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SC 측정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DSC 측정실험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31
문서 내 토픽
-
1. DSC 측정실험본 실험의 목적은 고분자가 녹는 온도인 Tm에서 30℃ 정도 더 온도를 올려서 고분자가 녹는 지점까지의 열의 출입을 측정하여 고분자의 물성(전이온도)을 알아내는 데 있습니다. DSC는 열분석법 중 하나로, 시료와 기준 물질 간 열량(에너지량)의 차이를 온도의 함수로 나타내는 분석법입니다. 실험을 통해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 결정화 온도, 용융온도 등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
2. PET와 PSPET와 PS를 함께 측정한 결과, 220℃ 정도에서부터 흡열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252.17℃에서 용융이 모두 일어난 후 다시 발열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비결정성 PET의 녹는점이 260도이고 PS의 녹는점이 240도이기 때문에 중간값인 252.17도에서 녹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3. PPPP에서 곡선에서 흡열 peak가 2군데 나타나는 이유는 실험 시 낮은 온도에서 용융하는 결정들이 용융한 후 재결정화하여 높은 온도에서 용융하는 결정으로 변화하는 현상 때문입니다. 이러한 용융-재결정-재용융 과정은 승온 속도를 증가시킬수록 재결정화할 수 있는 시간이 감소하여 낮은 온도에서 녹는 결정들이 높은 온도에서 녹는 결정으로 변화하지 못하고 용융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4. 기름 바른 PP기름 바른 PP의 경우 그래프에서 휘발류에 의해서 변곡점이 한 개 더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기름 코팅으로 인해 PP의 물성이 변화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
1. DSC 측정실험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측정실험은 고분자 재료의 열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재료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용융온도 등 다양한 열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SC 측정실험은 고분자 재료의 구조와 물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험 결과를 통해 재료의 열적 안정성, 결정화 거동, 상전이 현상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재료의 최적화 및 응용 분야 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SC 측정실험은 고분자 재료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분석 기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PET와 PS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PS(Polystyrene)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입니다. PET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투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병, 용기,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면 PS는 투명성, 단열성, 가공성이 뛰어나 가전제품, 포장재, 일회용품 등에 활용됩니다. 두 재료는 서로 다른 물성과 용도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열가소성 특성으로 인해 압출, 사출, 진공성형 등의 가공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PET와 PS는 각자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고분자 재료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3. PPPP(Polypropylene)는 대표적인 범용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로,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내열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P는 다양한 가공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될 수 있으며, 자동차 부품, 가전제품, 포장재, 섬유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친환경 및 재활용 측면에서 PP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PP는 앞으로도 고분자 재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4. 기름 바른 PP기름 바른 PP(Polypropylene)는 PP 표면에 기름을 코팅한 제품으로, 일반 PP에 비해 향상된 윤활성과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름 바른 PP는 자동차 부품, 기계 부품, 전자 부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는 엔진 부품, 변속기 부품 등에 적용되어 마찰 감소와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름 바른 PP는 일반 PP에 비해 가공성이 향상되어 복잡한 형상의 제품 생산이 용이합니다. 이처럼 기름 바른 PP는 기존 PP의 단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소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 졸업생의 PVAc 현탁중합 결과 레포트(15페이지)1. PVAc (Polyvinyl acetate) 현탁 중합 PVAc (Polyvinyl acetate) 현탁 중합 실험 결과 보고서. 분석 방법으로 NMR, IR, DSC, TGA, GPC를 사용하여 PVAc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IR 분석을 통해 VAc의 C=C 결합이 중합 후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고, NMR 분석에서 PVAc의 특징적인 피크를 확인하였...2025.01.16 · 공학/기술
-
Python을 이용한 화학공정 제어시스템 모사 실험1. 화학공정 제어시스템 화학공정은 화학적, 물리적 과정을 통해 원료 물질이 원하는 생산물로 변환되는 생산공정이다. 제어시스템에 가장 최적으로 운전되는 공정 목표치를 설정하여 DSC, PLC 등 기본 제어시스템이 공정 목표치를 만족하도록 자동으로 운전할 수 있다. 2. 1차 공정시스템 1차 공정시스템은 동특성이 1차 선형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공정이다. 여...2025.01.23 · 공학/기술
-
(핵심) DSC를 이용한 고분자 특성 확인 실험 보고서 3페이지
< DSC를 이용한 고분자 특성 확인 실험 보고서 >실험제목DSC를 이용한 고분자의 특성 확인실험 목적DSC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고분자의 열적 특성을 알아본다.실험원리시차주사열량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는 시료와 기준물질 (reference)의 온도를 일정한 속도로 변화시키면서 둘 사이의 온도차를 0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 (enthalpy)의 양을 측정하여 열의 흐름을 온도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얻어진 그래프에서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 결정화온도, 융점,...2021.08.08· 3페이지 -
DSC 실험 결과리포트 6페이지
제목 : DSC 결과보고서실험 방법측정 기기 모델명: DSC Q20 V24.11시료명: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시료 무게: 3.5mg전처리실험하고자 하는 PET의 중량을 측정한다. 보통 5~10mg를 사용하지만 이 실험에서는 3.5mg을 사용했다.Al pan으로 패킹해서 DSC pan을 만든다.기기분석냉각기, 가스 장치를 준비한다.를 사용하는 이유는 DSC 측정 기기가 다른 요소에 예민하기 때문에 산소나 수분 등 이물질을 없애 주기 위해서이다.기기를 Event on해서 -70-80℃가 되도록 한다....2023.02.15· 6페이지 -
DSC측정 실험보고서(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물성실험) 13페이지
실험보고서DSC 측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1. 실험 목적물질의 온도를 일정하게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열적특성 변화를 측정하는 열분석기인 시차주사열량계(DSC)의 측정원리와 작동방법을 알고, 이를 이용하여 PET, HDPE, LDPE의 열적 특성변화를 관찰하고 유리전이 온도, 결정화 온도, 녹는점을 알아본다.2. 실험 이론이번 실험에서는 시차 주사 열분석기(Differential Sacnning Calorimeter : DSC)를 이용하며 시료물질과 기준물질을 온도변화 프로그램으로 가열하면서 ...2019.04.19· 13페이지 -
청량음료(콜라 들) 중의 인산의 정량 사전보고서 (A+) 10페이지
청량음료(콜라 등) 중의 인산의 정량 사전보고서1. 실험 목적청량음료 중의 인산을 몰리브덴청[염화주석(Ⅱ)]법으로 발색시켜, 분광광도계로 측정하고 인산의 함유량을 안다.☞ 개인적 Q) 몰리브덴청[염화주석(Ⅱ)]법과 분광광도계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몰리브덴청[염화주석(Ⅱ)]법: 환경공학적 측면에서나 식품의 인 함량 등을 비색 정량하는 방법.- 분광광도계: 스펙트럼의 각 파장에 대하여 그 강도를 측정하는 것에서 물질의 분광 투과율, 혹은 분광 반사율을 구하는 장치이다. 보통 스펙트럼을 만드는 모노크로메이터, 측정 시료 및 표준 시료에...2022.06.19· 10페이지 -
숭실대 고분자 열적물성 결과 레포트 4페이지
고분자 열적물성-결과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사진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1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고분자 열적물성2. 실험 날짜 : 2021년 4월 27일 (목요일)3. 실험 목적 : 열분석 기기(DSC/TGA)를 사용하여 시료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분석해본다.4. 시약 및 기기 : PVAc/PLA blend film, Sample crimper press, TGA cell, Aluminium sample pan & liq5. 실험 방법1) 쿨러를 키고 질소 가스를 연다.2) 필름을 셀에 올려 ...2022.03.27·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