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실험 extraction
본 내용은
"
유기화학실험 extrac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7
문서 내 토픽
  • 1. 추출
    추출이란 어떠한 용질을 반응물로부터 액체층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방법이다. 즉 solute가 용해도가 큰 쪽으로 녹아들어가는 원리를 이용한 separation이다. 화학 반응에서는 불순물이나 side effect 때문에 온전한 purification이 되지 않으므로 반응물을 purification하기 위해 extraction을 한다. 이때 두 가지의 liquid phase를 사용하는데(주로 수용액과 유기 용매를 사용), 둘의 밀도가 다르고 서로 용해되지 않는다면 층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수용액 층에는 부산물이나 불순물이, 유기용매 층에는 desired compound나 organic compound가 녹게 된다.
  • 2. 분배의 법칙
    분배의 법칙이 적용되는 equilibrium에서는 insoluble한 two phase에 eluent가 분배된다. 즉 어떠한 물질 A가 평형 상태에서 phase 1과 phase 2에 분배될 때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분배계수 K가 1보다 클 때, 즉 유기 용매층의 몰농도가 수용액 층의 몰농도보다 클 때, 효율적 추출이 가능하다.
  • 3. 다단계 추출
    주어진 용액을 한번에 추출하기보다 소량씩 여러 단계로 나누어 추출해야 잔존률이 낮기 때문에 효율적 추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한번에 100 mL을 추출하는 것보다 25 mL씩 4번 추출하는 것이 extraction efficiency가 높다.
  • 4. 용매 선택
    추출에서 solvent 선택 시 고려할 점은 서로 섞이지 않는 solvent여야 층분리가 일어나고, 분배계수가 1보다 커야 하며, 분리하려는 desired molecule(solute)와 반응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휘발성이 있고, 끓는점이 100℃ 이하 여야 쉽게 제거가 가능하며, 다루기 쉽고, 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이어야 한다.
  • 5. TLC
    TLC는 비휘발성 반응물의 정성 분석에 이용되며,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극소량의 시료로도 detection이 가능한 액체 Chromatography로서 주로 glass에 고정상을 coating하여 사용한다. TLC를 사용하는 경우는 어떠한 시료가 순수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때, 최적 합성 조건의 빠른 규명, 미정제 반응물의 규명, 두 개 이상의 시료가 얼마나 비슷한지 혹은 동일한지에 대한 규명(10 g의 양까지 정성 분석)이다.
  • 6. TLC 실험 과정
    TLC 실험의 여섯 단계는 sample preparation, TLC plate spotting, solvent 고르기, TLC plate develop, TLC plate 결과 visulization, Rf계산이다. 흡착제로는 silica gel을 주로 사용하며, 용매는 각 물질별로 극성이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므로 분리하려는 성분이 어떤 극성을 띠는가에 따라 용매를 다르게 써야 한다.
  • 7. 물질의 극성
    극성이란 화학결합에서 전자분포가 어느 한쪽 원자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서, C보다 전기음성적인 원소가 있는 경우, acidic hydrogen을 가지고 있을 경우, 편극이 있는 작용기나 원자가 많을수록 분자량이 클수록 극성도 커진다. 따라서 Chromatography를 이용해 물질을 분리하려면 혼합물에서 각 물질의 상대적인 극성을 고려해야 한다.
  • 8. TLC 결과 해석
    TLC 결과에서 Rm이 p-toluidine인 이유는 TLC 결과에서 B와 co-spot에서는 tailing이 나오고 Rm 과 T의 spot에서는 tailing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론상으로도 p-Toluidine(pKa = 5.08)과 benzoic acid(pKa = 4.17) 중 더 강산인 benzoic acid가 염기 NaOH와 만나 H+를 주고 soluble in water하게 변하므로 유기층에 녹아 있는 것은 p-toluidine이 된다.
  • 9. Procedure 2 결과 예측
    Procedure 2에서는 benzoic acid가 NaOH와 반응하여 sodium benzoate라는 soluble in water한 염을 생성하고, 이를 conc. HCl로 다시 benzoic acid로 환원시켜 MC로 추출하므로, TLC 결과 상으로 Rm은 benzoic acid일 것이고 Rf 값도 benzoic acid와 동일하게 나올 것이다.
  • 10. 오차 원인
    1번째 extraction에서 separatory funnel의 아래층을 받아준 후 수용액 층을 따로 받아주고 유기층은 다시 separatory funnel에 넣어주는 과정을 실수로 생략하여, 잔존률에 영향을 미쳐 multiple extraction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추출
    추출은 화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혼합물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고 순수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추출 과정에서는 용매의 극성, 끓는점, 밀도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추출 횟수, 온도, pH 등 다양한 변수를 조절해야 합니다. 추출 기술은 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환경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화학 실험의 기본 기술로 매우 중요합니다.
  • 2. 분배의 법칙
    분배의 법칙은 화학 평형 상태에서 용질이 두 상(phase) 사이에 분배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용질의 농도비는 두 상의 부피비와 같습니다. 분배 계수는 용질의 농도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값을 통해 추출 효율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분배의 법칙은 추출, 크로마토그래피, 생물학적 막 투과 등 다양한 화학 과정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분배의 법칙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화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3. 다단계 추출
    다단계 추출은 단일 추출로는 충분한 순도를 얻기 어려운 경우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여러 번의 추출 과정을 거치면 순도를 점진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다단계 추출에서는 각 단계의 추출 효율, 용매 사용량, 시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추출 단계가 늘어날수록 손실이 누적되므로 최적의 단계 수를 결정해야 합니다. 다단계 추출은 복잡한 혼합물에서 순수한 성분을 분리하는 데 유용하며, 화학 실험뿐만 아니라 산업 공정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 4. 용매 선택
    용매 선택은 추출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용매의 극성, 끓는점, 밀도, 독성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용매를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추출하고자 하는 물질의 극성과 유사한 극성을 가진 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용매의 끓는점은 추출 온도와 관련되므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용매 선택 시 환경 및 안전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실험 목적과 조건에 맞는 최적의 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추출 실험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5. TLC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는 혼합물 내 성분을 분리하고 확인하는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입니다. TLC는 간단하고 빠르며 소량의 시료로도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TLC 분석을 통해 혼합물의 성분, 순도, 반응 진행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TLC 결과를 바탕으로 추출, 분리, 정제 등의 실험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TLC는 유기화학, 생화학, 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분석 기술입니다.
  • 6. TLC 실험 과정
    TLC 실험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먼저 TLC 플레이트에 시료를 점적하고 전개 용매를 이용하여 전개시킵니다. 용매가 이동하면서 각 성분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Rf 값을 측정합니다. 그 후 UV 램프나 발색 시약을 이용하여 각 성분을 확인합니다. TLC 실험에서는 시료 점적량, 전개 용매 조성, 전개 거리 등 다양한 변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적의 분리 조건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TLC 실험은 간단하지만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실험 조건을 세밀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 7. 물질의 극성
    물질의 극성은 화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극성 물질은 전하 분포가 비대칭적이어서 부분적인 전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무극성 물질은 전하 분포가 대칭적입니다. 물질의 극성은 용해도, 끓는점, 용매 선택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물질의 극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화학 실험에서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추출 실험에서는 추출하고자 하는 물질의 극성과 유사한 극성을 가진 용매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TLC 실험에서도 전개 용매의 극성이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 8. TLC 결과 해석
    TLC 실험 결과를 해석하는 것은 화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TLC 플레이트에 나타나는 각 스팟의 Rf 값, 색상, 형태 등을 분석하여 혼합물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f 값은 용매 전개 거리에 대한 시료 이동 거리의 비율로, 이를 통해 각 성분의 극성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색 시약을 사용하면 각 성분의 화학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LC 결과 해석 시 표준 물질과의 비교, 문헌 데이터 활용 등이 도움이 됩니다. 정확한 TLC 결과 해석은 혼합물 분리와 정제에 필수적입니다.
  • 9. Procedure 2 결과 예측
    Procedure 2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험 과정과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Procedure 2는 추출 실험으로 보이며, 용매의 극성, 밀도, 끓는점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다단계 추출을 통해 순도를 높이는 과정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는 TLC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LC 결과에서 나타나는 Rf 값과 스팟 패턴을 분석하면 추출된 성분의 특성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Procedure 2의 최종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10. 오차 원인
    화학 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먼저 실험 기구의 부정확성, 온도 및 압력 변화, 시약의 순도 등 실험 환경과 관련된 요인이 있습니다. 또한 실험 절차상의 오류, 시료 취급 부주의, 측정값 기록 실수 등 실험자의 실수도 오차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반응 메커니즘의 복잡성, 분석 기기의 한계, 데이터 처리 과정의 오류 등 다양한 요인이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험 환경 및 절차를 엄격히 관리하고, 반복 실험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