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RD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ESRD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8
문서 내 토픽
-
1. 조혈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대상자는 ESRD 진단을 받고 CRRT 적용 중이며 항응고제로 헤파린을 투여하고 있다. 혈액검사 결과 Hb, Hct, RBC, Platelet, APTT, INR 등이 감소되어 있어 출혈 위험성이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전혈구 수치, 혈액응고 검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출혈 증상을 관찰하며, 처방에 따른 수혈과 중심정맥관 및 동정맥루 출혈 여부 확인, 안전한 환경 조성과 신체손상 방지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
2.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대상자는 ESRD 진단을 받고 있으며 최근 1주일 동안 빠른 체중 증가와 함께 상하지 pitting edema, 핍뇨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전해질 검사 결과 Na, Cl 감소, BUN, Creatinine 증가 등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소견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체중 측정, pitting edema 사정, 활력징후 및 I/O 모니터링, 이뇨제 투여, 체위변경, 저염식이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
3. 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대상자는 6/2일부터 침상안정 중이며 2단계 욕창이 발생한 상태이다. Braden scale 평가 결과 13점으로 중위험군에 속한다. 따라서 욕창 부위의 상태 사정, 에어매트리스 적용, 주기적인 드레싱, 체위변경, 영양공급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
1. 조혈기능 저하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조혈기능 저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생산 감소로 이어져 출혈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이로 인해 쉽게 멍이 들거나 코피, 잇몸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각한 경우 내부 장기 출혈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조혈기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출혈 예방을 위해 상처 관리와 활동 제한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조혈기능을 모니터링하고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신기능 저하는 체내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체액과다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종, 호흡곤란, 고혈압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폐부종이나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신기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수분 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등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식이 조절, 운동, 체중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도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신기능을 모니터링하고 체액 균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장시간 부동은 피부에 지속적인 압박을 가해 피부통합성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욕창, 피부 마찰 손상, 피부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뼈 돌출 부위나 습기가 많은 부위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피부통합성 장애는 통증, 감염, 기능 저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피부 관찰, 압박 해소, 습도 관리, 영양 섭취 등의 예방 조치가 중요하며, 발생 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장시간 부동이 불가피한 경우 피부통합성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A+ 자료] ESRD 혈액투석 환자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32페이지
신장내과CASE STUDY- ESRD 혈액투석 환자 케이스 -< 목 차 >Ⅰ. 임상자료 수집 (Gathering Clinical Data)1Ⅱ. 비정상 자료 목록 (abnormal data list) 18Ⅲ.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21Ⅳ. 간호진단 목록 (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22Ⅴ. 개념도 (Concept Care Maps) 23Ⅵ. 간호계획, 수행, 평가 25Ⅶ. 참고문헌 30Ⅰ. 임상자료 수집 (Gathering Clinical Data)(1) 대상자 기본 정보간호병동내과병동환자 성명신...2023.02.20· 32페이지 -
말기신부전 case study 15페이지
말기신부전교과명 :담당 교수 :학번 :이름 :실습병원 :실습병동 :제출일 :목차Ⅰ서론 : 질환 개요Ⅱ 문헌 고찰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Ⅴ 사용된 약물 :Ⅵ 결론 :Ⅶ 참고문헌 :Ⅰ서론ESRD [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신부전이란 어떤 이유로 신장의 기능이 악화되어 신장이 기능을 못하게 된 상태를 말한다.말기신질환은 신장 기능의 90% 이상이 영구적으로 손실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는 더 이상 과다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투석하는 환자분들이 많이 계셨는데 그중에서도 제...2021.03.22· 15페이지 -
ESRD 케이스 스터디(관련 진단 검사의 목적, 전후간호, 임상적의의, 간호과정 3개 있음) 12페이지
Case Study(ESRD, End stage renal disease)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례 선정 의의)인공신장실에 오시는 환자는 다 혈액 투석 환자였다. 혈액 투석 방법은 인조혈관, 동정맥루, 카테터를 이용해서 투석을 받게 된다. 대부분의 환자는 동정맥루를 가진 환자였고, 카테터를 가지고 계신 분은 몇 분 없었기 때문에 카테터를 가지신 분으로 정하여 왜 카테터를 사용하시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ESRD의 원인, 주증상, 진단, 간호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케이스로 정하였다.Ⅱ. 문헌고찰1. 신장의 기능배설 기...2020.07.21· 12페이지 -
투석실 말기신부전 대상자 케이스 스터디 (ESRD, End-stage renal disease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15페이지
반:학번:이름:말기신부전(End-stage renal disease)대상자 사례연구Ⅰ. 서 론1. 연구 필요성 및 목적신장은 신체 내 노폐물 제거 및 항상성 유지 등 인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장기이다. 오늘 날, 과거에 비해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등 신장 질환의 유발원인이 되는 만성질환 또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신부전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주원인인 고혈압과 당뇨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여 신장질환을 예방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만성신부전은 비가역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평생 동안 치료가 필요하...2020.07.20· 15페이지 -
A++ 인공신장실 Hemodialysis 실습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5페이지
[인공신장실 케이스 스터디]A++ 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DAR 간호기록3월 21일(제 2일) 실습병동 : 인공신장실 근무조 :환자이ㅇㅇ성별여자나이51세진단명Acute infectious enterocolitis with hypotensionEnd stage skidney disease on dialysis간호기록투약약물? 약의 종류 및 투여방법 등을 기록리도카인큐프린 1ample+N/S 500ml mix fluid 주입중코다론 6ample + N/S 500ml mix fluid 주입중DAR ChartingD(Data)A(Acti...2023.09.13·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