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모방행위를 막기위한 제도
본 내용은
"
디자인 모방행위를 막기위한 제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디자인보호법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의 보호 및 이용을 도모함으로서 디자인의 창작을 장려하여 산업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디자인보호법에서 사용하는 디자인이란 물품의 형상, 모양, 색채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으로써 시각을 통하여 미감 즉 심미성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디자인보호법에서 설정등록에 의하여 '디자인권'이 발생하는데, 디자인권의 존속기간은 디자인의 설정등록을 한 날로부터 20년으로 한다. 이에 디자인권자는 업으로서 등록한 디자인을 독점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된다.
  • 2. 우선심사 신청
    디자인 등록출원을 완료하더라도 등록 전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디자인 등록을 원한다면, 우선심사신청을 진행해야 한다. 심사기간이 약 1~2개월 정도로 단축될 수 있다. 우선심사신청은 출원공개 후 디자인등록출원이 아닌 자가 업으로서 디자인등록출원된 디자인을 실시하고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디자인등록출원으로서 긴급처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가능하다.
  • 3. 비밀디자인 청구
    일반적으로 디자인등록출원된 디자인은 설정등록에 의해 디자인권이 발생한 후 등록공고에 의해 일반에 최초로 공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디자인보호법은 설정등록 후 일정기간(최장 3년)동안 등록디자인을 비밀로 유지할 수 있는 제도를 두고 있다. 비밀디자인청구와 동시에 최장 3년 이내의 비밀기간을 지정하면 등록 후 그 비밀기간동안 등록디자인의 공개가 유보된다.
  • 4. 복수디자인
    디자인보호법은 하나의 디자인등록절차를 통해 하나의 디자인권이 발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동일한 물품류 구분에 속하는 물품의 경우 100개 이내에서 복수디자인등록출원이 가능하다. 이는 다수의 디자인을 동시에 창작하여 동시 출원과 함께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5. 출원공개 신청
    디자인보호법은 원칙적으로 등록 전까지 디자인등록출원된 디자인을 공개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자인등록출원인의 신청이 있으면 등록 전이라도 디자인등록출원된 디자인을 공개한다. 등록 후에 바로 공개되는 디자인을 왜 등록 전에 공개하는 이유는 등록 전이라도 제3자의 침해를 방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6. 관련디자인 등록 출원
    출원인 또는 디자인권자는 자기의 출원 또는 등록디자인(기본디자인)과만 유사한 디자인을 기본 디자인의 출원일부터 1년 이내에 관련디자인으로 출원하여 등록받을 수 있다. 관련디자인제도는 완성된 디자인으로부터 일부 변형에 의한 개량디자인이 연속적으로 창작되는 디자인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초 디자인(기본디자인)을 기초로 관련디자인등록을 인정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디자인보호법
    디자인보호법은 산업디자인의 보호와 육성을 통해 산업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입니다. 이 법은 디자인의 창작을 장려하고 디자인권의 보호를 통해 디자인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디자인보호법은 디자인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디자인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 분쟁 해결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디자인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2. 우선심사 신청
    우선심사 신청은 디자인 출원 절차에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출원인은 자신의 디자인을 신속하게 등록받을 수 있습니다. 우선심사 신청은 기술 혁신, 산업 발전, 국가 경쟁력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만 우선심사 신청에는 일정한 요건이 있으므로, 출원인은 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또한 우선심사 신청에 따른 수수료 납부 등의 절차도 준수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우선심사 신청은 디자인 보호와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비밀디자인 청구
    비밀디자인 청구는 디자인 출원인의 권리 보호와 기술 보안을 위해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출원인은 자신의 디자인을 일정 기간 동안 비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의 모방을 방지하고 기술 유출을 막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만 비밀디자인 청구에는 일정한 요건이 있으므로, 출원인은 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또한 비밀디자인 기간이 만료되면 디자인이 공개되므로, 출원인은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비밀디자인 청구는 디자인 보호와 기술 보안 측면에서 중요한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 4. 복수디자인
    복수디자인 제도는 디자인 출원인에게 유용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출원인은 하나의 출원서로 여러 개의 디자인을 등록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출원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출원인에게 유리합니다. 또한 복수디자인 제도는 디자인 산업의 발전과 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복수디자인 출원에는 일정한 요건이 있으므로, 출원인은 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복수디자인 제도는 디자인 보호와 산업 발전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5. 출원공개 신청
    출원공개 신청은 디자인 출원 절차에서 중요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출원인은 자신의 디자인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통해 디자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원공개는 디자인 분쟁 예방과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출원공개 신청에는 일정한 요건이 있으므로, 출원인은 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출원공개 신청은 디자인 보호와 산업 발전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6. 관련디자인 등록 출원
    관련디자인 등록 출원은 디자인 출원인에게 유용한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출원인은 기존에 등록된 디자인과 관련된 새로운 디자인을 함께 등록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 보호의 범위를 확장하고 디자인 권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디자인 등록 출원은 디자인 산업의 발전과 다양성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관련디자인 등록 출원에는 일정한 요건이 있으므로, 출원인은 이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관련디자인 등록 출원은 디자인 보호와 산업 발전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