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계획서_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효과_ A+
본 내용은
"
연구 계획서_간호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효과_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0
문서 내 토픽
  • 1.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전문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 중 BLS Provider 교육만 받은 학생과 ACLS Provider 교육을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각 교육을 받은 이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능숙도, 태도, 수행 자신감의 변화를 교육 직후, 3개월, 6개월에 지식, 능숙도, 태도, 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지속효과를 가슴압박, 순환유지 등으로 세분화하여 교육의 효과와 지속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 2. 전문 심폐소생술 교육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전문 심폐소생술 교육의 대표적인 사례로 2020년 미국심장협회 지침에 근거한 '전문 심폐소생술교육(AHA, ACLS course provider)'이다. 미국 심장협회에서 제작한 시청각자료인 DVD(Digital Vidio Disk)와 성인 마네킹을 이용한 이론, 실습 교육 및 평가를 포함한 1박 2일(총 12시간) 의 과정이다.
  • 3. 심폐소생술 지식
    본 연구에서의 지식은 기본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이론적 지식 기반을 의미하며 Ahn, Jo, Uhm & Ji(2017)이 Ugm 등(2012)이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2010년 미국심장협회 기본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 4. 심폐소생술 능숙도
    본 연구에서 능숙도는 기본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을 의미하며, Ahn 등(2017)이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 5. 심폐소생술 태도
    본 연구에서의 태도는 심폐소생술을 수행할 심리적 준비 상태를 의미하여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Kim 등(2012)에서 강경희(1998)가 현장 응급처치자를 대상으로 기본 인명 구조술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작성한 설문지와 2005년 미국심장협회 기본소생술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 6.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본 연구에서의 수행 자신감은 심폐소생술 술기를 정확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의 정도를 의미하여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Kim 등(2012)에서 최향옥(2006)이 간호사를 대상을 ㅗ작성한 설문지와 2005년 미국심장협회 기본소생술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수정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은 매우 중요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생명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일반 시민들에게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을 의무화하고, 정기적인 교육 및 실습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 위주로 구성하고, 교육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을 높이고,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2. 전문 심폐소생술 교육
    전문 심폐소생술 교육은 의료 종사자들에게 필수적입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환자의 생명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료 종사자들에게 정기적인 전문 심폐소생술 교육을 의무화하고, 교육 내용을 실제 상황에 맞추어 실습 위주로 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 이수 여부를 자격증 발급 및 승진 등과 연계하여 교육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종사자들의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을 높이고, 심정지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3. 심폐소생술 지식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은 매우 중요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의 원리와 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과 의료 종사자들 모두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의무화하고, 교육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습 위주로 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재교육을 통해 지식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4. 심폐소생술 능숙도
    심폐소생술 능숙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과 의료 종사자들 모두에게 정기적인 실습 교육을 의무화하고, 실제 상황에 맞추어 실습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 이수 여부를 자격증 발급 및 승진 등과 연계하여 교육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 수행 능력을 높이고,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5. 심폐소생술 태도
    심폐소생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관심과 의지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과 의료 종사자들 모두에게 심폐소생술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교육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 6. 심폐소생술 수행 자신감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은 매우 중요합니다.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감이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과 의료 종사자들 모두에게 정기적인 실습 교육을 의무화하고, 실제 상황에 맞추어 실습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또한 교육 이수 여부를 자격증 발급 및 승진 등과 연계하여 교육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고, 심정지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