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n junction 에너지밴드
본 내용은
"
pn junction 에너지밴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4
문서 내 토픽
-
1. p-n Junction의 정성적 설명반도체 p-n 접합의 형성 원리를 정성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p-n 접합이 형성되면 n형과 p형 사이에 에너지 밴드의 휘어짐이 발생하여 에너지 장벽이 생성됩니다. 이 에너지 장벽으로 인해 전자의 이동이 제한되어 전류가 잘 흐르지 않게 됩니다.
-
2. p-n Junction의 정량적 설명p-n 접합부에서의 푸와송 방정식을 풀이하여 열평형 상태에서의 에너지 다이어그램을 도출하였습니다. 공핍층 내부의 전하 밀도 분포와 전계 분포를 분석하여 에너지 밴드 구조를 정량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
3. p-n Junction의 동작 모드p-n 접합부에 Forward Bias와 Reverse Bias를 인가했을 때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각각 도시하고, 그에 따른 수송자 전송 현상을 설명하였습니다. Forward Bias 시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전류가 잘 흐르지만, Reverse Bias 시 에너지 장벽이 높아져 전류가 잘 흐르지 않습니다.
-
4. p-n Junction Diode의 I-V 방정식p-n Junction Diode의 I-V 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Linear Scale과 Semi-Log Scale의 I-V 특성 곡선을 도시하였습니다.
-
5. Bias Voltage 크기에 따른 p-n Junction Diode의 동작 상태p-n Junction Diode의 'Log I - V' 특성 곡선을 분석하여, Bias Voltage 크기에 따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였습니다. 낮은 전압에서는 Diffusion Current가 지배적이지만, 높은 전압에서는 High Level Injection과 Recombination, Ohmic Effect 등의 메커니즘이 추가적으로 작용하여 전류 특성이 변화합니다.
-
1. p-n Junction의 정성적 설명p-n 접합은 반도체 소자의 기본 구조로, 전자와 정공이 만나는 접합면에서 다양한 전기적 현상이 발생합니다. 정성적으로 설명하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되면 접합면 근처에서 확산에 의해 전자와 정공이 서로 결합하여 공핍층이 형성됩니다. 이 공핍층에는 이온화된 불순물 원자만 존재하게 되어 전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전기장은 전자와 정공의 이동을 방해하여 접합면에서 전하 운반자의 재결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p-n 접합의 정성적 특성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 소자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2. p-n Junction의 정량적 설명p-n 접합의 정량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포아송 방정식, 연속 방정식, 전하 운반자 농도 방정식 등 반도체 물리학의 기본 방정식을 활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공핍층 폭, 전기장 분포, 전하 운반자 농도 분포 등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핍층 폭과 전기장 분포는 p-n 접합 다이오드의 정류 특성, 항복 전압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정량적 분석은 반도체 소자의 설계와 해석에 필수적이며,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
3. p-n Junction의 동작 모드p-n 접합 다이오드는 크게 순방향 동작 모드와 역방향 동작 모드로 구분됩니다. 순방향 모드에서는 p형 영역이 양극, n형 영역이 음극이 되어 전류가 흐르며, 역방향 모드에서는 그 반대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러한 정류 특성은 다이오드의 기본 동작 원리이며, 전자 회로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또한 p-n 접합은 항복 전압 이상의 역방향 전압이 가해지면 항복 현상이 발생하여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데, 이는 전압 조절기나 스위칭 소자 등에 활용됩니다. 이처럼 p-n 접합의 동작 모드에 따른 특성은 반도체 소자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4. p-n Junction Diode의 I-V 방정식p-n 접합 다이오드의 전류-전압(I-V) 특성은 다이오드 방정식으로 표현됩니다. 이 방정식은 다이오드의 동작 원리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것으로, 순방향 전압과 역방향 전압에 따른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이오드 방정식은 다이오드의 포화 전류, 열전자 방출 계수, 전하량, 볼츠만 상수, 온도 등의 물리량을 포함하고 있어, 다이오드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방정식은 다이오드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 태양전지 등 다양한 반도체 소자의 동작을 이해하는 데 기반이 되는 핵심 개념입니다.
-
5. Bias Voltage 크기에 따른 p-n Junction Diode의 동작 상태p-n 접합 다이오드의 동작 상태는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와 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p형 영역이 양극, n형 영역이 음극이 되어 전류가 흐르며, 이때 다이오드는 도통 상태가 됩니다. 반면 역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 차단 상태가 됩니다. 또한 역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항복 전압에 도달하여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는 항복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처럼 바이어스 전압의 크기와 극성에 따른 다이오드의 동작 상태 변화는 다이오드의 정류 특성, 스위칭 특성, 전압 조절 특성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LED(PN Diode) 측정 및 분석 실습 Report1. PN junction diode (LED) LED는 전자가 많아 음의 성격을 띤 n형 반도체와 전자의 반대 개념인 정공이 많아 양의 성격을 띤 p형 반도체의 이종접합 구조를 가진다. Forward bias를 가하면 전류가 흘러 발광을 하며, 에너지 준위차인 Band gap에 따라 빛의 색상이 정해진다. LED의 I-V 특성에서는 Forward bias...2025.01.12 · 공학/기술
-
금오공대 신소재 반도체공정 시험 정리1. 반도체 재료 Ge / Si Ge은 최초로 반도체에 사용한 물질로 Si보다 캐리어의 mobility가 높아 성질이 우수하지만, 성능이 금방 저하된다. Ge의 산화는 Si보다 빨라 산화로 인해 물질과 성질의 변형으로 오랜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이 큰 Ge보다 Si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Si은 Ge보다 안정성이 좋아 표면에서 산소와...2025.01.27 · 공학/기술
-
반도체 예비보고서1. 반도체 반도체는 상온에서 전기 전도율이 구리 같은 도체(전도체)하고 애자, 유리 같은 부도체의 중간 정도인 물질이다. 가해진 전압이나 열, 빛의 파장 등에 의해 전도도가 바뀐다. 일반적으로는 규소 결정에 불순물을 넣어서 만든다. 주로 증폭 장치, 계산 장치 등을 구성하는 집적회로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반도체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부도체처럼 동작하고...2025.05.10 · 공학/기술
-
각 모드에 따른 BJT 에너지 밴드 6페이지
NPN BJT에 대한 각 모드(Active Mode, Inverted Mode, Saturation Mode, Cutoff Mode)에서의 에너지밴드 다이어그램을 그리시오.먼저 npn BJT의 각 모드에 따른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그리기 위해 Equilibrium 상태의 에너지 밴드를 먼저 알아보고, 그 후 npn BJT에 대한 각 모드를 살펴보려고 한다.BJT란, Biopolar Junction Transistor로 2개의 PN 접합 구조로 되어있으며, n-p-n형, 혹은 p-n-p형이 있다. 총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2023.05.13· 6페이지 -
Schottky Contact 10페이지
1. Schottky Contact의 정성적 설명n형 반도체에 대한 Schottky Contact의 형성 원리를 정성적으로 설명하시오.먼저 Junction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게 되는데 같은 물질끼리의 접합을 하게 되는 Homo-Junction과 다른 물질들의 접합인 Hetero-Junction이 있게 된다. Homo-Junction의 대표적인 예로 PN-Junction이 있다면, Hetero-Junction의 예로는 바로 MS-Junction이 있다. MS-Junction은 Metal과 Semiconductor을 접합시킨 것으로 ...2023.05.13· 10페이지 -
BJT IV 특성 실험 레포트 7페이지
1. 서론이번 실습에서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의 I-V 그래프를 띄어보고 그에 따란 특성을 분석해 볼 것이다.먼저 BJT란, Biopolar Junction Transistor로 2개의 PN 접합 구조로 되어있으며, n-p-n형, 혹은 p-n-p형이 있다. 총 3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Emitter, Base, Collector이며 Emitter는 전류가 흐르게 하도록 전자를 주입하게 되고, Base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Collector는 Transistor에서 증폭된 전류...2023.05.13· 7페이지 -
Schottky Diode 전기적 특성 레포트 5페이지
1. 실험날짜- 2022년 12월 3일2. 실험제목- Schottky Diode 전기적 특성3. 예비이론(1) Schottky junction이전 시간에 살펴봤던 PN junction을 소자 즉, 다이오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External 바이어스를 인가해줘야 함을 상기할 수 있다. 또, 양쪽 끝에 도선이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Metal-Semiconductor junction이 만들어진다. 이를 MS junction이라 부른다.우리는 P-type/N-type 반도체의 에너지 밴드를 그리는 방법을 학습했다. 반면 Me...2022.12.05· 5페이지 -
[A+자료] 반도체 물성과 소자 8장~9장 정리 14페이지
• Zero bias : 열평형 상태의 pn junction 은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에서 수평한 E_F를 갖는다. 이때 전위 장벽 (qV_bi)이 생성되며 홀의 이동을 막는다.• Reverse bias : reverse bias 가 걸리면 p영역에는 -전압이, n영역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페르미 준위도 E_Fp, E_Fn 2가지로 변동된다. 이때 둘 사이의 거리는 V_R 만큼 추가되어 전위 장벽 (q(V_bi+V_R)) 이 더 높아져 전자와 홀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다.• Forward bias :...2023.07.17·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