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A,B,C형) 전파 예방 및 관리 간호과정
본 내용은
"
간염(A,B,C형) 전파 예방 및 관리 간호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5
문서 내 토픽
  • 1. A형 간염
    A형 간염 환자의 경우 최근에 감염된 환자의 분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감염된 환자의 분변을 만진 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주변에 A형 간염에 걸린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고, 혈액검사 결과 ALT, AST, GGT 수치 상승, 혈청 빌리루빈 수치 상승, 검은색 소변 및 탈색된 대변 관찰, 극심한 피로감과 우측 상복부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해야 합니다. 간호 진단은 '불필요한 접촉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이며, 간호 목표는 대상자가 불필요한 접촉을 피함으로써 감염 전파를 예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중재 계획으로는 가족이나 다른 사람과의 접촉 제한, 손 씻기 교육, 병원 방문 시 감염 상태 설명 등이 있습니다.
  • 2. B형 간염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장기간 수혈 치료를 받았거나 혈액 투석 환자, 최근 문신을 새긴 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혈액검사 결과 WBC 상승, HBsAg 양성, Anti-HBc 양성, HBeAg 양성, 체온 상승, 오심/구토, 피부/눈 황달, 흑색 소변 등의 증상이 있는지 사정해야 합니다. 간호 진단은 '예방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이며, 간호 목표는 대상자가 전파 예방법을 2가지 이상 설명할 수 있는 것입니다. 중재 계획으로는 날카로운 물질 노출 예방, 식기 분리 사용, 산모-신생아 감염 예방 등이 있습니다.
  • 3. C형 간염
    C형 간염 환자의 경우 감염자의 체액이나 혈액과 접촉한 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혈액검사 결과 anti-HCV 양성, 근육통, 전신 권태감, 황달 증상 등이 있는지 사정해야 합니다. 간호 진단은 '부적절한 생활 습관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이며, 간호 목표는 대상자가 자신의 습관으로 인한 감염 가능성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중재 계획으로는 위생용품 공동 사용 금지, 출혈 유발 성관계 피하기, 침 재사용 금지 등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형 간염
    A형 간염은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피로감, 식욕 감소, 황달 등이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 자연 치유되지만, 심각한 경우 간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음식 위생 관리, 백신 접종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A형 간염 환자는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격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A형 간염은 예방과 관리가 가능한 질병이지만, 여전히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 2. B형 간염
    B형 간염은 만성 간염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주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피로감, 식욕 감소, 황달 등이 나타납니다.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경우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 접종, 안전한 성관계, 주사기 공동 사용 금지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B형 간염 환자는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격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B형 간염은 만성화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 3. C형 간염
    C형 간염은 간염을 일으키는 또 다른 주요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주로 오염된 주사기나 혈액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증상으로는 피로감, 식욕 감소, 황달 등이 나타납니다. C형 간염은 만성화될 경우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주사기 사용, 혈액 접촉 주의, 백신 접종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C형 간염 환자는 타인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격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전반적으로 C형 간염은 만성화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관리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