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탈출 케이스 A+자료(간호과정 2개)
본 내용은
"
제대탈출 케이스 A+자료(간호과정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4
문서 내 토픽
  • 1. 제대탈출
    제대탈출(prolapse of umbilical cord)이란 아두만출 전에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 내려온 것이다. 파막 후 제대가 중력에 의해 선진부 앞으로 내려오는 제대탈출이 가장 흔한 양상이며, 파막 전후나 진통 중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다. 제대탈출의 원인은 제대가 긴 경우, 두정위가 아닌 선진부,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수가 터진 경우(조기파수), 태반이 정상보다 낮게 자리 잡으면서 자궁 입구에 있는 경우(전치태반), 엄마의 골반과 태아의 머리 크기가 맞지 않아 난산을 초래하는 경우(아두골반 불균형), 선진부 진입을 방해하는 자궁 내 종양, 조산아, 양수과다증 등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제대탈출의 증상으로는 질강으로 제대가 보이고, 질이나 경부에서 제대가 촉지된다. 또한, 파막되면서 흘러나온 제대에 압박이 가해질 경우 태아에게 혈액공급이 차단되면서 태아가 질식되어 심박동의 변화가 오는데 태아전자감시기에서 가변성 감퇴현상을 볼 수 있다. 제대탈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제대가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심스체위나 슬흉휘를 취하고, 제대가 건조되지 않도록 소독된 따뜻한 생리식염수를 적신 거즈로 잘 덮어주며, 산부에게 산소마스크로 분당 8~10L의 산소를 공급하고, 태아심박동수와 양상을 사정하는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 2. 간호진단
    간호진단으로는 제대 압박과 관련된 태아 손상의 위험성과 태아의 상태와 관련된 불안을 확인할 수 있다. 제대 압박과 관련된 태아 손상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산모의 체위를 교정하고, 제대 압박을 완화시키며, 산소마스크로 산소를 공급하고, 태아심음을 청진하는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태아의 상태와 관련된 불안에 대해서는 활력징후 측정, 불안 표현 격려, 태아 심음 지속 평가, 올바른 힘주기 교육, 정서적 지지 제공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제대탈출
    제대탈출은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로, 군대 내 규율과 질서를 해칠 수 있습니다. 제대탈출은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군대 내 인권 보호와 병사들의 복지 향상, 그리고 엄중한 처벌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또한 제대탈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간호 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은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간호사는 간호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건강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진단 과정에서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다학제 간 협력을 통해 환자 치료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