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성적관리규정 인정점 부여 기준
본 내용은
"
학업성적관리규정 인정점 부여 기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6
문서 내 토픽
  • 1. 지필평가 결시생 성적처리
    지필평가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결시생)의 성적처리는 결시 이전·이후의 성적 또는 기타 성적의 일정비율을 환산한 성적(인정점)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인정 사유 및 인정점의 비율 등은 「경상북도 중학교 학업성적관리 시행 지침」에 따라 학교의 학업성적관리규정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2. 수행평가 결시생 성적처리
    수행평가에 결시한 경우 별도로 개별 평가(1회 기회 부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장기 결석이나 기타의 사유로 수행평가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 결시한 영역의 학년 평균점을 기준으로 학생의 결시 사유별로 인정점을 부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3. 대안교육 위탁 교육기관 위탁학생 성적처리
    대안교육 위탁 교육기관에 위탁된 학생의 성적처리는 「경상북도 중학교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에 따라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그 결과를 학기말에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에 따라 해당 학생의 자료를 작성한 후 소속 학교에 송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4. 건강장애 학생 성적처리
    병원학교 및 원격수업 등 방송·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수업을 받는 건강장애 학생의 평가 방법 및 성적처리는 소속 학교 학업성적관리규정에 따라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지필평가 결시생 성적처리
    지필평가 결시생의 성적처리는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결시생의 성적처리 방식은 학생의 개별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보다는 유연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질병, 가족 사정 등 불가피한 사유로 결시한 경우에는 추가 시험 기회 제공, 대체 과제 부여 등의 방식으로 성적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결시생의 성적 산출 시 다른 평가 요소를 반영하는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결시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2. 수행평가 결시생 성적처리
    수행평가 결시생의 성적처리는 지필평가 결시생과 마찬가지로 학생의 개별 상황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수행평가는 과정 중심의 평가로 결시로 인해 평가 기회를 놓친 경우 학생의 학습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추가 과제 부여, 면담을 통한 확인 등의 방식으로 학생의 학습 성과를 확인하고 이를 성적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결시 사유에 따라 유예 기간을 두거나 대체 평가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성적 처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수행평가 결시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대안교육 위탁 교육기관 위탁학생 성적처리
    대안교육 위탁 교육기관 위탁학생의 성적처리는 일반 학교 학생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합니다. 대안교육 위탁 학생은 일반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한 성적 처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탁 교육기관의 평가 방식을 인정하거나, 위탁 기간 동안의 학습 과정과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등의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탁 학생의 학습 동기와 자존감 향상을 위해 노력 점수 부여, 성취도 중심의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안교육 위탁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건강장애 학생 성적처리
    건강장애 학생의 성적처리는 학생의 건강 상태와 학습 여건을 고려하여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건강장애 학생은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정상적인 학습 활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이들의 특성과 상황을 반영한 성적 처리 방안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장기 결석 시 추가 시험 기회 제공, 대체 과제 부여, 수행평가 반영 비율 조정 등의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장애 학생의 학습 동기와 자존감 향상을 위해 노력 점수 부여, 성취도 중심의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장애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