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중환자실(NICU) 호흡곤란 증후군(RDS) 사례 연구
본 내용은
"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중환자실 ( case study NICU)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ion distress syndrom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2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태아의 폐는 정상적으로 임신 35주~36주까지 기능적 발달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미숙아들은 효과적인 가스교환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폐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폐포 중격의 마지막 확장이 임신 3기에 이루어지며, 계면활성제는 24주에 처음 폐포상피에 있는 Type 2세포에서 생성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숙아의 대부분의 폐포는 팽창할 수 없어 폐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영아는 각 호흡마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피로가 축적함에 따라 개방가능한 폐포의 수가 더 적어져서 광범위하게 무기폐가 발생하게 됩니다.
  • 2. 폐혈관 저항 증가와 우좌 션트
    폐가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폐혈관저항이 증가하여 지속적으로 태아통로를 유지하게 됩니다(혈액의 우좌 션트). 부적절한 폐 관류와 환기는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을 초래하며, 산소분압이 감소함에 따라 혈액의 pH가 감소하여 폐세동맥의 혈관연축이 더욱 악화됩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젖산이 쌓여 호흡성 산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 3. 유리질막 형성과 호흡장애
    폐혈관 압력이 증가하면 폐포 안으로 수분이 누출됨으로써 유리질막이 만들어집니다. 이는 폐포를 덮는 막을 형성하여 가스교환을 방해하고 폐포직의 순응도를 감소시켜서 호흡장애를 초래합니다. 미숙한 폐와 RDS가 있는 신생아에서는 간질성 폐기종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4. 신경계 및 혈색소 이상
    신경계의 미숙으로 자극에 대한 호흡중추의 역치증가, 구역반사와 기침반사의 소실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태아혈색소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조직으로 산소가 잘 방출되지 않습니다.
  • 5. 임상증상
    폐 미숙정도, 관련 질환 요소, 임신 나이에 따라 급성 혹은 수 시간에 걸쳐 호흡곤란이 발생하며, 몇 시간 안에 호흡이 빨라지고(>60회/분), 유동적인 흉벽으로 인해 흉골 밑, 늑골 위, 늑골 아래 또는 늑골 사이에서 수축(늑간견축)이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영아의 피부색이 정상일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은 미숙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심각한 호흡기 질환입니다. 이는 폐 표면활성제의 부족으로 인해 폐포 허탈이 발생하여 호흡 곤란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미숙아의 폐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표면활성제 생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폐포 내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폐포가 쉽게 허탈되고 환기-관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병태생리학적 특징으로 인해 RDS 환아들은 호흡곤란, 청색증, 무호흡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RDS 환아 관리에 있어서는 적절한 산소 공급, 기계적 환기 요법, 표면활성제 보충 등의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예방적 측면에서 산모의 스테로이드 투여, 미숙아 출생 시기 조절 등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 2. 폐혈관 저항 증가와 우좌 션트
    폐혈관 저항 증가와 우좌 션트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의 주요 병태생리학적 특징 중 하나입니다. RDS 환아에서는 폐 표면활성제 부족으로 인한 폐포 허탈과 폐혈관 수축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폐혈관 저항이 증가하고, 우심실에서 좌심실로의 우좌 션트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우좌 션트로 인해 동맥혈 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고 청색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RDS 환아 관리에 있어서는 폐혈관 확장제 투여, 적절한 산소 공급, 기계적 환기 요법 등을 통해 폐혈관 저항을 낮추고 우좌 션트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표면활성제 보충 요법을 통해 폐포 허탈을 예방하고 폐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도 필요합니다.
  • 3. 유리질막 형성과 호흡장애
    유리질막 형성은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의 또 다른 주요 병태생리학적 특징입니다. RDS 환아에서는 폐 표면활성제 부족으로 인해 폐포 내 표면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폐포가 쉽게 허탈되게 됩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폐포 허탈과 재팽창 과정에서 폐간질에 유리질막이 형성되게 됩니다. 유리질막 형성은 폐 탄성도 감소, 폐 확장성 저하, 환기-관류 불균형 등을 초래하여 호흡장애를 악화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RDS 환아 관리에 있어서는 표면활성제 보충 요법, 적절한 기계적 환기 요법, 스테로이드 투여 등을 통해 유리질막 형성을 예방하고 폐 기능을 개선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신경계 및 혈색소 이상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환아에서는 신경계 및 혈색소 이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저산소증과 고이산화탄소혈증으로 인해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련, 의식 저하, 근긴장도 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 저산소증으로 인해 적혈구 생성이 증가하여 다혈구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계 및 혈색소 이상은 RDS 환아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산소 공급, 기계적 환기 요법, 신경학적 모니터링 등을 통해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임상증상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DS) 환아에서는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곤란으로, 빠르고 얕은 호흡, 함몰 호흡, 코 벌렁거림 등이 관찰됩니다. 또한 청색증, 무호흡, 빈맥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폐 표면활성제 부족으로 인한 폐포 허탈과 폐혈관 저항 증가, 우좌 션트 등의 병태생리학적 특징에 기인합니다. 따라서 RDS 환아 관리에 있어서는 이러한 임상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호흡곤란과 청색증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며, 기계적 환기 요법, 산소 공급, 표면활성제 보충 등의 집중 치료가 요구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