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ever, hyperthermia의 발생기전 및 차이
본 내용은
"
fever, hyperthermia의 발생기전 및 차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25
문서 내 토픽
-
1. 체온 조절 기전인간은 주위 온도의 변화에도 체온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성(homeothermic)을 지닌다. 신체의 중심 체온은 정교한 체온 조절 시스템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러한 체온 조절 시스 템의 중추는 시상하부의 시각교차 앞 부위(preoptic region of the anterior hypothalamus, POAH)에 위치한다. 체온 조절 중추는 중심 체온을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범위 안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체열의 생산과 방출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
2. 발열(fever)의 발생기전발열은 면역자극에 대한 정상적 적응반응으로, 일중변동(daily variation)을 넘어서 체온이 증가한 것 또는 병리적인 자극의 결과로 인해 시상하부의 set-point가 상 승하게 된다. 열을 유발하는 물질을 발열물질(pyrogen)이라 하는데, 발열물질은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 추에 작용하여 set-point를 상승시키게 된다.
-
3. 고체온(hyperthermia)의 발생기전고체온(hyperthermia)은 체온조절중추의 발열점의 상승없이 중심체온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말한 다. 고체온의 경우 발열과 달리 set-point는 정상이나 체온이 기준점을 초과한 상태로 보통 신체나 외 부상황이 신체가 열을 소실하는 수준보다 더 많이 생산할 때 발생한다.
-
4. 발열(fever)과 고체온(hyperthermia)의 차이발열과 고체온의 발생기전에 있어서의 가장 큰 차이는 체온 조절 중추 중 set-point에 있다. 발열 (fever)은 set-point가 상승하여 시상하부가 열을 생산하려는 작용을 하며, 고체온(hyperthermia)의 경우 set-point가 정상인 상태에서 중심체온은 상승해 있기 때문에 시상하부는 set-point을 향하여 체 온을 낮추기 위한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
5. 아동의 발열 관리해열제(antipyretics)는 아동의 불편감을 감소시키며 체온을 1-1.5℃ 정도 하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열성경련으로 인한 응급상황, 고체온증 등에서는 해열제를 투여하는 것은 거의 효과가 없으므로 발열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투여하는 것은 아니다. 열을 떨어뜨리기 위한 물리적 치료(physical treatment)로는 미온수 목욕, 환경 온도 조절 등이 있다.
-
1. 체온 조절 기전체온 조절 기전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입니다. 체온은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에 의해 조절되며, 이는 신체 내부와 외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체온 조절 기전에는 혈관 수축/확장, 발한, 떨림 등 다양한 생리적 반응이 관여하며, 이를 통해 체온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됩니다. 이러한 체온 조절 기전의 이해는 발열, 고체온 등 체온 관련 질환의 이해와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
-
2. 발열(fever)의 발생기전발열은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 상승하는 현상으로, 주로 감염성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서 나타납니다. 발열의 발생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감염 병원체나 염증 매개물질이 체내에 유입되면 이를 감지한 면역 세포가 활성화됩니다. 둘째, 활성화된 면역 세포는 발열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합니다. 셋째, 프로스타글란딘은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에 작용하여 체온 설정점을 높입니다. 넷째, 이에 따라 체온 조절 기전이 작동하여 체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발열 기전에 대한 이해는 발열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지식이 됩니다.
-
3. 고체온(hyperthermia)의 발생기전고체온은 체온이 정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 상승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고체온의 발생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과도한 열 생산이나 열 축적으로 인해 체온 조절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둘째, 운동, 열대 기후 노출, 약물 부작용 등이 주요 원인이 됩니다. 셋째,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가 손상되거나 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고체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넷째, 체내 열 생산과 방출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서 체온이 상승하게 됩니다. 고체온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이므로, 신속한 체온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발열(fever)과 고체온(hyperthermia)의 차이발열과 고체온은 체온 상승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발생 기전과 특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발열은 감염이나 염증에 의해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가 체온 설정점을 높이면서 발생하는 반면, 고체온은 체온 조절 능력을 초과하는 과도한 열 생산이나 열 축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발열은 대개 38-41°C 범위의 체온 상승을 보이지만, 고체온은 41°C를 크게 넘어서는 심각한 체온 상승이 특징입니다. 또한 발열은 감염이나 염증의 치료로 해결될 수 있지만, 고체온은 신속한 체온 관리가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 이처럼 발열과 고체온은 발생 기전과 특성이 다르므로, 이를 구분하여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아동의 발열 관리아동의 발열 관리는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아동은 성인에 비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고, 발열에 따른 합병증 위험이 높기 때문입니다. 아동의 발열 관리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첫째, 발열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둘째, 해열제 투여, 수분 공급, 체온 모니터링 등 적극적인 발열 관리가 필요합니다. 셋째, 발열로 인한 탈수, 경련, 의식 저하 등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넷째, 발열 지속 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발열 관리 원칙을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고체온과 열 차이점 6페이지
목차Ⅰ. Hyperthermia1. 정의2. 원인3. 임상증상4. 치료Ⅱ. Fever1. 정의2. 원인3. 생리4. 임상증상5. 효과6. 사정(신체검진)7. 치료Ⅲ. 차이점Ⅳ. 참고문헌Ⅰ. Hyperthermia1. 정의발열과는 대조적으로 체온조절 중추의 열 조절점은 정상이지만 체온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겨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이다.2. 원인인체의 열소실 능력에 비하여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거나 열생산이 과도한 경우- 모유수유 중 수분섭취 부족 (조기 모유 황달 동반 가능)- 높은 외부 환경 온도 (옷을 여러겹 입거나, 더운 날씨, ...2023.03.17· 6페이지 -
기본간호학 의학용어 19장 체온유지 4페이지
NOFull-term(용어)약어뜻설명1intermittent fever간헐열하루 중 1℃ 이상의 온도 차이가 있고 24시간 주기를 보임2hyperthermia고체온열 생산을 억제하지 못하거나 열 소실이 제대로 되지 않아 체온이 계속 상승하여 지속되고 있는 상태3set-point기준점신체가 설정해 놓아서 체온조절기전이 유지하려고 하는 온도4cold therapy(cryotherapy)냉요법혈관수축으로 혈액순환을 감소시켜 상처조직에 압박을 주고 통증을 증가시키는 과도한 체액이 모이지 않도록 하며 무감각 효과로도 통증을 완화 시킴5shi...2021.10.30· 4페이지 -
기본간호학 Chapter 18 체온유지 학습보고서 5페이지
Chapter 18 체온유지1. 체온조절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 신경과 혈관조절체표면의 감각수용기는 대부분 피부에 분포하고 그 외 혀, 호흡기 등에 소수가 분포한다. 체내의 감각수용기는 복막, 척수, 큰 혈관 주위 등에 있는데, 피부체온보다는 심부체온(core temperature)에 반응 하며, 열보다는 냉감각을 더 잘 감지한다. 시상하부(hypothalamus)는 체내 심부체온을 조절하는 통합기(integrator)이다. ‘기준점(set point)’에 비교하여 체온을 조절한다. 시상하부의 열감각수용기가 열을 감지하면 열생산을...2022.02.12· 5페이지 -
아동간호실습 케이스 - 경부림프절염 14페이지
아동간호학 실습-case study-실습지**대학교병원 소아과 병동담당교수*** 교수님실습조* 조학번 / 이름목 차I. 문헌고찰1. 원인 및 유발요인2. 임상증상3. 검사소견 및 진단방법4. 치료5. 간호II. 간호사정1. 대상자 정보2. 임상관찰기록3. 진단적 검사 및 임상병리 검사1) 진단검사2) 영상검사4. 약물요법III. 간호과정1. 간호진단 도출2. 우선순위3. 간호과정1) 고체온2) 체액불균형 위험성3) 낙상 위험성IV. 참고문헌I. 문헌고찰▶진단명 : Cervical lymphadenitis1. 원인 및 유발요인-경부 ...2022.05.19· 14페이지 -
A+ 폐렴/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간호진단/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4페이지
영역내용간호사정주관적 자료객관적 자료- “머리가 지끈지끈해요.”- “몸에 힘이 없고 으슬으슬 한 것 같아요.”- “콜록콜록... 간호사 선생님 저 열 나는 것 같은데 체온 좀 재주세요.“- ”왜 이렇게 열이 안떨어지죠?“(1) 진단명 : 폐렴(Pneumonia)(2) 주증상 : fever, chilling(3) V/S 120/70-38.4-87-20으로 고체온과 빈호흡을 보임.(4) 얼굴이 붉게 상기되어 있음.(5) 피부 촉진 시 열감 있고 식은땀으로 앞머리가 젖어있음.(6) 몸을 웅크리고 떨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7) 혈액검사 ...2021.09.03·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