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지미수의 처벌근거에 관한 학설 검토
본 내용은
"
중지미수의 처벌근거에 관한 학설을 검토하여 논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3
문서 내 토픽
-
1. 중지미수의 개념중지미수는 범죄의 실행에 착수하였으나 행위를 종료하지 못한 경우 또는 결과가 발생하지 아니한 때에 성립한다. 중지미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범죄행위의 실행의 착수가 이루어져야 하며, 실행에 착수한 범행을 자의로 중지 또는 결과 발생을 방지하여야 한다.
-
2.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중지미수는 형법 제26조에서 형의 필요적 감면 사유로 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지미수의 처벌근거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대립하고 있다.
-
3. 형사정책설형사정책설은 중지미수의 처벌근거가 범죄의 기수를 방지하기 위한 형사정책적 목적을 가진다고 본다. 이에 따르면 중지미수는 인적 처벌조각사유에 해당한다.
-
4. 법률설법률설은 중지미수가 필요적 감면사유인 근거를 범죄성립요건의 소멸 또는 감소라고 이해한다. 위법성 소멸·감소설과 책임 소멸·감소설로 구분된다.
-
5. 보상설보상설은 자의적으로 범죄를 중지하거나 결과의 발생을 방지한 것은 책임을 상쇄하는 동시에 공적에 대한 보상이라고 해석한다.
-
6. 형벌목적설형벌목적설은 중지미수의 경우 범죄의사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행위자의 법익에 대한 위험성이 감소하여 특별예방적 관점에서 형벌을 감경하는 근거가 있다고 본다.
-
7. 행위불법탈락설행위불법탈락설은 중지미수는 범죄고의를 가지고 실행에 착수하였음에도 자의로 실행의 계속을 중지한 것이므로 행위반가치가 탈락해 필요적 감면사유에 해당한다고 본다.
-
1. 주제2: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합니다. 일부는 중지미수를 미수범의 한 유형으로 보는 반면, 다른 이들은 중지미수를 별도의 독립된 범죄 유형으로 보기도 합니다. 또한 중지미수를 형벌 감경의 사유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이처럼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 의견이 분분합니다.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그 처벌 수준이나 형량 감경 여부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중지미수에 대한 법적 해석과 적용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
2. 주제4: 법률설법률설은 중지미수를 법률에 의해 인정되는 별도의 범죄 유형으로 보는 견해입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중지미수는 미수범과는 구분되는 독립된 범죄 유형으로, 법률에 의해 그 처벌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법률설은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그 처벌 수준과 요건 등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중지미수에 대한 법적 해석과 적용이 보다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중지미수를 별도의 범죄 유형으로 인정할 경우 그 요건과 처벌 수준 등에 대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서는 형사정책적 고려와 실무적 적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3. 주제6: 형벌목적설형벌목적설은 중지미수를 범죄자의 자발적인 범죄 포기 행위에 대한 형벌 감경의 근거로 보는 견해입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중지미수를 인정함으로써 범죄자의 개선 가능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형벌의 목적인 범죄 예방과 재발 방지에 기여할 수 있다고 봅니다. 형벌목적설은 중지미수 인정의 근거를 형벌의 목적 달성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범죄자의 자발적인 범죄 포기 행위를 인정하고 이에 대한 형량 감경을 통해 범죄자의 개선 의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형벌목적설은 중지미수 인정의 근거를 지나치게 형벌 목적에 국한시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중지미수 인정의 근거를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
[경찰학개론]중지미수의 처벌근거에 관한 학설을 검토하여 논하시오 5페이지
-목차-Ⅰ. 서론Ⅱ. 본론1. 중지미수의 개념2. 중지미수의 법적 성격과 처벌근거(1) 법적 성격(2) 형사정책설(3) 법률설(4) 보상설(5) 형벌목적설(6)행위불법탈락설Ⅲ. 결론Ⅳ. 참고문헌Ⅰ. 서론형법 제26조에서는 범죄의 실행에 착수한 자가 범죄의 완성 이전에 범행을 중지하거나 범행으로 인한 결과 발생을 방지한 경우를 중지범으로 구분함으로써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하도록 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중지범에 대한 근본적 개념과 법적 성격, 처벌 근거 등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2023.03.03· 5페이지 -
형법총론정리 24페이지
Ⅰ. 서1. 의의행위자의 생물학적 근거를 기초로 한 행위자의 변별능력과 의사결정능력을 말한다.2. 본질범죄능력으로 보는 입장과 형벌능력으로 보는 입장이 있는데 범죄능력으로 봐야할 것이다.Ⅱ. 판단기준1. 생물학적 방법 - 심신상태의 이상성 등으로 판단한다.2. 심리학적 방법 - 변별능력, 의사결정능력 등으로 판단한다.3. 혼합적 방법 - 형법은 위의 양자를 동시에 고려하여 판단하는 입장을 취한다.Ⅲ. 책임무능력자1. 형사미성년자(9조)14세 미만인 자로서 생물학적 방법으로 정하고, 책임능력이 없다.2.심신상실자(10조 1항)(1) ...2010.10.20· 24페이지 -
★☆[법학]형법사례 중요케이스 16가지 정리 리포트☆★ 48페이지
[사례 1]1Ⅰ.문제의 제기1Ⅱ.甲의 죄책11.문제점12.타인예비의 문제1(1)학설11)긍정설12)부정설1(2)검토23.예비의 종범의 인정여부2(1)학설21)부정설22)긍정설2(2)판례2(3)검토2Ⅲ.乙의 죄책 22.학설의 대립3(1)부정설3(2)긍정설33.판례의 입장34.사안의 검토3Ⅳ.결 론3[사례 2]4Ⅰ.문제의 제기4Ⅱ.甲의 죄책41.간음목적 약취유인죄(형법 제288조)42.감금죄의 성부43.준강간죄의 성부5(1)강간죄인가 또는 준강간죄인가?5(2)준강간죄의 성부5(3)중지미수의 성부 5Ⅲ.乙의 죄책61.감금죄의 성부62.준...2007.06.20· 48페이지 -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 25페이지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목차Ⅰ. 서론 ···································································· 2Ⅱ. 우리형법의 태도 ···················································· 5Ⅲ. 진정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 ····································· 61. 문제점 ·············································································· 62...2007.07.10· 25페이지 -
중지미수에 관한 연구 45페이지
중지미수에 관한 연구目 次중지미수에 관한 연구제1장 서론제1절 연구의목적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제2장 중지미수의 일반적 개관제1절 중지미수의 의의제2절 연혁 및 입법례제3절 중지미수의 형의 감면근거제3장 중지미수와 자의성과의 관계제1절 자의성판단의 일반적 기준제2절 자의성기준의 구체적 척도제3절 판례의 검토제4소결제4장 중지미수와 형의형평에 관한 문제제1절 예비의 중지제2절 불능미수의 중지제3절 공범과 중지미수제5 결 론제1장 서론제1절 연구의 목적형법 제26조는 “중지범”이라는 표제하에 “범인이 자의로 실행에 착수한 행위를 중...2006.12.04· 4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