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실습- 사례간호 1 출산간호, 사례간호 2 유도분만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실습- 사례간호 1 출산간호, 사례간호 2 유도분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진진통의 징후
    경미씨의 진진통 징후는 자궁 수축이 15분 간격으로 30초간 지속되며 2시간 전부터 있었고, 자세를 바꿔도 진통이 유지되었으며, 혈성 이슬을 보았다고 하였다. 이는 규칙적인 진통 간격, 자세 변화에도 유지되는 진통, 분만이 가까워지면 나타나는 혈성 이슬 배출 등의 진진통 징후가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 2. 진진통 여부 판단
    간호사는 진진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1) 진통의 규칙성, 간격 단축, 강도 증가 여부, 2) 진통이 등과 복부에서 나타나는지, 3) 진정제 투여에도 효과가 없는지, 4) 자궁경부의 개대와 소실 진행 여부, 5) 양막 파열 여부 등을 확인한다.
  • 3. 분만 1기 단계
    경미씨의 경우 양막 파열, 자궁경부 개대 2~3cm, 80% 소실, 자궁수축 지속시간 45~50초 등을 종합해볼 때 분만 1기 잠재기에 해당한다. 분만 1기 잠재기는 경부 개대 0~3cm, 자궁수축 간격 5~30분, 지속시간 30~45초 등의 특징을 보인다.
  • 4. 간호중재 우선순위
    1순위: 이완 증진 - 에너지 효율적 사용, 자궁-복벽 마찰 감소 2순위: 대상자와의 접촉 시간 증가 - 심리적 지지 3순위: 통증경감 - 통증 대처 능력 향상, 진통 대응 4순위: 분만 2기 대처 전략 제시 - 불안 감소
  • 5. 유도분만 시 간호
    옥시토신 투여 시 유리파편 혼입 방지, 점적 속도 조절, 자궁수축 및 태아 심박 모니터링, 투여 금기 상황 확인 등의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한다. 자궁수축이 과도할 경우 즉시 투여를 중단하고 좌측 체위, 수액 주입 속도 증가, 산소 투여 등의 중재를 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진진통의 징후
    진진통의 징후는 규칙적이고 점점 강해지는 자궁수축, 자궁경부의 점진적인 개대와 소실, 태아하강, 그리고 산모의 불편감 증가 등입니다. 이러한 징후들은 분만 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므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산모의 상태 변화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필요시 의사와 협력하여 분만 진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 2. 진진통 여부 판단
    진진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자궁수축의 규칙성, 지속시간, 강도 등을 사정하고, 자궁경부 개대 정도와 태아하강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주관적인 증상, 즉 불편감 정도와 배출되는 점액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진진통 여부를 판단하고,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의사와 협력하여 이러한 사정과 판단 과정을 수행하며, 산모와 태아의 안녕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중재해야 합니다.
  • 3. 분만 1기 단계
    분만 1기 단계는 자궁경부가 완전히 개대되는 시기로, 자궁수축이 규칙적이고 강해지면서 산모의 불편감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경부 개대 정도, 자궁수축 양상, 태아하강 상태, 산모의 주관적 증상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 수분 및 영양 공급, 감염 예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분만 진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 4. 간호중재 우선순위
    분만 과정에서 간호중재의 우선순위는 산모와 태아의 안녕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먼저 산모와 태아의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비정상적인 징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산모의 통증 관리, 수분 및 영양 공급, 감염 예방 등의 기본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중재를 취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사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 5. 유도분만 시 간호
    유도분만 시에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더욱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자궁수축 유도제 투여에 따른 자궁수축 양상, 태아 심박동 변화, 자궁경부 개대 정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 수분 및 영양 공급, 감염 예방 등의 기본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유도분만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상태가 불안정해질 경우, 즉시 의사와 협력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유도분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산모와 태아의 안녕을 위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중재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