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병 간호과정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실습 조현병 간호과정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2
문서 내 토픽
-
1. 조현병의 정의조현병은 주요 뇌의 기능인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적 활동이나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정신질환을 나타낸다. 정신기능이 분열되고 사고연상의 이완 또는 해리되는 증상을 표현한 말이다. 망상, 환청, 화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이다.
-
2. 조현병의 원인조현병의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생물학적 요인에는 유전적 요인, 신경화학적 요인, 생리적 요인이 있으며, 심리사회적 요인에는 심리적 스트레스원과 사회환경, 문화적 요인이 있다.
-
3. 조현병의 유형조현병의 유형에는 망상장애, 단기정신병적 장애, 조현양상장애, 조현정동장애, 물질/약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 정신장애와 관련된 긴장증, 의학적 상태로 인한 긴장증적 장애 등이 있다.
-
4. 조현병의 증상조현병의 증상은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으로 구분된다. 양성 증상에는 사고내용의 장애, 사고과정의 장애, 지각장애, 와해된 행동이 있으며, 음성 증상에는 정동장애, 무욕증, 대인관계에 대한 관심 또는 기술 부족, 병식 부족, 무력증, 무쾌감증, 추상적 사고력 부족 등이 있다.
-
5. 조현병의 진단조현병의 진단은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중 최소한 한 가지가 반드시 나타나야 하며, 이러한 증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
6. 조현병의 치료 및 간호조현병의 치료 및 간호에는 공격성 관리, 활동참여와 공동체 경험, 환각 관리, 망상 관리, 연상의 이완 관리, 음성 및 인지적 증상관리, 정신간호중재 등이 포함된다.
-
7. 간호과정간호과정에는 간호사정, 진단검사, 간호과정이 포함된다. 간호사정에는 일반적 배경, 정신병력, 임상심리검사, 정신상태 검사, 투약 등이 포함되며, 진단검사에는 Abdomen CT, Abdomen Erect/supine, EKG, 상부소화관 내시경, 상복부 초음파 등이 포함된다.
-
8. 간호진단 및 계획간호진단은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한 영양과 관련된 지식부족'이다. 간호계획에는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형성, 활동 양상 사정, 망상 사정, 현실 초점화, 의사소통 정도 사정, 집단치료 및 활동 참여 격려, 영양 섭취 지식 사정, 체중 확인, 라면 및 군것질 줄이기, 올바른 식습관 형성 등이 포함된다.
-
9. 간호평가간호평가 결과, 대상자는 면담자와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타인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집단치료에 부분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체중 측정을 하지 않았고, 라면 및 과자 섭취량 감소가 부분적으로 달성되었으며, 영양불량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
-
10. 참고문헌참고문헌에는 정신간호학 교과서, 정신간호 진단과 중재 등의 문헌이 포함되어 있다.
-
1. 주제2: 조현병의 원인조현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가족력, 유전자 변이 등이 있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임신 중 감염, 스트레스, 약물 남용 등이 있습니다. 또한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도 조현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도파민, 글루타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불균형과 뇌 영상 검사상 나타나는 뇌 구조 및 기능 이상이 조현병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조현병의 원인은 유전, 환경, 신경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인자적 질환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
2. 주제4: 조현병의 증상조현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양성 증상: 환각, 망상, 와해된 사고와 언어, 이상행동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현실과 동떨어진 경험을 하게 하며, 환자의 기능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2) 음성 증상: 무감동, 무의욕, 사회적 철회, 정서 표현의 빈곤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저하시키며,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3) 인지 증상: 주의력 저하, 기억력 저하, 정보 처리 속도 저하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저하시키며, 사회적 기능 회복에 장애가 됩니다. 이 외에도 우울, 불안, 공격성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위해서는 다양한 증상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
3. 주제6: 조현병의 치료 및 간호조현병의 치료는 약물 치료와 정신 사회적 개입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1) 약물 치료: 항정신병약물은 조현병의 핵심 증상인 양성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약물 부작용 관리와 장기 복용에 대한 순응도 향상이 중요합니다. 2) 정신 사회적 개입: 인지행동치료, 사회기술훈련, 가족 교육 등을 통해 환자의 기능 회복과 재활을 돕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증상 관리, 삶의 질 향상, 재발 예방 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3) 간호 중재: 약물 부작용 관리, 증상 모니터링, 일상생활 지원, 가족 교육 등 다양한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특히 환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과 지지적 간호가 중요합니다. 조현병 치료에는 장기적인 관점이 필요하며, 환자와 가족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치료 성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4. 주제8: 간호진단 및 계획조현병 환자의 간호진단 및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간호진단: - 사회적 고립 - 자해 위험 - 약물 부작용 - 자기 간호 결핍 - 가족 기능 장애 - 재발 위험 2) 간호계획: - 사회적 지지 체계 강화 - 자해 예방을 위한 안전 계획 수립 -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및 관리 - 자기 간호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 - 가족 교육 및 지지 제공 - 재발 예방을 위한 증상 관리 및 대처 방안 마련 이러한 간호진단과 계획을 통해 조현병 환자의 증상 관리, 기능 향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환자와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고, 다학제적 협력을 통해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주제10: 참고문헌조현병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은 참고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2. Sadock, B. J., Sadock, V. A., & Ruiz, P. (2015). Kaplan &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11th ed.).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3. Townsend, M. C. (2015).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Concepts of care in evidence-based practice (8th ed.). Philadelphia, PA: F.A. Davis Company. 4. Videbeck, S. L. (2017).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7th ed.).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5. Stahl, S. M. (2013). Stah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Neuroscientific basis and practical applications (4th e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러한 참고문헌을 통해 조현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조현병 케이스 간호과정1. 조현병 간호과정 이 사례는 51세 여성 환자의 조현병 간호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환자는 5살 때 첫째 딸이 사망한 후 우울증과 불면증, 환각 증상을 보였으며 2010년과 2018년에 입원 치료를 받았습니다. 간호사정 결과 환자는 자가간호 결핍, 환청으로 인한 불안, 딸의 사망으로 인한 만성적 슬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간호계획에는 자가간호...2025.04.25 · 의학/약학
-
조현병 간호과정1. 조현병의 임상경과 조현병은 시간이 갈수록 증상이 점점 악화되다가 만성 경과를 거치면서 일정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들은 진학, 취업, 결혼, 출산 등과 같은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가족은 경제적 부담은 물론 정신적 부담도 가지게 된다. 초기 치료는 약물 투여를 통한 증상 감소에 초점을 두고, 안전대책을 통해 자살 위...2025.04.30 · 의학/약학
-
조현병 간호과정1. 조현병의 정의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일부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법에 뚜렷한 발전이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한 ...2025.01.13 · 의학/약학
-
조현병 간호과정1. 조현병 개념 조현병이란 뇌기능 장애의 한 유형으로서 인지, 지각, 정동, 의지, 행동과 사회활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장애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만성 정신장애이다. 조현병은 과거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현재의 조현병 이라는 개정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2. 조현병 발병원인 조현병의 명확한 ...2025.01.13 · 의학/약학
-
조현병 환자의 간호과정 적용1. 조현병의 정의와 증상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준다. 양성증상으로는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부적절한 정동, 망상, 환각 등이 있으며, 음성증상으로는 감정이 없어 전혀 표현이 안 되는...2025.01.11 · 의학/약학
-
조현병 간호과정1. 조현병 조현병은 정신분열병이라고도 불리는 정신 질환입니다. 환청, 망상, 사고 장애, 감정 표현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약물 치료와 정신 사회적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을 사정하고, 약물 투여, 환경 조절, 대화 및 활동 격려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환자의 증상 관리와 사회 복귀를 돕습니다. 2. 약물 치료 조현병 환자에게 ...2025.04.30 · 의학/약학
-
조현병 간호과정 11페이지
조현병 간호과정 (간호사정,간호진단)조현병 개념,발병원인,진단기준 연구(목차)1. 조현병 이란?2. 조현병 발병원인3. 조현병 진단기준4. 조현병 간호과정(1) 간호사정1) 행동특성2) 전반적 건강 사정3) 간호사 자가평가(2) 간호진단- 조현병 진행 순서 및 기대되는 결과1. 조현병 이란?조현병이란 뇌기능 장애의 한 유형으로서 인지, 지각, 정동, 의지, 행동과 사회활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장애를 초래하는 대표적인 만성 정신장애이다. 조현병은 과거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2024.04.12· 11페이지 -
조현병 간호과정 8페이지
정신간호 케이스스터디조현병(Schizophrenia)Ⅰ. 문헌고찰조현병은 가장 심한 정신질환의 하나로, 모든 문화와 인종, 사회경제적 집단에서 볼 수 있다.1. 임상경과조현병은 시간이 갈수록 증상이 점점 악화되다가 만성 경과를 거치면서 일정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들은 진학, 취업, 결혼, 출산 등과 같은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가족은 경제적 부담은 물론 정신적 부담도 가지게 된다.초기 치료는 약물 투여를 통한 증상 감소에 초점을 두고, 안전대책을 통해 자살 위험을 감소시키며, 수면을 정상화시키고...2023.02.20· 8페이지 -
조현병 간호과정 20페이지
2021학년도정신간호학실습학년/반/학번성 명실 습 기 간실 습 기 관담 당 교 수Ⅰ. 조현병 문헌고찰정의심한 신경생물학적 부적응 반응으로 사고, 인지, 정서, 지각, 행동, 대인관계, 의욕 등 여러 측면에서 장애를 일으키는 뇌기능장애이다.조현 : 거문고의 줄을 고르다조현병 : 정신이 분열되어 치료 불가능한 불치병 이라는 낙인에서 벗어나 현악기의 줄을 잘 조율하면 다시 좋은 소리를 내듯이 느슨해진 뇌신경망을 치료를 통해 잘 조율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뜻을 내포한다.구분Schizophrenia (조현병)평생 유병률0....2021.12.22· 20페이지 -
조현병 간호과정 22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1.^2.^3)^4)(^5)(^6)^7^1.^2.^3)^4)(^5)(^6)^7^8^1.^2.^3)^4)(^5)(^6)^7^8^1.^2.^3)^4)(^5)(^6)^7^8..FILE:BinData/image1.gif..FILE:BinData/image2.tmp..FILE:BinData/image3.tmp..FILE:BinData/image4.tmp..FI...2023.10.24· 22페이지 -
조현병 간호과정 7페이지
정신간호 케이스스터디조현병(Schizophrenia)Ⅰ. 참고문헌- 박현숙 외, , 현문사, 2016, p246~291-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조현병”,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56, 2023.02.01- 약학정보원, “리페리돈정”,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0615, 2023.02.19.- 약학정보원, “아기오과립”, https:/...2023.02.20·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