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규칙 찾기
본 내용은
"
문법규칙 찾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5
문서 내 토픽
  • 1. 유음화
    비음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으로 [ㄹ]로 소리 나는 음운 변동 현상. 예를 들어 '신라'가 [실라]로 발음되는 것이 유음화의 예이다.
  • 2. 구개음화
    음절의 끝에 오는 'ㄷ, ㅌ'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j]'로 시작하는 조사나 접미사 앞에서 각각 센입천장소리(구개음) 'ㅈ, ㅊ'으로 변하는 현상. 예를 들어 '같이'가 [가치]로 발음되는 것이 구개음화의 예이다.
  • 3. 된소리되기
    예사소리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인 'ㄲ, ㄸ, ㅃ, ㅆ, ㅉ]으로 발음되는 현상. 예를 들어 '갈등'이 [갈뜽]으로 발음되는 것이 된소리되기의 예이다.
  • 4. 합성어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갖는 단어가 만들어지는 현상. 예를 들어 '밤낮'은 '밤'과 '낮'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 5. 다의어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 가운데 사용빈도가 높은 말들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이를 '단어의 다의성'이라고 하고 이렇게 사용되는 단어를 '다의어'라고 한다.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로 구분할 수 있다.
  • 6. 동음이의어
    소리는 같으나 뜻이 서로 다른 단어들. 예를 들어 '술'이라는 단어가 알코올 성분의 음료, 둘레나 끝에 장식으로 다는 여러 가닥의 실, 한 숟가락의 분량 등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동음이의어의 예이다.
  • 7. 문장 성분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로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각 부분들. 주성분(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속 성분(관형어, 부사어), 독립 성분으로 구분된다.
  • 8. 서술어
    주어 하나만을 필요로 하는 '한자리 서술어', 주어 외에 목적어나 보어 또는 부사어 중 하나의 성분을 더 필요로 하는 '두 자리 서술어', 주어, 목적어, 부사어를 모두 필요로 하는 '세 자리 서술어'로 구분된다.
  • 9. -률/-율
    법칙이나 규율, 또는 어떠한 비율을 나타내는 접미사. '-율'은 모음이나 'ㄴ' 받침으로 끝난 일부 명사 뒤에, '-률'은 모음이나 'ㄴ' 받침 이외의 끝소리로 끝난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사용한다.
  • 10. 피동 표현
    능동문을 쓸 수 있는 상황에서는 가급적 피동 표현을 삼가고 능동 표현을 쓰는 것이 좋다. 또한 이중 피동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 11. 사동 표현
    이미 사동의 의미가 들어 있는 단어에 사동형 어미 '-시키다'를 결합하면 안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유음화
    유음화는 한국어의 중요한 음운 변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자음 'ㄹ'이 모음 앞에서 'ㅣ'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발음의 편의성을 높이고 자연스러운 발음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합니다. 유음화는 한국어의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며,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유음화 현상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구개음화
    구개음화는 한국어의 또 다른 중요한 음운 변화 현상입니다. 'ㄷ', 'ㅌ', 'ㄴ', 'ㄹ'이 'ㅣ' 모음 앞에서 각각 'ㅈ', 'ㅊ', 'ㄴ', 'ㄹ'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발음의 편의성과 자연스러움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구개음화는 한국어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구개음화 현상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된소리되기
    된소리되기는 한국어의 또 다른 중요한 음운 변화 현상입니다. 자음이 된소리로 바뀌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발음의 명확성과 강세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된소리되기는 한국어 음운 체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된소리되기 현상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4. 합성어
    합성어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합성어는 한국어에서 매우 중요한 어휘 형성 방식입니다. 합성어를 통해 다양한 의미와 개념을 표현할 수 있으며, 언어의 풍부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합성어의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다의어
    다의어는 하나의 단어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다의어는 한국어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다의어를 통해 언어의 풍부성과 유연성이 증가하며, 문맥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의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6. 동음이의어
    동음이의어는 발음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를 말합니다. 동음이의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동음이의어는 언어의 모호성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문맥을 통해 의미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동음이의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7. 문장 성분
    문장 성분은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를 말합니다.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의 문장 성분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문장 성분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8. 서술어
    서술어는 문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입니다. 서술어는 문장의 주된 내용을 나타내며, 주어와 목적어 등 다른 성분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습니다. 서술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문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9. -률/-율
    -률/-율은 한국어에서 비율을 나타내는 접미사입니다. 이 접미사는 명사에 붙어 비율의 의미를 더해줍니다. -률/-율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어 어휘 사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0. 피동 표현
    피동 표현은 주어가 동작의 대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는 문법 형식입니다. 피동 표현은 한국어에서 매우 중요한 문법 개념이며,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피동 표현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1. 사동 표현
    사동 표현은 주어가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법 형식입니다. 사동 표현은 한국어에서 중요한 문법 개념이며,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사동 표현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