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자료] 생물심리학 기말고사 과제
본 내용은
"
[A+ 자료] 생물심리학 기말고사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7
문서 내 토픽
-
1. PGO파PGO파는 REM 동안 꿈과 관련된 뇌파로, REM 동안 꿈을 꿀 때 활성화된다. 뇌간 부분 다리뇌(P)는 자고 있는 동안에도 들어오는 적은 정보(누워있다던지, 교감신경계, 내부상태, 체온 등 내 몸에 대한 정보)가 있으므로, 이 부위가 활성화 되고, 신호를 발생하면 그 신호가 시상의 가쪽 무릎체(G)로 들어간다. 평상시 시각 정보가 눈을 통해 들어가면 이 부분으로 들어가는데, 자고 있는 동안 눈을 감고 있으므로 시각 정보가 눈을 통해 들어오는 것은 아니지만, 다리뇌가 부족하지만 그나마 있는 내 몸에 대한 상태로 활성화되고, 그 신호가 가쪽 무릎체로 가고, 그 신호가 이 부분이 그 신호가 시각 관련 대뇌피질인 후두엽의 활성화를 시킨다. 따라서 눈을 통해 정보가 들어오는 것은 아니어도 어쨌든, 시각과 관련된 시상과 후두엽이 활성화 되니까 시각적인 장면으로 꿈을 꾸게 된다. 그래서 꿈이 뇌가 부족한 정보를 가지고 만들어내는 story가 아닐까하는 추측을 한다. REM을 흔들어 깨우거나 해서 계속 못하게 하면 낮 동안 일상생활을 할 때 PGO파가 활성화 되어 환각을 보게 된다.
-
2. REM 수면 행동 장애REM 행동 장애는 ACH 관련 망상체 아래 부분 관련으로 발생한다. 우리는 자는 동안에 자율신경계를 매개로 해서 신체상태도 변하지만, NE->ACH가 되면서 REM이 되는 동시에, 망상체 아래 부분은 하향신호를 보내 근육 수축 세포를 억제(ACH에서 출발한 뉴런이 아래쪽으로 근육을 지배하여 마비 상태가 됨)하여 근육을 이완시키는데, 여기서 ACH가 작동할 때 망상체 아래 부분이 근육을 이완시키지 못해 꿈은 꿈대로 꾸고, 움직이는 수면 장애이다. 자면서 어디에 부딪히거나, 때리거나 해서 상대방을 가해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REM수면행동장애는파킨슨 전조 현상으로 나타난다(뇌간 각성계 문제).
-
3. 기면 발작기면발작은 평상시(wakefulness)에 있다가 갑자기 REM 상태로 푹 들어가 버리는 수면 장애이다. 기면 발작의 증상으로는 갑자기 힘이 빠지는 탈력발작, 망상체 아래 부분이 근육을 마비시키는 수면마비(REM의식 수준으로 의식은 있음), REM 동안 Dreaming하는 것과 유사한 입면환각, 갑자기 졸리는 증상들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REM의 특성임) 중 2가지 이상이 나타날 때 기면발작이라고 한다. 기면발작인 사람들의 뇌를 보니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 사이 부분, 전전두엽 부분이 작동을 잘 하지 않았다. 또한 기면발작에서 발생하는 환각이 REM 상태에서의 Dreaming이나 임사체험에서 보는 신비한 경험과 관계가 있지 않나 생각하고, 기면발작인 사람들은 신체 이탈을 종종 경험한다.
-
4. 꿈의 기괴성과 신체 이탈 경험REM 수면 중에는 교감 신경계의 활성화가 엎치락 뒤치락 하면서 뇌간의 스위치가 어중간하게 켜져있기 때문에 자극 기억, 의식적인 자아 생성, 일관적인 시간의 연속성 안에서 나의 과거 기억과 현재 들어오는 정보들을 종합해서 의식형태와 나에 대한 히스토리를 만드는데 중요한 배외측 전전두엽과 시각, 청각, 신체 감각을 통합해서 보는 시각과 공간 내에서 나의 몸뚱아리의 위치, 자아감 형성에 중요한 관자마루엽 접합부 두 부위가 꺼져 있다. 따라서, 일관된 자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꿈 속에서 시간과 공간이 계속 바뀌어 앞뒤가 맞지 않는 기괴한 꿈을 꾸게 되고, 내 몸이 나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부위가 꺼지므로 3인칭 전지적 시점으로 신체 이탈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
5. 시차 부적응과 기억 장애시차 부적응을 겪게 되면 우리 몸은 변화를 요구하고, 교란 당한다. 따라서 만성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만성 스트레스에 시달리면 코티졸이란 스트레스 호르몬이 일시적, 지속적으로 분비되어 해마, 이마엽의 세포를 망가뜨린다(해마 세포 숫자가 적어지고, 뉴런 자체의 모양도 달라짐). 해마는 단기기억 -> 장기기억 응고화에 중요하기 때문에, 해마와 이마엽의 세포가 망가지면 기억력 감퇴, 기억상실증 등의 기억장애를 일으킨다.
-
6. 생체시계의 재설정생체 시계는 25시간을 주기로 잡고 리듬을 맞추는데, 우리 몸은 24시간을 하루로 살아간다. 이 1시간 차이를 생체시계가 어떻게 지휘하고 조절하는가 하면 가장 강력한 시간부여자인 빛을 이용하여 조절한다. 즉, 시교차상핵이 생물학적 시계역할을 하는데, 눈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정보 중 강도를 시간 부여자로 받아들여서 그 신호를 가지고 우리 몸의 리듬들을 조절한다.
-
7. 시차 부적응 해결을 위한 햇빛과 멜라토닌 활용멜라토닌은 어두워질 때 분비되고, 수면을 촉진하기 때문에 멜라토닌을 내 몸이 자고싶지 않아도 그 쪽 자는 시간에 가까워졌을 때 먹고 나서 잠을 자고, SCN은 빛의 강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서 24시간에 세팅하는데, 빛의 강도 변화는 있다가 없을 때, 없다가 있을 때 가장 신호가 크기 때문에 아침에 해 뜰 때 나와서 20분 이상 일광욕을 하면 빛에 의해 시교차상핵의 생체시계가 resetting 되면서 생체시계가 그 곳에 맞게끔 빨리 맞춰진다.
-
8. 색채 시각 이론색지각 이론은 어느 이론이 맞다, 틀리다가 아닌, 3개의 이론 각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현상들이 있다는 것에 초점. 1) 삼원색 이론 - 망막의 추상체를 가지고 색 지각을 설명한다. 2) 대립과정 이론 - 신경절 세포의 수용야가 가운데와 주변이 보색 관계로 반응하는 세포를 가진다는 것이다. 3) 레티넥스 이론 - 삼원색 이론과 대립과정 이론의 망막 상의 그러한 과정과 대뇌(시각 중에서 색지각고 관련된 시각 피질)가 색깔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해석한다는 것을 합쳐서 색 지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9. 시각계의 두 경로시각계의 경로는 1차 시각피질에서 크게 두 줄기로 나뉘어서 진행하는데, 두정엽 쪽으로 진행하는 어떻게(How,Where)경로와 측두엽 쪽으로 진행하는 무엇(What)경로가 있다. 어떻게 경로는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못하는 내용을 만들어내는데, 시각 정보와 함께 내 몸의 움직임, 위치/ 3차원 공간 대상 사이의 움직임을 통합한다. 무엇 경로는 시각과 관련해서 대상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경로이다.
-
10. 맹시What 경로가 고장 나면 대상 인식이 안 되니까 정보는 들어오지만 안 보인다. 그렇다면 안보이니까 어딘가에 부딪히고 해야 하는데, 어떻게 경로가 여기에 작용해 이를 부딪히지 않고 피해간다. 이것을 맹시 현상(Blind sight)라 하는데, 즉, 형태, 색깔, 위치 인식은 안 되는데 보이는 것처럼, 의식 이전 수준의 행동이 실제 정상인과 정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
11. 분할뇌 환자의 행동 특성분할뇌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는데, 왼쪽에는 눈이 오는 그림, 오른쪽에는 닭발 그림을 보여주었다. '당신이 본 것과 관련된 것을 왼손으로 골라보세요.' 하는 질문에는 눈삽을 골랐지만, 왜 골랐는지를 설명을 못했고, 작화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당신이 본 것과 관련된 것을 오른손으로 골라보세요.'하는 질문에는 닭을 고르고 왜 골랐는지 대답이 가능했다. 이는 좌뇌의 기능이 공유가 안 되어 자기 경험을 의식하지 못하고, 언어 이해, 표현을 못해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작화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
1. PGO파PGO파는 렘수면 동안 뇌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으로, 렘수면 동안 뇌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GO파는 렘수면 동안 꿈의 생성과 관련이 있으며, 렘수면 장애 환자에게서 이상 PGO파 활동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PGO파에 대한 연구는 렘수면과 꿈의 생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PGO파 활동의 이상은 수면 장애 진단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GO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REM 수면 행동 장애REM 수면 행동 장애는 렘수면 동안 꿈의 내용이 행동으로 표현되는 수면 장애입니다. 이 장애로 인해 수면 중 환자가 자신의 꿈 내용을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게 되어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REM 수면 행동 장애는 파킨슨병, 레wy소체 치매 등 신경퇴행성 질환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이 장애의 발생 기전과 신경학적 기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REM 수면 행동 장애 환자의 치료와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기면 발작기면 발작은 갑작스러운 졸음과 수면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학적 장애입니다. 이 장애는 주간 과도한 졸음, 집중력 저하, 사고력 감소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면 발작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의 각성 조절 메커니즘의 이상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기면 발작의 발생 기전과 신경생리학적 기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기면 발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4. 꿈의 기괴성과 신체 이탈 경험꿈의 기괴성과 신체 이탈 경험은 수면 중 발생하는 독특한 현상으로, 이에 대한 연구는 수면과 의식 상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꿈의 기괴성은 렘수면 동안 뇌의 활성화 패턴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신체 이탈 경험은 자아 의식과 신체 인지 메커니즘의 이상으로 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정신병리학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꿈의 기괴성과 신체 이탈 경험에 대한 신경과학적, 심리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5. 시차 부적응과 기억 장애시차 부적응은 시간대 변화에 따른 생체리듬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피로,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차 부적응은 기억 장애와도 관련이 있는데, 수면-각성 리듬의 교란이 해마 등 기억 관련 뇌 영역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차 부적응과 기억 장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시차 부적응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6. 생체시계의 재설정생체시계는 내적 생리적 리듬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며, 이의 교란은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생체시계의 재설정은 시차 부적응, 수면 장애, 우울증 등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생체시계 재설정을 위해서는 빛, 운동, 식이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의 활용이 필요하며,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생체시계 재설정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함께,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7. 시차 부적응 해결을 위한 햇빛과 멜라토닌 활용시차 부적응은 생체시계의 교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햇빛과 멜라토닌의 활용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햇빛은 생체시계의 주요 동기화 요인으로 작용하며, 멜라토닌은 수면-각성 리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차 부적응 환자에게 적절한 시간대의 햇빛 노출과 멜라토닌 투여가 생체시계 재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시차 부적응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색채 시각 이론색채 시각 이론은 색 지각의 신경생리학적 기반을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색 지각은 망막의 세 가지 유형의 색 수용체(red, green, blue)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 수용체의 상대적 활성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을 지각할 수 있습니다. 색채 시각 이론은 색맹, 색약 등 색 지각 장애의 이해와 진단에 활용되며, 나아가 색 지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색채 시각 이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9. 시각계의 두 경로시각계의 두 경로 이론은 시각 정보 처리가 두 가지 병렬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배측 경로는 대상 인식과 지각에, 복측 경로는 대상 조작과 행동 통제에 관여합니다. 이러한 시각 정보 처리의 이원화는 시각 기능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시각계의 두 경로 이론은 시각 장애 환자의 증상 이해와 재활 방법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시각 정보 처리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
10. 맹시맹시는 시각 피질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각 장애로, 특정 영역의 시각 정보 처리 능력이 상실되는 현상입니다. 맹시 환자는 시각 피질의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시각 정보 처리 과정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맹시에 대한 연구는 시각 피질의 기능 및 시각 정보 처리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맹시 환자의 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
11. 분할뇌 환자의 행동 특성분할뇌 환자는 뇌 반구 간 연결이 차단되어 각 반구가 독립적으로 기능하게 되는 특징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분할뇌 환자는 다양한 행동 특성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한 손은 다른 손의 행동을 방해하는 등의 현상이 관찰됩니다. 이러한 분할뇌 환자의 행동 특성은 뇌 기능의 측면화와 반구 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분할뇌 환자에 대한 연구는 정상 뇌 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뇌 손상 환자의 재활 방법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