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지혈제, 빈혈치료제,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정리
본 내용은
"
[약리학, 약물]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지혈제, 빈혈치료제,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 정리 [핵심 약리학, 은학사, 교과서 정리, 핵심정리, 요약, 요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5
문서 내 토픽
-
1. 항응고제항응고제는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응고인자의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항응고제는 치료제라기보다 증상의 악화나 재발을 예방하는 약물이다. 수술을 통해 인공혈관 또는 심장에 인공판막 등을 넣어준 경우나 혈액 응고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혈관과 심장 내에 비정상적인 응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응고된 혈전이 떨어져 나가 혈관을 타고 다니다가 뇌나 심장으로 가는 관상동맥을 막게 되면 치명적일 수 있다. 혈관이나 심장에서 비정상적인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 항응고제가 사용된다. 혈전이 존재하여도, 항응고제의 투여로 혈전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warfarin(coumadin)은 가장 많이 처방되는 항응고제이며, heparin은 고분자량, 저분자량 약물들이 섞여 있으며 저분자량의 heparin 단편들은 저분자량 heparin(low molecular weight heparin; LMWH)으로 이용된다.
-
2. 항혈소판제항혈소판제는 혈소판 응집을 촉진시키는 화학적 신호의 생성이나 작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상인의 경우는 혈관 내에서 혈액이 뭉치는 일은 없으나 동맥경화와 같이 혈관벽이 손상된 경우에는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혈전이 생기기 쉽고 이렇게 생성된 혈전은 뇌졸중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glycoprotein(GP) Ⅱb/Ⅲa 억제제, aspirin(Acetylsalicylic acid; ASA), ticlopidine(Ticlid), cilostazol(Pletal) 등이 항혈소판제로 사용된다.
-
3. 혈전용해제혈전용해 약물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plasminogen을 plasmin으로 활성화시켜 fibrin(섬유소) 분해하여 혈전을 용해하는 작용을 한다. ateplase, anistreplase, streptokinase 등이 혈전용해제로 사용된다.
-
4. 지혈제출혈은 수술이나 절제술 이후, 혈우병과 같은 질병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다. 항응고제의 사용으로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출혈이 발생되면 지혈제를 통해 출혈을 멈춰야 한다. aminocaproic acid, aprotinin, protamine sulfate, vitamin K 등이 지혈제로 사용된다.
-
5. 빈혈치료제철 결핍성 빈혈의 원인은 철분 섭취의 부족, 임신이나 수유에 의한 철분의 요구량 증가, 위장관 출혈, 치질, 월경과다, 체내 기생충 등이다. 철 결핍성 빈혈이 발생되면 피부가 창백해지고 피로감, 빈맥, 호흡곤란, 현기증 등이 나타난다. iron protein succinylate, Ferric hydroxside, polymaltose 등이 철 결핍성 빈혈 치료제로 사용된다. 재생불량성 빈혈과 악성빈혈도 치료제가 있다.
-
6.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응고조절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에는 사정, 진단, 계획, 수행 단계가 있다. 사정 시 멍이 쉽게 들어나 양치질이나 면도 시 과다한 출혈이나 예기치 않은 코피 등을 확인하고, 응고검사 수치를 확인한다. 진단 시 혈전형성과 관련된 조직관류저하, 응고조절약물 투여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응고조절약물 사용 부작용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을 확인한다. 수행 시 활력징후, 의식수준, 출혈 경향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약물 투여 방법을 준수하며, 출혈 증상이 있으면 약물 투여를 중단할 수 있다.
-
1. 항응고제항응고제는 혈액 응고 과정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심장 질환, 뇌졸중, 정맥 혈전 등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됩니다. 항응고제 사용 시 출혈 위험이 증가하므로 환자의 출혈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항혈소판제항혈소판제는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심혈관 질환, 뇌졸중 등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환자의 출혈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혈전용해제혈전용해제는 혈전을 용해시켜 혈류를 회복시키는 약물입니다. 급성 심근경색, 뇌졸중 등 혈전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출혈 위험이 높아 출혈 위험 요인 평가와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지혈제지혈제는 출혈을 억제하고 지혈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 수술, 외상, 출혈성 질환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혈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혈전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부작용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빈혈치료제빈혈치료제는 빈혈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철분 결핍성 빈혈, 만성 질환성 빈혈, 용혈성 빈혈 등 다양한 빈혈 유형에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부작용 관리가 중요하므로 환자의 부작용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과 부작용 관리 방법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간호과정에서는 출혈 및 혈전 위험 평가,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 환자 교육 등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출혈 및 혈전 위험 요인을 사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부작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 부작용 관리 방법, 응급 상황 대처법 등을 이해시켜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응고조절 약물 투여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약리학약물정리_응고조절_빈혈치료_항고지질혈증 약물1. 응고조절약물 응고조절약물은 혈액 응고 과정을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혈액 응고 과정은 복잡한 연쇄반응으로 이루어지며, 응고 인자들의 활성화와 억제를 통해 혈전 형성을 조절합니다.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이에 속합니다. 2. 빈혈치료제 빈혈은 적혈구 수 또는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철분 결핍, 비타민 결핍, 골수 기능 저하 등이 원인...2025.01.20 · 의학/약학
-
뇌졸중 치료 및 예방1. 허혈성 뇌졸중 치료 뇌혈관이 막혀 뇌혈류가 차단되면 뇌조직은 불과 몇 시간 내에 되돌이킬 수 없는 손상이 오므로, 수시간 이내에 막힌 뇌혈관에 혈전 용해제를 투여하므로써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여, 뇌혈류를 재개시켜야 합니다. 치료 방법은 두 가지로 혈전 용해제를 정맥내로 투여하는 방법과 동맥내로 투여하는 방법이 있는데, 동맥내로 직접 투여하는 방...2025.05.08 · 의학/약학
-
[빈혈 및 조혈계통 약리학 정리]1. 빈혈 빈혈은 혈액성분 중 적혈구수의 감소에 따라 헤모글로빈(철 단백질)의 농도가 정상 이하로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철결핍성 빈혈이 가장 흔하며, 특히 유아기, 청소년기, 가임기여성 및 노인에서 유병율이 높다. 빈혈의 원인은 실혈, 적아구분화의 장애(erythropoietin 분비저하, 철, folic acid, vitamin B12 등의 결핍) 등이...2025.05.14 · 의학/약학
-
뇌경색 질환고찰1. 뇌경색의 병태생리 뇌 조직은 평상시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 조직의 괴사가 시작되며,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뇌경색은 발생 기전에 ...2025.01.12 · 의학/약학
-
A+ 시상경색 케이스스터디 (Thalamic infarction) (비효율적 조직관류, 출혈위험성, 낙상위험성)1. 혈전 생성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대상자는 뇌경색으로 인한 오른쪽 팔다리의 감각 저하와 운동 장애를 겪고 있습니다. 혈액 검사 결과 혈전 생성 위험이 높은 상태이며, 수면 중 산소포화도 저하 등의 증상이 관찰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간호 중재로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 공급, 항응고제 투여, 안정적인 환경 조성 등을 계획하였습니다. 2. 혈전 형성으...2025.01.04 · 의학/약학
-
뇌경색 간호진단1. 뇌경색 뇌경색이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를 말한다. 이러한 뇌경색은 뇌 혈전증과 뇌 색전증이 있다. 뇌경색의 원인으로는 동맥경화증, 동맥염 등으로 혈관벽에 찌꺼기가 생겨 혈류장애를 가져오는 경우와 심장 등에서 혈괴가 떨어져서 뇌혈관을 갑자기 폐쇄되어 혈류장애가 나타나는 경...2025.01.12 · 의학/약학
-
stroke case(성인실습)(A+)(문헌고찰 허혈성, 출혈성 모두 있음) 35페이지
CASE STUDYSTROKE(뇌졸중)실습병원실습기간과목성인간호학 실습담당교수명학년/조학번/이름제출일목 차Ⅰ.서론 ------------------------------------------------- p.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문헌고찰 --------------------------------------------- p.41. 정의2. 원인3. 종류4. 증상5. 진단검사6. 치료7. 간호Ⅲ. 간호사정 ------------------------------------------- p.161. 일반적 사항2. 입원 관련정보...2024.02.19· 35페이지 -
성인간호학 - 뇌졸중 교육안 (도입, 전개, 정리 순으로 자세히 작성하였습니다/ A+) 15페이지
성인간호학(2) 교육안 발표-3조뇌혈관성 질환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질환단계별 교육안과목명성인간호학(2)교수님명학과조원 및 역할제출일INDEX1. 대상자 및 보호자 교육안-교육대상, 장소, 일자-교육계획안: 핵심주제, 학습목표, 자료 및 준비물단계(도입, 전개, 정리)2. 출처Ⅰ. 대상자 및 보호자 교육안교육대상OO병원 뇌졸중으로 입원한 60세 이상의 환자 및 보호자교육장소00호교육일자☞교육계획안핵심주제뇌졸중 환자 및 가족의 교육과 재발 예방법학습목표-뇌졸중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뇌졸중의 원인과 종류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2016.04.21·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