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모델(모형)
본 내용은
"
사례관리모델(모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6
문서 내 토픽
  • 1. Early & Poertner의 사례관리 모형
    Early & Poertner의 사례관리 모델은 사례관리자의 역할에 초점을 둔 모형으로서, 치료자 사례관리자, 중개인 사례관리자, 기관 간 팀 사례관리자, 강점 관점 사례관리자 등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치료자 모델은 DSM-IV 진단체계를 활용하고, 중개인 모델은 서비스 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에 초점을 맞추며, 기관 간 팀 모델은 전문가 간 협력을 강조하고, 강점 관점 모델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잠재력에 주목한다.
  • 2. Ross의 사례관리 모형
    Ross(1980)는 사례관리의 주요 기능에 따라 최소한의 모델, 조정 모델, 포괄적 모델 등 3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최소한의 모델은 클라이언트 사정, 계획, 의뢰 등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하고, 조정 모델은 여기에 옹호, 직접적 케이스워크, 지지체계 개발, 재평가 기능을 추가하며, 포괄적 모델은 모니터링, 대중교육, 위기 개입 기능까지 포함한다.
  • 3. Moore의 사례관리 모형
    Moore(1992)는 지역사회의 자원 보유 정도와 서비스 통합 정도에 따라 사례관리 기능이 달라짐을 제안하였다. 자원이 풍부하고 서비스 통합 정도가 높은 경우 '마케팅 모형', 자원은 희소하지만 서비스 통합 정도가 높은 경우 '배분 모형', 자원은 충분하지만 서비스 통합 정도가 낮은 경우 '중개 모형', 자원과 서비스 통합 정도가 모두 낮은 경우 '개발 모형'이 적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Early & Poertner의 사례관리 모형
    Early & Poertner의 사례관리 모형은 사례관리 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이 모형은 사정, 계획, 중재, 평가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활동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정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자원을 파악하고, 계획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목표를 설정하는 등 클라이언트 중심적인 접근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재 단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강조하여 사례관리의 핵심 기능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모형은 사례관리 과정을 선형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실제 실천 현장에서는 각 단계가 순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례관리 실천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Ross의 사례관리 모형
    Ross의 사례관리 모형은 사례관리 과정을 보다 세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이 모형은 사정, 계획, 중재, 점검, 종결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활동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점검 단계를 별도로 두어 서비스 제공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또한 종결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자립을 지원하고 사례관리 과정을 평가하는 등 사례관리의 전반적인 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모형 역시 사례관리 과정을 선형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실제 실천 현장에서는 각 단계가 순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례관리 실천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Moore의 사례관리 모형
    Moore의 사례관리 모형은 사례관리 과정을 보다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이 모형은 사정, 계획, 중재, 점검, 종결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활동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정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자원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계획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목표와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 등 클라이언트 중심적인 접근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재 단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강조하여 사례관리의 핵심 기능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점검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종결 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자립을 지원하고 사례관리 과정을 평가하는 등 사례관리의 전반적인 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모형 역시 사례관리 과정을 선형적으로 제시하고 있어, 실제 실천 현장에서는 각 단계가 순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례관리 실천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과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