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의생명공학 레포트입니다.
본 내용은
"
나노의생명공학 레포트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9
문서 내 토픽
  • 1. Corona virus
    코로나바이러스는 27~32 kb 길이의 단일가닥 감염성 있는 양성 RNA 게놈을 가지며,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곤봉 모양의 Spike 단백질이 존재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은 숙주세포의 수용체와 비리온(virion)의 결합에 의해 개시되며, 바이러스 Spike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수용체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체 RNA로부터 replicase 단백질이 만들어지며, 비구조단백질(nsp3, nsp4, nsp6)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막 소포(DMVs)가 바이러스의 RNA 합성과 전사 과정에 관여한다.
  • 2. CRISPR/Cas System
    CRISPR와 Cas는 일부 세균 및 고세균의 유전체에서 일정한 서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CRISPR 부근에 핵산분해효소와 상동성을 가지는 단백질들이 존재하며, 이는 외부에서 유입된 유전물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획득면역기능을 담당한다. CRISPR/Cas 시스템은 3단계를 거쳐 외부 DNA를 분해하는데, 첫 번째 단계는 '적응'으로 파지 DNA가 세균내로 삽입되면 Cas 단백질이 proto-spacer를 획득하여 CRISPR array에 삽입한다. 두 번째 단계는 'crRNA 생성'으로 CRISPR array가 전사된 후 crRNA로 절단된다. 세 번째 단계는 '감염방해'로 crRNA-Cas RNP 복합체가 PAM이 존재하는 표적 DNA와 상보적인 염기결합을 이루어 DNA를 분해한다.
  • 3. Biosensor Configuration
    Biosensor는 Replication-based detection과 Transcription-based detection의 두 가지 구역으로 나뉜다. Replication-based detection은 Replication에 필요한 효소와 단백질을 이용하여 Corona viral DNA를 증폭하고, Transcription-based detection은 Transcription에 필요한 효소, 전사인자, 단백질을 이용하여 Corona viral DNA의 전사를 유도한다. 두 방식 모두 CRISPR/dCas9을 활용하여 Corona viral DNA에 결합하고, 이에 따른 Refractive index, Molecular weight, Fluorescent 신호 변화를 측정한다.
  • 4. Biosensor Principle
    Replication-based detection은 Corona viral DNA와 상보적인 Biotin-labeled Former Primer와 Cholesterol-labeled Reverse Primer가 결합하여 Replication이 일어나 ssDNA에서 dsDNA가 만들어지는 원리이다. CRISPR/dCas9은 Corona viral DNA의 PAM 서열에 결합하여 Replication을 조절한다. Transcription-based detection은 Corona viral DNA와 상보적인 Biotin-labeled Promoter가 결합하여 Transcription이 일어나고, ssDNA quenchered fluorescent ssDNA reporter가 Corona viral DNA에 결합하여 Fluorescent 신호를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CRISPR/dCas9은 Corona viral DNA의 PAM 서열에 결합하여 Transcription을 조절하고, AcrIIA4는 CRISPR/dCas9의 억제 작용을 통해 특이성을 높인다.
  • 5. Transduction
    Replication-based detection은 Refractive index와 Molecular weight의 변화를 Surface plasmon resonance Transducer로 측정하고, Transcription-based detection은 Fluorescent 신호를 측정한다. Fluorescent reporter는 thiol 화합물과 nitrothiophenol로 구성되어 있어, RNA polymerase에 의해 Transcription이 진행되면서 thiol 화합물이 nitrothiophenol을 제거하여 Fluorescent 신호가 발현된다. 이러한 Transduction 결과를 Threshold 값과 비교하여 Corona virus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Corona virus
    코로나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염병입니다. 이 바이러스는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며, 심각한 경우 폐렴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 사회적 거리두기, 백신 접종 등의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와 의료계의 적극적인 대응과 국제 협력이 중요합니다. 이 전염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연구와 함께 사회적 연대가 필요할 것입니다.
  • 2. CRISPR/Cas System
    CRISPR/Cas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이 기술은 정확성, 효율성, 비용 효율성 면에서 기존 유전자 편집 기술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CRISPR/Cas 시스템은 의학, 농업, 환경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큰 잠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기술의 안전성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CRISPR/Cas 시스템의 발전이 인류에게 더 큰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3. Biosensor Configuration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요소와 물리화학적 변환기를 결합한 장치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센서의 구성은 센서의 용도와 측정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수용체, 신호 변환기, 신호 처리 장치 등으로 구성됩니다. 바이오센서의 성능은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최적화를 통해 향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나노기술, 마이크로유체학, 전자공학 등의 발전으로 바이오센서의 소형화, 민감도 향상, 실시간 모니터링 등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바이오센서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은 의료, 환경, 식품 분야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Biosensor Principle
    바이오센서의 기본 원리는 생물학적 수용체와 물리화학적 변환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특정 물질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생물학적 수용체는 효소, 항체, 핵산, 세포 등 다양한 생물학적 요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특정 물질에 대한 높은 선택성과 감도를 제공합니다. 변환기는 이러한 생물학적 반응을 전기적, 광학적, 열적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할 수 있게 합니다. 바이오센서의 성능은 수용체와 변환기의 최적화, 신호 처리 기술, 마이크로 및 나노 기술 등의 발전을 통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센서 기술은 의료, 환경, 식품,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Transduction
    트랜스듀션은 바이오센서의 핵심 원리로, 생물학적 반응을 물리화학적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트랜스듀션 메커니즘에는 전기화학적, 광학적, 열적, 질량 변화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트랜스듀션 기술의 발전은 바이오센서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화학적 트랜스듀션은 빠른 응답 속도와 높은 감도를 제공하며, 광학적 트랜스듀션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또한 나노기술의 발전으로 마이크로/나노 크기의 트랜스듀서 개발이 가능해져 소형화, 집적화된 바이오센서 구현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향후 트랜스듀션 기술의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바이오센서의 성능과 응용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