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쌀 소비 대책 개안
본 내용은
"
쌀 소비 대책 개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0
문서 내 토픽
-
1. 쌀 가공식품쌀 가공식품에는 레토르트 밥, 무균포장밥, 냉동밥, 칠드밥, 통조림밥, 건조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 중 벨기에 로투스 과자는 쌀 함량이 59%로 높은 편입니다. 또한 쌀 가공품 TOP10에는 오늘의메뉴 떡국, 더 가벼운 카카오닙스, 비비고 소고기죽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제품의 쌀 함량은 31.9%에서 93.3%까지 다양합니다.
-
2. 쌀 수급 및 소비 현황2021년 기준 전가구의 연간 양곡 소비량은 65.0kg, 쌀 소비량은 88.9kg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농가의 경우 양곡 소비량은 99.5kg, 쌀 소비량은 87.4kg으로 전가구보다 높지만 역시 감소 추세입니다. 이는 주식용뿐만 아니라 기타 음식용에서도 양곡 및 쌀 소비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
3. 쌀 소비 대책 개안2022년 쌀 생산량은 376만 4천 톤으로 2021년 대비 3.0% 감소했지만, 여전히 수요량보다 15만 5천 톤 많은 공급과잉 상황입니다. 정부는 공공비축미와 시장격리곡을 조속히 매입하고, 적정생산과 소비촉진 방안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타작물 재배 사업 중단으로 인한 쌀 과잉 생산과 수입쌀 방출, 소비 감소 등이 쌀 문제 심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
1. 쌀 가공식품쌀 가공식품은 쌀의 활용도를 높이고 다양한 제품 개발을 통해 쌀 소비 증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쌀 가공식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기능성 쌀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맛과 질감의 쌀 가공식품 개발, 편의성 향상, 영양 강화 등을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쌀 가공식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함께 기업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쌀 수급 및 소비 현황최근 쌀 소비량 감소와 재고 증가로 인해 쌀 수급 불균형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식생활 변화, 1인 가구 증가, 밀 등 대체 곡물 소비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쌀 소비 감소 추세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쌀의 영양학적 가치와 건강 기능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다양한 쌀 가공식품 개발을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쌀 수급 및 가격 안정화 정책, 농가 지원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
3. 쌀 소비 대책 개안쌀 소비 증진을 위한 다각도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첫째, 쌀의 건강 기능성과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개선해야 합니다. 둘째, 다양한 쌀 가공식품 개발과 함께 편의성과 맛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여야 합니다. 셋째, 학교, 군대, 병원 등 단체급식에서의 쌀 사용 확대와 같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넷째, 정부의 쌀 수급 및 가격 안정화 정책, 농가 소득 지원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이를 통해 쌀 소비 증진과 함께 농가 소득 안정화, 식량 안보 강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