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파이널퀴즈 공부
본 내용은
"
수술실 파이널퀴즈 공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6
문서 내 토픽
  • 1.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 시 주의사항으로는 비만, 장기유착, 복부탈장, 저혈량성 쇼크, 복막염에 의한 장천송 등이 있다. 복강경 시 mild 트렌델렌버그 체위를 취하며, 복강경 카메라 케이블은 senisleeve로 씌운다. CO2를 3~4L 주입하여 복압을 12~14mmhg로 유지한다. 복강경 포트는 12mm 트로카로 구멍을 뚫는다.
  • 2. 복강경 기구 사용
    복강경 기구 중 응고 및 지혈에는 monopolar, bipolar를 사용하며, 조직결찰 시에는 Endo clip을 사용한다. 출혈 잡을 때는 Unipolar, Bipolar, Clip, 봉합 등을 사용한다.
  • 3. 수술 후 감염 관리
    스테로이드 약물은 섬유증식과정과 콜라겐 형성을 방해하며, 항생제는 농양에는 효과가 없다. 국소감염 시에는 괴사조직 변연절제, 배농, 이물질제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감염 시 침상안정, 염증의 부동화, 정맥성과 임파성의 배액증진, 부종 및 동통완화 등의 처치가 필요하다.
  • 4. 드레싱 종류
    드레싱 종류로는 거즈, 바세린, Loban, Opsite, Duoderm, Allevyn, 메디폼, 베타폼, Mepliex 등이 있다. 상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드레싱을 선택해야 한다.
  • 5. 국소마취제
    국소마취제로는 Marcaine, Lidocaine 등이 있다. Marcaine은 Lidocaine보다 심수축력 억제가 강하고 마취지속시간이 3배 길다. 국소마취 시 에피네프린을 혼합하면 지속시간을 연장시키고 지혈 효과가 있다. 단, 손가락, 발가락, 음경 등에는 사용하면 안된다.
  • 6. 척추마취
    척추마취는 지주강하강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교감신경 차단으로 인해 혈압이 떨어질 수 있다. 척추마취 금기증으로는 중추신경계 종양, 감염, 패혈증 등이 있다. 척추마취 시 감각소실 순서는 교감신경 → 표재성 동통 → 온도감각 → 진동과 위치감각 → 운동력 → 접촉감각 순이다.
  • 7. 경막외마취
    경막외마취제가 정맥으로 들어가면 전신중독, 심혈관계 허탈, 무호흡, 뇌경련, 무의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8. 수술 체위
    수술 체위에는 트렌델렌버그, 역트렌델, 좌위, 쇄석위, 복와위, 측와위, 잭나이프 등이 있다. 각 체위의 적응증과 주의사항이 다르다.
  • 9. 수술실 감염관리
    수술실 감염관리를 위해서는 수술 전후 혈당관리, 환자 정상체온 유지 등이 중요하다. 공기주의, 혈액주의, 접촉주의 등의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사용기구는 고압증기멸균법으로 멸균해야 한다.
  • 10. 수술 중 지혈제
    수술 중 사용되는 지혈제에는 Gelfoam, Surgicel, Avitene, Tisseel, Green plast Q, Cutanplast, Tachosil 등이 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지혈제를 선택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복강경 담낭절제술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담낭 질환 치료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술 방법입니다. 이 수술은 작은 절개창을 통해 수술을 진행하므로 환자의 회복 기간이 빠르고 통증이 적습니다. 또한 수술 후 흉터가 작아 미용적인 면에서도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 중 담낭 천공, 출혈, 담도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외과 의사에 의해 수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나 이전 수술 기왕력 등을 고려하여 수술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지만 수술 전후 관리와 합병증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2. 복강경 기구 사용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기구들은 매우 정교하고 정밀한 장비들입니다. 이러한 기구들은 작은 절개창을 통해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며, 정확한 조작과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합니다. 복강경 기구에는 카메라, 조명, 수술 도구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모두 수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진은 이러한 기구들을 숙련되게 다룰 수 있어야 하며, 기구 관리와 멸균 과정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복강경 기구의 정확한 사용은 수술의 성공과 환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중요하며, 기구 관리와 멸균 과정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입니다.
  • 3. 수술 후 감염 관리
    수술 후 감염 관리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후 감염은 창상 감염, 폐렴, 요로감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진은 수술 전부터 철저한 감염 관리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술실 환경 관리, 수술 전후 환자 관리, 항생제 사용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손 위생, 멸균 기구 사용, 무균 술기 준수 등이 중요합니다. 환자 또한 수술 후 상처 관리, 감염 증상 관찰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수술 후 감염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드레싱 종류
    수술 후 상처 관리를 위한 드레싱은 매우 중요합니다. 드레싱의 종류와 적용 방법에 따라 상처 치유 과정과 감염 예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레싱 종류에는 거즈 드레싱,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하이드로겔 드레싱, 폼 드레싱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드레싱은 상처의 특성과 치유 단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거즈 드레싱은 삼출물 흡수가 필요한 상처에,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은 육아 조직 형성이 필요한 상처에 사용됩니다. 또한 드레싱 교환 주기와 방법도 중요한데, 이는 상처 치유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결정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상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드레싱 선택과 관리가 수술 후 상처 치유와 감염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 5. 국소마취제
    국소마취제는 수술 시 통증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인 국소마취제로는 리도카인, 부피바카인, 프로카인 등이 있으며, 이들은 신경 전달을 차단하여 국소 부위의 감각을 차단합니다. 국소마취제는 주사 방법, 투여량, 농도 등에 따라 효과와 부작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숙련된 사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연령, 기저 질환,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국소마취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국소 반응, 전신 독성, 알레르기 반응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국소마취제는 수술 시 통증 관리에 필수적이지만,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 상태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 6. 척추마취
    척추마취는 수술 시 하복부, 하지 등의 통증 관리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마취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척추 주변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신경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통증을 억제합니다. 척추마취는 전신마취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낮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척추 천자 시 출혈, 신경 손상, 두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마취통증의학과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해부학적 특성, 기저 질환,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마취제 선택과 투여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척추마취는 수술 시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가능하게 하지만,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 상태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 7. 경막외마취
    경막외마취는 척추마취와 함께 수술 시 통증 관리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마취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척추 주변의 경막외 공간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신경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통증을 억제합니다. 경막외마취는 전신마취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낮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경막외 천자 시 출혈, 신경 손상,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마취통증의학과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해부학적 특성, 기저 질환,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마취제 선택과 투여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경막외마취는 수술 시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가능하게 하지만,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 상태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 8. 수술 체위
    수술 체위는 수술 과정에서 환자의 안전과 수술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체위는 수술 부위와 수술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앙와위, 측와위, 복와위, 쇄석위 등이 있습니다. 각각의 체위는 장단점이 있으므로 수술 목적과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체위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복강경 수술의 경우 앙와위가 주로 사용되며, 척추 수술의 경우 복와위나 측와위가 선호됩니다. 수술 체위 선택 시 환자의 안전과 편안함, 수술 접근성, 합병증 예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중 체위 변경이 필요한 경우 이를 신중히 수행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수술 체위는 수술 성공과 환자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9. 수술실 감염관리
    수술실 감염관리는 수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실 내 감염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먼저 수술실 환경 관리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 정기적인 청소와 소독, 공기 정화 시스템 운영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개인위생 관리, 멸균 기구 사용, 무균 술기 준수 등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후 환자 관리 역시 중요한데, 이를 위해 수술 전 피부 소독, 수술 후 상처 관리, 항생제 사용 등이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의료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도 중요합니다. 수술실 감염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수술 후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10. 수술 중 지혈제
    수술 중 지혈제는 출혈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혈제에는 화학적 지혈제, 기계적 지혈제, 생물학적 지혈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수술 부위와 출혈 양상에 따라 적절한 지혈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화학적 지혈제는 혈액 응고 과정을 촉진하여 출혈을 멈추게 하고, 기계적 지혈제는 상처 부위를 물리적으로 압박하여 지혈을 돕습니다. 생물학적 지혈제는 혈액 성분을 이용하여 지혈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러한 지혈제는 수술 중 출혈 관리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있으므로 의료진의 숙련된 사용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혈제 사용 시 환자의 기저 질환, 약물 상호작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수술 중 지혈제는 출혈 관리에 필수적이지만,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 상태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