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성 위암 케이스
본 내용은
"
진행성 위암 케이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0
문서 내 토픽
-
1. 진행성 위암22.01.03에 위암 진단받고, 현재 AGC(advensed gastric cancer) stage. 4 [T4N3M0]로 본원 HI F/U 중이며, 23.03.13 항암치료(구제항암요법) 후 PTGBD insertion state에서 pus 나오고, Fever, chilling, general acher 동반되어 23.03.14 ER 경유하여 General ache 주호소로 23.03.15 내원함. 23.03.16 본원에서 PTGBD catheter 교체함.
-
2. PTGBD 삽입 및 관리PTBGD 삽입을 통해 삽입관으로 배액되는 액을 확인하고, 진단을 도움. 초음파로 배액 부위를 확인한 후 피부 밖에서 바늘을 이용해 관을 삽입하는 시술임.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음. 23.03.16 PTGBD reposition, Cath change 시행함.
-
3. 암성 통증 관리대상자는 복부 간헐적 통증 호소하며, NRS 7-8점 측정됨. morphine 투약 이력있음. 매 라운딩 마다 통증을 재사정하고, 통증 정도가 심해질 경우 콜벨을 누르도록 함. 처방에 따라 모르핀 10mg를 N/S 100cc에 mix하여 투여함.
-
4. 감염 관리23.03.15 PTGBD 삽입부위 oozing, pus 소견 보여 Meropen INJ 투약함. 대상자 처치 및 간호활동 시 무균술을 철저히 지킴. 감염에 대처하기 위하여 균배양검사를 실시함.
-
5. 욕창 예방 및 관리입원 시 ccocyx sore (Grade 2, 진피 손상/ 2*2*0cm) 발견됨. 체위 변경 시 마다 뼈 돌출부와 같은 욕창 호발 부위의 발적 유무를 확인함. 마찰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투명 필름 드레싱이나 폼 드레싱을 이용하여 드레싱함.
-
6. 영양 관리식이: 맑은 미음(1/3 섭취함), WN14(TPN)/ 23.03.21~ NPO(self). 영양불량이 의심되면 결핍의 요인을 확인하고, 영양사에게 의뢰함. 혈액검사 지표(alb, transferrin, prealbumin)를 확인함.
-
7. 수면장애 관리order: Insomnia 호소시 Trittic 25mg HS Prn. 평소 뒤척이다가 잠에 든다고 함.
-
8. 체온조절장애 관리adm 당시 fever, chiling 호소함. 입원 중 열은 안 나는데 chillling 호소함. 담요 덮고, 춥다는 모습 관찰됨.
-
9. 감각지각변화 관리R 청력 소실됨. 간병인 상주하여 부축하고, 말 전달하는 모습 관찰됨.
-
10. 낙상 위험 관리침상 난간 내리고 휴식 취하는 모습 보임. 간병인 잘 때 pole대 잡고 침상에서 내려오는 모습 관찰됨.
-
1. 진행성 위암진행성 위암은 매우 심각한 질병으로, 환자의 삶의 질과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질병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진행이 빨라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진행성 위암 환자의 증상 관리와 완화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의 통증, 영양 섭취, 감염 관리 등 다양한 증상을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 대한 심리적 지지도 중요합니다. 진행성 위암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는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예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PTGBD 삽입 및 관리PTGBD(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는 담낭 배액을 위한 중재적 시술로, 담낭염 등 담도계 질환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TGBD 삽입 및 관리는 환자의 상태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시술 전후 감염 관리, 배액관 관리, 합병증 모니터링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PTGBD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TGBD 관리의 전문성과 체계성을 높여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암성 통증 관리암성 통증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증상입니다. 암성 통증 관리를 위해서는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 중재적 시술, 물리치료, 심리적 지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환자의 통증 양상과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통증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4. 감염 관리암 환자는 면역력 저하로 인해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감염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손 위생, 격리 조치, 예방접종 등의 기본적인 감염 관리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또한 감염 증상 발현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감염 관리에는 의료진, 환자, 보호자 모두의 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암 환자의 감염 예방과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욕창 예방 및 관리암 환자는 장기 입원, 영양 불량, 활동 저하 등으로 인해 욕창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욕창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욕창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피부 사정, 압력 재분산, 영양 관리 등의 예방적 중재가 필요합니다. 욕창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별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상처 관리, 감염 관리, 통증 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욕창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욕창 발생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영양 관리암 환자는 질병 자체와 치료로 인해 영양 섭취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한 영양 불량은 환자의 면역력 저하, 치료 내성 감소, 삶의 질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영양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의 영양 상태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개인별 맞춤형 영양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경구 섭취가 어려운 경우 경장 영양이나 정맥 영양 등의 대체 영양 공급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영양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치료 효과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7. 수면장애 관리암 환자는 질병 자체, 치료 과정, 증상 등으로 인해 수면장애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장애는 환자의 피로도, 면역력, 삶의 질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수면장애 관리가 중요합니다. 수면위생 교육, 약물 치료, 심리적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수면 양상과 수면장애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면장애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수면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8. 체온조절장애 관리암 환자는 질병 자체, 치료 과정, 감염 등으로 인해 체온조절장애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체온조절장애는 환자의 건강 상태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체온조절장애 관리가 중요합니다. 체온 모니터링, 발열 관리, 체온 조절 중재 등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체온조절장애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체온조절장애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합병증 예방과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9. 감각지각변화 관리암 환자는 질병 자체, 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감각지각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환자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감각지각변화 관리가 중요합니다. 감각지각변화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약물 치료, 물리치료, 보조기기 사용 등 다각도의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각지각변화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감각지각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10. 낙상 위험 관리암 환자는 질병 자체, 치료 부작용, 근력 저하 등으로 인해 낙상 위험이 높습니다. 낙상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 환자의 낙상 위험 관리가 중요합니다. 낙상 위험 평가, 환경 개선, 운동 요법, 보조기기 사용 등 다각도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낙상 예방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암 환자의 낙상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진행성 위암 케이스스터디1. 진행성 위암 진행성 위암은 암이 위의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이상을 뚫고 들어간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암이 위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고 위 주위의 림프절에 퍼져 있거나, 간, 췌장, 횡행결장 및 비장 등의 주변 장기로 전이되거나, 림프절 또는 혈관을 따라서 간, 폐, 뼈 등으로 전이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진행하면서 위벽을 뚫고 나와 장을 싸고 있는...2025.01.16 · 의학/약학
-
2024 A+ 성인간호학실습_위의 양성 신생물(benign neoplasm of stomach)_간호진단1, 간호과정11. 위의 양성 신생물(benign neoplasm of stomach) 위의 양성 신생물(Benign neoplasm of stomach)은 위의 양성 종양으로 악성 종양보다는 심각하지는 않지만 악성 종양과 치료가 비슷해서 case 대상자로 정하게 되었으며 또한 우리나라에서 갑상샘암을 제외하고 남성에게 가장 흔한 암으로 위-폐-대장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2025.01.28 · 의학/약학
-
[A 케이스] 성인간호 / 진행성 위암 케이스1. 진행성 위암 위암은 위점막 상피세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98%는 샘암종, 나머지는 림프종과 평활근육종에 해당된다. 진행성 위암은 암세포가 점막층 이하, 즉 고유근층이나 장막층을 침범한 경우를 말한다. 진행성 위암은 조기위암에 비해 예후가 나쁘다. 주요 발병 원인으로는 H.pylori 감염, 식품요인,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소화불량, ...2025.05.07 · 의학/약학
-
병원 임상, 내시경간호 컨퍼런스 PPT 발표자료(상부, 하부내시경, 취담도, 캡슐, GFS,CFS,ERCP)1. 상부 소화기 검사 상부 소화기 검사는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 등 상부 소화기관을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검사 전 금식, 동의서 작성, 전처치 등의 준비가 필요하며,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또한 BFS(기관지내시경), GFS(위내시경) 등 다양한 상부 소화기 검사 방법이 ...2025.01.12 · 의학/약학
-
[A+] 성인실습(진행성위암) 소화기내과 케이스 보고서1. 진행성 위암 진행성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갑상샘암을 제외하고 남성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암으로, 2014년 기준 전체 암 발생의 13.8%로 2위,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11.6%로 3위이며 다른 장기에 비해 높은 편에 속한다. 대부분 위암은 위안뜰 부위에서 발견되지만, 근위부 종양도 증가하는 추세이며, 위암은 주로 점액샘에서 발생되며, 대부분의 종...2025.05.07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폐렴 케이스 (간호 케이스스터디)1. 폐렴의 병태생리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염증은 간질강, 허파꽈리, 세기관지에서 발생한다. 발병과정은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된다. 세균이 번식한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고 다른 감염 증상들이 나타난다. 백혈구가 허파꽈리 ...2025.04.27 · 의학/약학
-
진행성 위암, 위암 CASE STUDY 성인간호학 34페이지
4) 위암의 정의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에는 위 점막상피에 생기는 위선암과 점막하층에서 생기는 악성림프종, 근육육종, 간질성 종양 등이 있으나, 대개 위암이라 하면 위선암을 일컫는다. 위선암은 위장 점막 조직에서 발생한 세포가 선암성 변화를 보이면서 종괴(종양 덩어리)를 만들거나 악성 궤양을 만드는 암으로, 위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점막에서 발생하여 혹의 형태로 커지면서 주로 위벽을 관통하고, 위 주위의 림프절로 옮겨가서 성장한다.(1) 조기 위암조기 위암은 림프절로의 전이 유무에 관계없이 암 세포가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2021.09.28· 34페이지 -
[A 케이스] 성인간호 / 진행성 위암 케이스 18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진행성 위암목차 ------------------------------------ p.31. 정의2.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3. 증상 및 증후4. 진단검사 및 결과5. 합병증6. 의학적 치료7. 일반적인 간호관리 --------------------------------------------------- p.61. 일반적 사항2. 주호소3. 현병력4. 과거력5. 가족력6. NANDA의 간호사정도구를 이용한 간호사정7. 진단적 검사8. 진단(치료)을 위한 검사9. 주요 약물요법10. 기타 치료 및 간호11. 신체사정12. ...2023.05.06· 18페이지 -
진행성 위암 AGC CASE A+ 내용충실+칭찬받음 (간호진단, 과정 3개) 24페이지
CASE STUDY- AGC (Advanced gastric cancer) -- 목 차 -Ⅰ. 서론 2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2. 문헌고찰 ----------------------------------------------------------- 2? 정의? 원인 및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합병증 및 예후Ⅱ. 본론 71. 간호사정 -----------------------------------------------------------...2020.07.21· 2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진행성위암케이스 A+(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개, 진짜 구체적, 까다로운 교수 걸려서.. ) 23페이지
진행성 위암 case study[Advanced Gastric cancer]하출혈)학 과:간호학과학 번:1711217이 름:박 신 실실습기간:2020년 7월 20일~7월 31일실습영역:MICU제 출 일:2020년 7월 29일담당교수:안나원 교수님학 과:간호학과학 번:이 름:실습기간:실습영역:외과(GS)제 출 일:담당교수:목차Ⅰ 서론··················································································································...2020.09.28· 23페이지 -
[A+ 고퀄] 교수님 칭찬 케이스, 성인간호학, 진행성위암(Advanced Gastric Cancer), 간호진단 및 과정 3개 30페이지
CASE STUDY진행성 위암 [F/35][Advanced Gastric Cancer]학교명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 1실습기관실습기간21.07.19~21.07.30지도 교수님학번이름제출일2021.07.30목차Ⅰ. 목적 ━━━━━━━━━━━━━━━━━━━━━━━━━━━━━ 3Ⅱ. 간호사례문헌고찰 ━━━━━━━━━━━━━━━━━━━━━━━━━━━━━ 3일반적 사항 ━━━━━━━━━━━━━━━━━━━━━━━━━━━━ 13과거력 ━━━━━━━━━━━━━━━━━━━━━━━━━━━━━━ 13활동과 휴식 ━━━━━━━━━━━━━━━━━━━━━━━━...2022.03.08· 3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