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핵 약물 정리
본 내용은
"
결핵 약물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4
문서 내 토픽
-
1. 이소니아지드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 및 예방을 위한 1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200-400mg을 1회 경구 투여하거나 주 2회 600-800mg을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발열, 발진, 림프절병증, 혈관염, 무과립구증, 혈소판감소,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변비 등이 있습니다. 증상이 좋아져도 내성균 발현을 막기 위해 처방된 용법과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
2. 리팜핀리팜핀은 결핵 및 무증후성 수막염균 보균자 치료를 위한 1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450-600mg을 1회 경구 투여하며, 소아는 체중 kg당 10-20mg을 1회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불면, 초조감,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위통, 설사,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과립구 감소 등이 있습니다.
-
3. 에탐부톨에탐부톨은 결핵 치료를 위한 1차 약제입니다. 1일 체중 kg당 15mg을 1회 경구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시력저하, 중심암점, 시야협착, 색감각이상, 발열, 발진, 가려움, 권태감, 백혈구 감소, 호중구 감소 등이 있습니다.
-
4. 피라진아미드피라진아미드는 결핵 치료를 위한 1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1.5-2.0g(최대 3g)을 1-3회 분할 경구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간염, 황달, 간비대, 발열, 발진, 광과민반응,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등이 있습니다.
-
5. 카나마이신카나마이신은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2g을 아침, 저녁 1g씩 주 2회 또는 1일 1g을 주 3회 근육주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일과성의 두통, 입술의 마비감, 발진, 어지러움, 이명 등이 있습니다.
-
6. 스트렙토마이신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1g을 근육주사하며, 고령자는 0.5-0.75g을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AST, ALT의 상승, 눈근육마비, 드물게 안점, 발열, 기침, 호흡곤란, 흉부 X선 이상, 호산구 증가 등이 있습니다.
-
7. 프로티온아미드프로티온아미드는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0.5-1g을 1-3회 분할 경구 투여하며, 소아는 체중 kg당 10mg을 1-3회 분할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감염, 황달 및 AST/ALT 상승, 발진, 광과민반응, 저혈소판증, 자색반,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흉통 등이 있습니다.
-
8. 시클로세린시클로세린은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회 250mg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며, 1일 용량이 1g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두통, 어지러움, 졸음, 떨림, 우울, 구역, 식욕부진, 복통, 변비, 설사, 피부발진 등이 있습니다.
-
1. 이소니아지드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소니아지드는 비교적 저렴하고 효과적이며 부작용도 적은 편이지만,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내성균 발생 위험이 있어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내성균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리팜핀리팜핀은 결핵 치료에 가장 강력한 약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리팜핀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독성, 혈소판 감소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리팜핀은 결핵 치료에 매우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에탐부톨에탐부톨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에탐부톨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시력 장애,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에탐부톨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용량 조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피라진아미드피라진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에너지 대사를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피라진아미드는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독성, 관절통, 고요산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간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피라진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용량 조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카나마이신카나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주사제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카나마이신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신독성, 청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사제이므로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카나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투여 방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스트렙토마이신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주사제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스트렙토마이신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신독성, 청력 장애, 전정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사제이므로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투여 방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프로티온아미드프로티온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프로티온아미드는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위장관 부작용, 간독성, 정신 신경계 부작용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프로티온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시클로세린시클로세린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시클로세린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신경정신계 부작용, 간독성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시클로세린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용량 조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약리학 정리(약의기전, 간호중재)1. 쇼크와 아나필락시스 약물 쇼크와 아나필락시스 치료를 위한 약물에는 dopamine, epinephrine, 이뇨제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의 약리기전, 치료분류, 부작용 등을 정리하였고, 간호중재로는 호흡상태 관찰, 수분섭취량/배설량 모니터링, 전해질 및 소변색 확인 등이 포함된다. 2. 염증과 면역조절 약물 염증 및 면역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NSAI...2025.05.04 · 의학/약학
-
성인간호 ER(응급실) 사전학습1. 응급실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의 효능/효과와 부작용을 정리하였습니다. Epinephrine, Atropine, Sodium bicarbonate, CaCl2, Cagluconate, dobutamine, Lidocain, Amiodarone, Adenosine, Norepinephrine, Verapamil 등의 약물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2025.05.08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 핵심기본간호술 관련 선행지식 보고서1. 활력징후 측정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를 설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였습니다. 2. 경구투약 경구투약의 기본 원칙과 대상자의 경구투약 가능 여부 사정 방법, 경구 투약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였습니다. 3. 근육주사 근육주사의 기본 원칙, 근육주사 부위, 주의사항과 합병증을 정리하였습니다. 4. 피하주사 피하주사의 기...2025.05.15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객혈 케이스 스터디 A+1. 객혈(hemoptysis) 객혈은 혈흔이 있는 객담이 나오거나 기침을 할 때 혈액 자체가 배출되는 현상으로, 혈액이 객담에 묻어 나오는 가벼운 정도에서부터 쇼크를 일으킬 정도의 다량의 객혈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3시간에 400ml이상, 도는 24시간에 600ml이상의 객혈을 대량 객혈로 간주한다. 객혈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흔한 원인은 폐결핵,...2025.01.23 · 의학/약학
-
간호사 국가고시대비 성인간호학 정리1. 항암제 부작용 항암제 부작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맥염, 혈관 외 유출 등에 대한 간호중재를 정리하였습니다. 정맥염 시 온습포 적용, 혈관 외 유출 시 정맥 주사바늘을 그대로 두고 얼음 적용 후 스테로이드제 or 소염제 투여, 피하터널 카테터로 항응고제 or 생리식염수 용액으로 세척하는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정상 검사수치 WBC, PL...2025.01.09 · 의학/약학
-
IUGR, FGR 정리(정의, 그래프, 원인, 진단 및 평가, 처치)+OBY 주요약물1. IUGR, FGR 정의 IUGR(자궁내 성장지연)은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하며, FGR(태아 성장 지연)은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 미만을 의미합니다. 또한 LGA(부당 중량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90% 이상, AGA(적정 체중아)는 해당 주수의 평균 태아 체중 10~90% 이상, SGA(부당경량아)는 ...2025.01.09 · 의학/약학
-
호흡기계약물(결핵), 진단검사 정리 5페이지
1. 호흡기계 약물■ 호흡기계계통/분류용법용량작용부작용주의사항(약물교육)약물 상품명 : Isoniazid항결핵제성인 : 1일 200-400mg을 1회 매일 투여소아 : 1일 체중 kg 10-15mg을 1회 매일 투여(다른 항결핵제와 병용)항결핵제(폐결핵 및 기타 결핵 등의 치료 및 예방)간 기능 저하: 정기적인 검사 필요증상이 좋아져도 내성균 발현을 막기 위해 처방된 용법과 기간을 지켜야 한다.가능한 공복에 복용해야 한다.약물 상품명 : 리팜핀 캡슐 150mg항결핵제1차 약물성인 : 1일 1회 450-600mg 경구 투여소아 : 1...2025.06.10· 5페이지 -
약리학 화학요법제, 항생제, 결핵치료약물,한센병 치료약물, 항진균 약물, 항아메바약물, 항말라리아 약물, 항기새충, 항바이러스약물, 항암약 물 간략 정리 5페이지
1.화학요법제1)sulfonamide계 약물-임상응용: 그람양성균,그람음성균 및 chlamydia에 효과가 있는 광범위 항균제이고 주로 세균의 성장을 저해하는 정균 작용을 나타낸다.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장내세균 등에 의한 요로감염증에 주로 사용한다. 외용으로 화상환자의 감염예방에 homosulamine, silcer sulfadiazine 등을 사용한다.-부작용:sulfonamides의 부작용은 경미하며, 발열, 무력감, 부종, 피부발진, 일광과민, 신욕부진, 구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간혹 급성 용혈성 빈혈 등이 나타날 수...2021.10.09· 5페이지 -
시뮬레이션 실습 사전학습 -결핵환자의 격리간호 5페이지
(1) 결핵 진단검사1. 폐결핵 감염의 진단①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결핵균의 감염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투베르쿨린 용액(RT-23 2TU)을 좌측 팔의 안쪽 피부 내에 주사 후 48~72시간에 주사 부위의 피부 결합조직이 단단해지는 경결 반응을 측정한다. 이 때 반응 부위가 10㎜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정.② 체외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검사결핵균에 감작된 T-세포만을 자극하는 특이항원을 사용하여, 효소면역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으로 인터페론 감마(in...2024.12.13· 5페이지 -
급성 기관지염 약물 정리 2페이지
급성 기관지염 약물 정리약명(상품명)투여경로용량 및횟수적응증부작용salbutol(진해거담제)IV1일 4회(0.5ml를 최종용적이 2-4ml 되도록 희석)중증의 급성 천식, 통상요법으로 효과가 없는 만성기관지 경련의 처치구강.인후 자극감, 기침, 폐질환, 기관지염, 후두염, 천명, 쉰목소리. 매우 드물게 인두염, 비충혈, 구강인두 건조감, 두통, 진전, 때때로 구갈, 구내염, 설사flumarin(그람 양성,음성균 작용)IV1일 체중 Kg당 60~80mg(역가)을 3~4회로 분할인후두염, 편도염,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의 감염 시, 만...2022.06.16· 2페이지 -
알기쉽게 작성한 결핵 소책자 42페이지
결핵 소책자 알기 쉽게 작성한목차 결핵의 정의 1 결핵의 발생 및 주의사항 1) 결핵의 전파 2 2 ) 결핵균의 감염 3 3) 결핵의 발생 4 4) 결핵의 전염기간 5 5 ) 등교중지 및 업무제한 6 6 ) 격리시 주의사항 7-8 가족접촉자 검진 1 ) 가족접촉자 검진 대상 9 2) 접촉자 검진방법 10 결핵의 증상 11 결핵의 진단 1) 결핵의 진단방법 12 2) 객담검사 13-14 결핵의 치료 15-16목차 결핵약의 복용 및 부작용 1) 결핵약의 종류 18 2) 결핵약의 부작용 18 3) 결핵의 복용방법 19-20 잠복결핵 1 ...2024.07.30· 4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