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및 학생 대상 신문기사 사례와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본 내용은
"
최근 3년 이내 학교 및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신문기사의 사례를 찾고 그 사례에 대해 학교사회복지사의 주요역할 9가지 중 본인이 생각하는 중요한 역할 한 가지를 선택하여 사례에 적용하여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1
문서 내 토픽
  • 1. 학교폭력 사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2020년 7월 7일 보도 자료를 낸 학교폭력 사건을 사례로 들었다. 작년인 2019년 12월 24일 한 중학교의 야구 부원이었던 학생 A군은 교내 복도를 지나가다가 B군으로부터 어깨 밀침을 당했다. A군이 B군에게 따졌지만 B군은 '어쩌라고'하면서 A군의 말을 무시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학교의 야구부 감독은 30명 정도 되는 야구부원 전체가 모여 있는 상황에서 A군을 세워두고 B군에게 일부러 어깨를 밀쳤느냐고 물었고 B군은 그렇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감독은 이 사건을 본 사람이 있느냐고 야구 부원 모두에게 물었고 일부의 학생이 목격했지만 고의로 그런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답을 하였다. 야구부 감독은 '이 학생들과 야구를 할 수 있겠느냐'고 물었는데 A군은 '억울해서 그만두지 못 하겠다'라고 답했고 A군의 동급생은 '못 한다'고 대답하였다. 이 상황에 대해 A군은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넣었고 감독은 원래 운동이 끝난 이후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다 같이 이야기했고 이 일 역시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이야기하는 상황이라고 생각했지만 국가인권위원회에서는 피해자가 학교 폭력에 대한 피해에 대한 호소를 공개적인 자리에서 조사하는 것은 피해자와 가해자를 분리 조사해야하는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의 취지에 반하는 행동이며 다른 학생들이 본인의 의견을 부정하고 무시하는 것을 듣는 2차 피해를 조장했기 때문에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제19조 제1항에 의해 보호되는 피해자의 인격권을 침해한 인권침해라고 판단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학교폭력 사례
    학교폭력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피해자는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겪게 되며, 자존감 저하와 우울증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가해자 또한 폭력적인 행동으로 인해 법적 처벌을 받게 되고, 향후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학생들의 인성 교육과 폭력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피해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가해 학생들에 대한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폭력성을 개선하고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