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제왕절개 케이스, Caesarean section, C/sec (SOAPIE 진단 1개, 간호진단 2개(통증, 지식부족))
본 내용은
"
A+제왕절개 케이스, Caesarean section, C/sec (SOAPIE 진단 1개, 간호진단 2개(통증, 지식부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08
문서 내 토픽
-
1. 제왕절개분만제왕절개 수술은 질강 분만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임신부의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수술법으로 모성과 태아의 생명을 보존하고 안녕을 도모하기 위해 시행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또한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졌다. 하지만 자연분만으로 유도하되 부득이 제왕절개 수술을 해야만 하는 경우는 산모와 태아에게 고위험 원인이 있을 때이다. 제왕절개 수술이 증가하는 이유는 태아 모니터 사용이 빈번해지고 초산연령의 증가, R-c/sec, 둔위, 질분만을 피하려는 추세, 제왕절개를 원하는 임부의 증가로 볼 수 있다.
-
2. 유도분만유도분만을 하는 임신부는 제왕절개를 할 위험이 2~3배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유도분만을 시작할 때 비숍점수가 5점 이하(경부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는 뜻)인 임신부는 제왕절개를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유도분만의 지연으로 인한 위험발생 시 제왕절개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유도분만 중의 약 25%는 뚜렷한 산과적 이유없이 선택적으로 행해진다. 유도분만의 원인이 의학적 이유 또는 선택적이었던 유도분만이 실패하여 제왕절개를 하게 되는 위험도는 동일하다.
-
3. 제왕절개 수술 방법피부 및 복벽절개와 자궁벽을 절개하는 두 번의 절개가 필요하다. 피부 절개에 사용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배꼽에서 치골결합까지 이르는 정중앙 수직절개이고 또 하나는 치골결합 바로 위의 하부횡단절개이다. 자궁절개에는 하부횡단절개, 하부수직절개, 자궁상부에까지 이르는 전형적수직절개와 같은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 이 중에서 다음 임신 때 파열의 위험이 가장 낮은 하부횡단절개가 가장 선호된다. 자궁절개와 피부절개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
1. 제왕절개분만제왕절개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제왕절개분만은 자연분만에 비해 회복 기간이 길고 합병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의사와 산모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제왕절개분만의 필요성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제왕절개분만 후에는 향후 임신과 출산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의료 결정이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
2. 유도분만유도분만은 자연스러운 분만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약물이나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유도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상 필요한 경우에 실시되며, 의사와 산모가 충분한 상담을 통해 결정해야 합니다. 유도분만은 자연분만에 비해 통증이 더 심할 수 있고 합병증의 위험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분만을 결정할 때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며, 산모의 선호도와 의사의 전문적인 판단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유도분만은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
3. 제왕절개 수술 방법제왕절개 수술 방법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전통적인 종단 절개 방식과 더불어 최근에는 횡단 절개 방식 등 다양한 수술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각 수술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으므로 의사와 산모가 충분한 상담을 통해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방법 선택 시에는 산모의 과거 병력, 태아의 상태, 수술 후 회복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른 합병증 위험도 충분히 검토되어야 합니다. 제왕절개 수술 방법은 산모와 태아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여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