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지혈제, 빈혈치료제,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정리
본 내용은
"
[약리학, 약물]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지혈제, 빈혈치료제,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 요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5
문서 내 토픽
  • 1.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응고인자의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항응고제는 치료제라기보다 증상의 악화나 재발을 예방하는 약물이다. 수술을 통해 인공혈관 또는 심장에 인공판막 등을 넣어준 경우나 혈액 응고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혈관과 심장 내에 비정상적인 응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응고된 혈전이 떨어져 나가 혈관을 타고 다니다가 뇌나 심장으로 가는 관상동맥을 막게 되면 치명적일 수 있다. 혈관이나 심장에서 비정상적인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항응고제가 사용된다. 혈전이 존재하여도, 항응고제의 투여로 혈전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warfarin(coumadin)은 가장 많이 처방되는 항응고제이며, heparin은 고분자량, 저분자량 약물들이 섞여 있으며 저분자량의 heparin 단편들은 저분자량 heparin(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으로 이용된다.
  • 2. 항혈소판제
    항혈소판제는 혈소판 응집을 촉진시키는 화학적 신호의 생성이나 작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상인의 경우는 혈관 내에서 혈액이 뭉치는 일은 없으나 동맥경화와 같이 혈관벽이 손상된 경우에는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혈전이 생기기 쉽고 이렇게 생성된 혈전은 뇌졸중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glycoprotein(GP) Ⅱb/Ⅲa 억제제, aspirin(Acetylsalicylic acid; ASA), ticlopidine(Ticlid), cilostazol(Pletal) 등이 항혈소판제로 사용된다.
  • 3. 혈전용해제
    혈전용해 약물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plasminogen을 plasmin으로 활성화시켜 fibrin(섬유소) 분해하여 혈전을 용해하는 작용을 한다. ateplase, anistreplase, streptokinase 등이 혈전용해제로 사용된다.
  • 4. 지혈제
    출혈은 수술이나 절제술 이후, 혈우병과 같은 질병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항응고제의 사용으로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출혈이 발생되면 지혈제를 통해 출혈을 멈춰야 한다. aminocaproic acid, aprotinin, protamine sulfate, vitamin K 등이 지혈제로 사용된다.
  • 5. 빈혈치료제
    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은 철분 섭취의 부족, 임신이나 수유에 의한 철분의 요구량 증가, 위장관 출혈, 치질, 월경과다, 체내 기생충 등이다.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되면 피부가 창백해지고 피로감, 빈맥, 호흡곤란, 현기증 등이 나타난다. iron protein succinylate, Ferric hydroxside, polymaltose 등이 철 결핍성 빈혈 치료제로 사용된다. 재생불량성 빈혈과 악성빈혈도 치료제가 있다.
  • 6.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응고조절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에는 사정, 진단, 계획, 수행 단계가 있다. 사정 시 멍이 쉽게 들어나 양치질이나 면도 시 과다한 출혈이나 예기치 않은 코피 등을 확인하고, 응고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진단 시 혈전형성과 관련된 조직관류저하, 응고조절약물 투여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응고조절약물 사용 부작용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을 확인한다. 수행 시 활력징후, 의식수준, 출혈 경향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약물 투여 방법을 준수하며, 출혈 증상이 있으면 약물 투여를 중단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 과정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심장 질환, 뇌졸중, 정맥 혈전 등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됩니다. 항응고제 사용 시 출혈 위험이 증가하므로 환자의 출혈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항혈소판제
    항혈소판제는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환자의 출혈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혈전용해제
    혈전용해제는 혈전을 용해시켜 혈류를 회복시키는 약물입니다. 급성 심근경색, 뇌졸중 등 혈전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출혈 위험이 높아 출혈 위험 요인 평가와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지혈제
    지혈제는 출혈을 억제하고 지혈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수술, 외상, 출혈성 질환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혈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혈전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빈혈치료제
    빈혈치료제는 빈혈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철분 결핍성 빈혈, 만성 질환성 빈혈, 용혈성 빈혈 등 다양한 빈혈 유형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부작용 관리가 중요하므로 환자의 부작용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에서는 출혈 및 혈전 위험 평가,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환자 교육 등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출혈 및 혈전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 부작용 관리 방법, 응급 상황 대처법 등을 이해시켜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