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간호과정
- 최초 등록일
- 2023.10.24
- 최종 저작일
- 2021.08
- 22페이지/ 한글표준문서
- 가격 3,800원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조현병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1.정의 :
조현병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인 schizo(분열)과 phren(마음)이 합쳐진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분열”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인상과 사회적인 편견과 낙인은 환자를 위축시키고, 자존감을 파괴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이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대한조현병학회와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의 병명 개정 작업을 통해 조현병이라는 개정된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새로운 질병명에서 조현이란 단어의 의미는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대상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는데, 병으로 인한 정신의 부조화를 치료를 통해 조화롭게 하면 현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듯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조현병 환자들에게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양성증상은 망상, 환각, 사고장애, 괴이한 행동 등이 있고, 무의미한 언어 사용, 감정표현 능력의 감소, 감정 표현의 불능, 사회적 상호작용의 저하, 의욕저하, 사회적 위축, 운동지체 등이 대표적이다. 만성 조현병은 뇌의 기질적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사고, 정동, 행동, 지각 등의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 나타나는 뇌 기능 장애의 주요 정신질환이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조현병의 발병에 대하여 생화학적 요인, 발달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심리학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및 인류학적 요인 등이 발생 원인으로 제시되지만, 조현병 발병의 단일 원인으로 규명된 것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조현병은 유전적 취약성을 가진 사람이 환경적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병한다는 것이 학계의 통성이다. 따라서 조현병 발생 기전은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되어 발현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참고 자료
최신정신건강간호학 5판 김희숙 외,, 각론, 개론
학술자료: 『조현병 환자를 위한 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2018).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7 No. 2, 123-134pages.
대한조현병학회: http://schizophrenia.or.kr
약학정보원: 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