응이 균형을 이룬 상태이다 .산소결핍 (oxygen deficit) 산소결핍 : 운동 초기에 산소섭취 지연에 따른 현상으로 운동시작 후 초기 몇 분 동안의 산소섭취량과 항정상태시 산소섭취량의 차이를 나타낸다 .O ₂ 요구량 O ₂섭취량 O ₂ 요구량 =O ₂섭취량 ( 무산소 과정 ) ( 유산소 ...2021.02.07· 20페이지 -
운동과 호흡계통 21페이지
운동과 호흡계통학 습 목 표1. 호흡계의 정의를 이해한다.2. 호흡기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3. 호흡역학, 환기작용 내용을 이해한다.1. 호흡계의 이해1.1 호흡계의 정의 공기 중의 산소를 흡입하고 에너지 대사의 결과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계통 인체의 호흡활동 ① 외호흡(external respi-ration) – 폐호흡, 폐포내 공기와 혈액 사이의 가스교환 과정 ② 내호흡(internal respiration) – 조직호흡, 혈액과 조직세포 사이의 가스교환과정2. 호흡기관의 구조와 기능2.1 기도 공기의...2019.01.08· 21페이지 -
운동과관련된 호흡기계 5페이지
운동과 관련된호흡기계, 순환기계, 내분비계의 용어 정리호흡기계, 순환기계, 내분비계용어 정리? ATP-PCr 시스템짧은 시간에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운동을 할 때 동원되는 방법으로서, 근육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아데노신 3인산이 인산(P)과 아데노신 2인산(ADP)으로 분해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에너지 중의 일부는 크레아틴 인산(CP)의 재합성에 이용된다. 역도, 던지기, 뜀뛰기 등의 운동을 할 때 주로 이용된다.? 기초대사율(basal metabolixc rate, BMR)기본적 세포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의해 요구...2012.09.20· 5페이지 -
운동시 최대산소섭취량 증가 원인0k 10페이지
운동시 최대산소섭취량 증가 원인0k운동을 하게 되면 최대산소섭취량이 증가하는 이유와 최대산소섭취량이 증가 됨에 따른 효과Ⅰ. 서 론평상시 우리는 음식을 먹고 산소를 들이마신다. 필요한 에너지는 먹은 음식물을 산화시켜 공급받는다. 운동을 하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들이마시는 산소는 더 늘어난다. 최대로 산소를 섭취할 수 있는 능력을 최대산소섭취량이라고 하며, 규칙적인 운동은 이를 5∼25% 정도 증가시킨다. 최대산소섭취 능력이 높으면 쉽게 피로해지지 않고 운동 지속 능력이 늘어난다. 이 때 우리는 심폐지구력이 향상되었다고 표...2009.03.06· 10페이지 -
마라톤준비하기 6페이지
Prepare marathon!!!!!!!!1. 마라톤에 작용하는 운동생리학최대산소섭취량(VO2max)최대산소섭취량은 산소를 운동하는 근육에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낸다. 최대산소섭취 능력은 유전적 요인이 가장 중요하고, 후천적 훈련으로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최대산소섭취량의 첫번째 결정인자는 최대심박수. 이는 유전적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최대심박수는 훈련으로 증가하지는 않는다. 두번째 결정인자는 심박출량. 심박출량은 최대심박수와는 달리 일정한 훈련을 통해 증진시킬 수 있다. 최대...2007.01.1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