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탱크 잔류염소측정
본 내용은
"
탱크 잔류염소측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2
문서 내 토픽
-
1. CIP 잔류염소측정CIP 잔류염소 측정 작업 절차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탱크 내부의 이물질 제거, 예비세정, 가성소다를 이용한 세정, 2-3회 헹굼 반복, 최종 pH 검증 등의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가성소다 희석 비율, 세정 온도 및 시간 등 구체적인 작업 방법도 제시되어 있습니다.
-
1. CIP 잔류염소측정CIP(Clean-in-Place) 공정에서 잔류염소 측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잔류염소는 세척 및 살균 효과를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적절한 수준의 잔류염소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잔류염소 측정을 통해 세척 및 살균 공정의 효과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공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잔류염소 측정 데이터는 공정 관리와 개선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CIP 공정에서 잔류염소 측정은 필수적이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공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보통신기술(세종시, 파주시 스마트워터시티 사례) 8페이지
세종시 스마트워터시티 구축사업※ 스마트워터란?취수원~수도꼭지까지 물 공급 전과정에 ICT를 접목, 과학적인 수량·수질 관리와 정보 제공으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건강한 물 공급 체계□ 사업기간 : 2017 ~ 2020년□ 대상지역 : 세종시 신도심(1~3생활권) 및 구도심(조치원)□ 총사업비 : 120억원□ 시행부처 : 한국수자원공사, 환경부, 세종시□ 사업내용 : 재염소설비(10곳), 누수감지센서(1,300대), 스마트 수도미터(926대), 자동드레인(10곳), 관 세척(9곳, 5.8km) 등 설치스마트워터 시스템 구축건강한 수...2023.12.15· 8페이지 -
멸균법과 소독제제 5페이지
기본간호학1 00000 000멸균법과 소독제제Ⅰ. 멸균법? 멸균법 : 조직이나 혈관에 직접 접속하는 물품에 적용하는 방법.? 병원균, 비병원균,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킨다.1. 멸균 준비(1) 세척? 세척 시 : 방수가운, 장갑, 보안경 같은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방법- 혈액이나 농 등의 유기물이 열로 인해 응고되어 제거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우선 흐르는 찬물로 물품을 세척한 후 더운물에 세제나 비누를 이용하여 솔로 물품을 철저히 닦는다.- 빨리 세척을 못하는 경우 : 유기물이 기구에 말라붙을 수 있...2020.07.18· 5페이지 -
지역사회 간호학 환경파트 정리 3페이지
지역사회간호학 4-2 기말고사환경의 개념-자연적조건이나 사회적상황우리나라환경정책기본법-환경을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으로 정의 여기서 말하는 생활환경이란 (진동)(악취)(일조)를 포함환경오염-(사업활동) 및 기타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대기오염)(수질오염)(토양오염)(일조방해)환경보건-몬트리올(오존), 바젤(폐기물), 교토(기후방지), 생물다양성(평창)환경보건종합계획-(환경성질환조사감시및피해구제)(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피해저감)(환경오염 민감계층 및 취약지역대책)(기후변화에따른 건강피해대응기반마련)환경보건종합계획의 관리 대...2020.01.22· 3페이지 -
제조관리 식품 제조용수의 이해 교육자료 26페이지
제조용수 관리의 이해목 차 제조용수의 정의와 목적 용어의 정의 책임과 권한 관리 기준1. 제조용수의 정의와 목적1. 제조용수의 정의와 목적 제조용수란 ? 식품 제조 가공 , 식품에 접촉할 수 있는 시설 · 설비 , 기구 · 용기 , 종업원 등의 세척에 사용되는 용수는 수돗물이나 「 먹는 물 관리법 」 제 5 조 규정에 의한 먹는 물 수질기 준에 적합한 지하수이어야 한다 .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 취수원은 화장실 , 폐기물 · 폐수 처리시설 , 동물사육장 등 기타 지하수가 오염될 우려가 없도록 관리하여야 하며 필요한 경우 살균 또는 ...2019.04.09· 26페이지 -
소독과 멸균 7페이지
성인간호실습 4- 분담주제: 소독과 멸균 -소독과 멸균Ⅰ. 용어 정의1) 소독 disinfection: 세균의 아포(spore)를 제외한 대부분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2) 멸균 sterilization: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 병원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고압증기멸균법, 가스멸균법, 건열멸균법,H _{2} O _{2} 가스플라즈마멸균법, 과초산멸균법, 화학멸균제를 이용한 멸균법3) 세척 cleansing: 오염물, 유기물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 물과 기계적인 마...2019.09.19·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