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정의 및 방법, 실무 사례
본 내용은
"
[a+취득자료] 원가관리회계에서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의 정의 및 방법을 서술하고, 더불어 실제 실무에서 적용되고 있는 적절한 사례를 조사해서 서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3
문서 내 토픽
  • 1. 개별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 방법은 생산하는 제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원가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제품별로 투입되는 원재료와 작업을 추적하여 작업원가표에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원가를 계산합니다. 개별원가계산은 정확한 원가 계산이 가능하지만 원가 계산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컨설팅 업계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2. 종합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방법은 개별 제품이 아닌 전체 공정에서 발생한 원가를 종합적으로 집계하고, 이를 완성품 환산량 기준으로 개별 제품에 배부하는 방식입니다. 종합원가계산은 상대적으로 원가 계산이 쉽지만 배부기준이 실질을 반영하지 못하면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소품종 대량생산 제조업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3. 개별원가계산 사례
    개별원가계산 방식을 적용하는 대표적인 회사는 PwC, KPMG와 같은 컨설팅 펌입니다. 컨설팅 회사는 개별 프로젝트 단위의 원가 계산이 중요하므로, 투입 인력의 시간을 기록하는 타임레포트를 작성하여 직접노무원가를 계산하고 간접원가를 배부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별 원가를 계산합니다.
  • 4. 종합원가계산 사례
    종합원가계산 방식을 적용하는 대표적인 회사는 포스코와 같은 철강 제조업체입니다. 포스코는 제선, 제강, 연주, 압연 등의 공정을 거쳐 철강 제품을 대량 생산하며, 각 공정별로 투입된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를 집계하고 완성품 환산량을 기준으로 개별 제품의 원가를 계산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개별원가계산
    개별원가계산은 제품 단위별로 직접 투입된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합산하여 제품의 원가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제품별 원가 파악이 용이하고 제품 간 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간접비 배분이 어렵고 실제 원가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개별원가계산은 단순하고 명확한 제품 원가 파악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종합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은 전체 기업의 총 원가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별로 배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접비 배분이 가능하고 실제 원가에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품별 원가 파악이 어렵고 계산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종합원가계산은 기업 전체의 원가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개별원가계산 사례
    개별원가계산 사례로는 제조업체의 제품 원가 산출, 건설업체의 공사 원가 산출, 서비스업체의 서비스 원가 산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직접 투입된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파악하여 제품, 공사, 서비스별 원가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 공사, 서비스 간 원가 비교가 가능하고 가격 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간접비 배분이 어려워 실제 원가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 4. 종합원가계산 사례
    종합원가계산 사례로는 제조업체의 전체 원가 산출, 건설업체의 전체 공사 원가 산출, 서비스업체의 전체 서비스 원가 산출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업 전체의 총 원가를 파악하고 이를 제품, 공사, 서비스별로 배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원가에 근접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간접비 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제품, 공사, 서비스별 원가 파악이 어렵고 계산 과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