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를 20개 이상 제시하시오
본 내용은
"
본인이 주로 사용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예를 20개 이상 제시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31
문서 내 토픽
  • 1.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정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네 가지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사안은 동시에 표현하게 되는 언어적 메시지, 비언어적 메시지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즉, 의사소통에 있어 불일치한 이중적 메시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2.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특징
    사티어는 대인관계에서의 대처 방법 연구를 통해 자아존중의 3대 요소를 '자신', '타인', '상황'으로 규정하고, 의사소통 시 이 세 요소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의사소통 유형을 '일치형',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 3. 비난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비난형은 타인을 무시하고 오로지 자신만을 생각하는 유형으로, 약해서는 안된다는 의지를 갖고 있으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타인을 괴롭히거나 비난한다. 예시로 '너가 말한게틀렸어 내가맞아', '그냥내가하는대로이렇게하자', '다 오빠잘못이야', '난 잘못한게 없어', '넌 뭐가 문제야?'가 있다.
  • 4. 회유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회유형은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에는 존중하지만, 자신을 가치 없게 생각하며 타인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서 자신은 무가치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예시로 '사장님 전부 제잘못입니다.', '제가 책임지고 해결하겠습니다.', '저도 사장님처럼 되고싶어요.', '덕분에 일이 잘풀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도 정말 너처럼 되고싶다.'가 있다.
  • 5. 초이성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초이성형은 지나치게 이성적이며 객관성과 논리성의 소유자로 자신과 타인은 과소평가하고 상황만을 중시한다. 예시로 '처음엔 이렇게 해야하고..두 번째는 이렇게 해야되고.. 세 번째는 이렇게 해야해요.', '논리적으로 말해', '실수하지마 실수하면안돼', '사람이라면 이러면안되지', '이런행동은 이러상황에서 하면 안되고.....'가 있다.
  • 6. 산만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산만형은 주제에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하고 말과 행동이 타인, 상황과 잘 맞지 않고 산만하다. 예시로 '날내버려둬', '몰라몰라', '내가 그랫나?', '무슨상관이야', '왜그렇게심각해'가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정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상대방과의 관계를 해치고 상호 이해와 신뢰를 저해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말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자신의 입장만을 강요하는 등 상대방과의 건강한 소통을 방해하는 행동을 포함합니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상대방과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건설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합니다.
  • 2.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특징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상대방의 감정과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만을 강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둘째,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모욕하는 등 상대방을 공격하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셋째, 상대방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경청하지 않고 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합니다. 넷째, 상대방을 조종하거나 회유하는 등 상대방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행동을 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상호 이해와 신뢰를 저해하여 건강한 관계 형성을 어렵게 만듭니다.
  • 3. 비난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비난형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모욕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자존감을 훼손하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너는 항상 실수만 하는구나', '네가 이렇게 하면 문제가 생길 거야' 등의 표현은 상대방을 비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난적인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고 자신의 입장만을 강요하는 것으로, 상호 이해와 신뢰를 저해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 4. 회유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회유형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상대방을 조종하거나 회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관계의 건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너를 도와줬으니 이번에는 내 말을 들어줘', '네가 이렇게 해주면 내가 너에게 좋은 것을 해줄게' 등의 표현은 상대방을 회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유적인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의견을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상호 존중과 신뢰를 저해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 5. 초이성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초이성형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감정과 입장을 무시하고 자신의 논리와 이성적 주장만을 강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공감과 이해를 저해하여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것이 논리적으로 옳은 방법이야', '내가 보기에는 이렇게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야' 등의 표현은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논리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초이성형 의사소통은 상호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건설적인 대화를 방해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 6. 산만형 역기능적 의사소통
    산만형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여러 가지 주제를 동시에 다루는 등 상대방의 집중을 방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상대방과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 문제는 이렇고, 그리고 저번에 우리가 했던 일도 생각나네, 그리고 내일 할 일도 있는데...' 등의 표현은 주제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주제를 동시에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만한 의사소통은 상대방의 집중을 방해하여 건설적인 대화를 어렵게 만들므로 피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