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약물 정리
본 내용은
"
결핵 약물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4
문서 내 토픽
  • 1. 이소니아지드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 및 예방을 위한 1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200-400mg을 1회 경구 투여하거나 주 2회 600-800mg을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발열, 발진, 림프절병증, 혈관염, 무과립구증, 혈소판감소,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변비 등이 있습니다. 증상이 좋아져도 내성균 발현을 막기 위해 처방된 용법과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
  • 2. 리팜핀
    리팜핀은 결핵 및 무증후성 수막염균 보균자 치료를 위한 1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450-600mg을 1회 경구 투여하며, 소아는 체중 kg당 10-20mg을 1회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불면, 초조감,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위통, 설사,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과립구 감소 등이 있습니다.
  • 3. 에탐부톨
    에탐부톨은 결핵 치료를 위한 1차 약제입니다. 1일 체중 kg당 15mg을 1회 경구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시력저하, 중심암점, 시야협착, 색감각이상, 발열, 발진, 가려움, 권태감, 백혈구 감소, 호중구 감소 등이 있습니다.
  • 4. 피라진아미드
    피라진아미드는 결핵 치료를 위한 1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1.5-2.0g(최대 3g)을 1-3회 분할 경구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간염, 황달, 간비대, 발열, 발진, 광과민반응, 식욕부진, 구역, 구토, 복통 등이 있습니다.
  • 5. 카나마이신
    카나마이신은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2g을 아침, 저녁 1g씩 주 2회 또는 1일 1g을 주 3회 근육주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일과성의 두통, 입술의 마비감, 발진, 어지러움, 이명 등이 있습니다.
  • 6. 스트렙토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1g을 근육주사하며, 고령자는 0.5-0.75g을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AST, ALT의 상승, 눈근육마비, 드물게 안점, 발열, 기침, 호흡곤란, 흉부 X선 이상, 호산구 증가 등이 있습니다.
  • 7. 프로티온아미드
    프로티온아미드는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일 0.5-1g을 1-3회 분할 경구 투여하며, 소아는 체중 kg당 10mg을 1-3회 분할 투여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감염, 황달 및 AST/ALT 상승, 발진, 광과민반응, 저혈소판증, 자색반,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역, 구토, 흉통 등이 있습니다.
  • 8. 시클로세린
    시클로세린은 결핵 치료를 위한 2차 약제입니다. 성인의 경우 1회 250mg을 1일 2회 경구 투여하며, 1일 용량이 1g을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부작용으로는 두통, 어지러움, 졸음, 떨림, 우울, 구역, 식욕부진, 복통, 변비, 설사, 피부발진 등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이소니아지드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소니아지드는 비교적 저렴하고 효과적이며 부작용도 적은 편이지만,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내성균 발생 위험이 있어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내성균 예방을 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리팜핀
    리팜핀은 결핵 치료에 가장 강력한 약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리팜핀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독성, 혈소판 감소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리팜핀은 결핵 치료에 매우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에탐부톨
    에탐부톨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에탐부톨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시력 장애,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에탐부톨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용량 조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피라진아미드
    피라진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에너지 대사를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피라진아미드는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치료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간독성, 관절통, 고요산혈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간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피라진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용량 조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카나마이신
    카나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주사제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카나마이신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신독성, 청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사제이므로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카나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투여 방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스트렙토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주사제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스트렙토마이신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신독성, 청력 장애, 전정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주사제이므로 투여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스트렙토마이신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투여 방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프로티온아미드
    프로티온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프로티온아미드는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위장관 부작용, 간독성, 정신 신경계 부작용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프로티온아미드는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시클로세린
    시클로세린은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이 약물은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작용을 합니다. 시클로세린은 다른 결핵 치료제와 병용 투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며, 내성균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신경정신계 부작용, 간독성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시클로세린은 결핵 치료에 중요한 약물이지만, 부작용 관리와 용량 조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