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
본 내용은
"
자기주도적 학습지 (고등학교 지구과학_14_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1
문서 내 토픽
-
1. 화석의 종류화석에는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이 있다. 표준 화석은 생존 기간이 짧고 분포 면적이 넓어 지층의 생성 시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시상 화석은 생존 기간이 길고 분포 면적이 좁아 지층의 생성 환경과 기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고생대에는 삼엽충, 필석, 갑주어, 방추충 등이 표준 화석으로 사용되며, 중생대에는 공룡, 암모나이트가, 신생대에는 화폐석, 매머드가 표준 화석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사리는 온난 다습한 육지 환경을, 산호는 수온이 높고 수심이 얕은 바다 환경을 나타낸다.
-
2. 지질 시대의 구분지질 시대는 선캄브리아 시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구분된다. 선캄브리아 시대는 40억 년 전부터 시작되어 15억 년 동안 지속되었고, 고생대는 5.4억 년 전부터 2.9억 년 동안 지속되었다. 중생대는 2.5억 년 전부터 1.8억 년 동안 지속되었고, 신생대는 0.66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각 지질 시대에는 특징적인 화석이 발견되며, 이를 통해 당시의 생물 환경과 기후 변화를 해석할 수 있다.
-
3. 지층의 절대 연령 측정지층의 절대 연령은 방사성 원소의 붕괴 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성암 P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 X의 양이 처음의 1/2이라면 반감기가 1회 지났으므로 P의 절대 연령은 0.7억 년이다. 화성암 Q에 포함된 X의 양이 처음의 1/8이라면 반감기가 3회 지났으므로 Q의 절대 연령은 2.1억 년이다.
-
4. 지층의 상대 연령 파악지층의 상대 연령은 화석과 부정합면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층 A~D 중 가장 오래된 지층은 D이며, A 지층에서는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C 지층은 따뜻하고 얕은 바다 환경에서 퇴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지층의 생성 순서는 C→Q→B→A→P이며, 부정합면의 수가 3개 이상인 것으로 보아 이 지역에서는 최소 3회 이상의 퇴적 중단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1. 화석의 종류화석은 과거 생물체의 흔적이나 유기체 구조가 암석이나 퇴적물에 보존된 것을 말합니다. 화석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그 종류에 따라 과거 생물체의 형태, 생활 습성, 진화 과정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물 화석, 동물 화석, 미생물 화석 등이 있습니다. 화석은 지질학, 고생물학, 진화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화석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2. 지질 시대의 구분지질 시대는 지구의 역사를 시간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선캄브리아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등 크게 4개의 시대로 나뉩니다. 각 시대는 다시 세분되며, 이는 지구상에 출현한 생물체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질 시대의 구분은 지구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고, 과거 생물체의 진화 과정을 추적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지질 시대에 따른 지층의 특성과 화석 분포를 파악함으로써 지구 역사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
3. 지층의 절대 연령 측정지층의 절대 연령 측정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지층의 정확한 연령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지층의 형성 시기와 지구의 역사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우라늄-납 연대측정법, 칼륨-아르곤 연대측정법 등이 있습니다. 절대 연령 측정은 지질학, 고생물학, 고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이 기술의 발전은 지구 역사 연구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4. 지층의 상대 연령 파악지층의 상대 연령 파악은 지층의 형성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주로 지층의 중첩 관계, 부정합, 화석 등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에 있는 지층이 위에 있는 지층보다 먼저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화석의 종류와 분포를 통해 지층의 상대적인 연령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상대 연령 파악은 지층의 형성 과정과 지구 역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절대 연령 측정과 함께 지질학 연구에 필수적인 기법입니다.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_문제 풀이1. 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 이 자료는 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에 대한 문제 풀이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은 표준 화석, 시상 화석, 지층의 생성 순서, 지층의 절대 연령, 화석에 의한 지층의 대비, 부정합 등입니다. 이를 통해 지질 시대와 생물 진화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지질 시대와 생물 진화 이 자료는 지질 시대별 환경과 생물 진화...2025.05.07 · 자연과학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_개념 설명1. 화석 화석은 지질 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나 흔적이 지층 속에 남아있는 것으로, 뼈, 알, 발자국, 배설물, 기어간 흔적, 빙하나 호박 속에 갇힌 생물 등이 포함됩니다. 화석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생물체에 단단한 부분이 있어야 하고, 빨리 매몰되어야 하며, 화석화 작용을 거쳐야 하고, 지각 변동을 받지 않고 온전히 보존되어야 합니다. 2. 표준 화석과...2025.05.07 · 자연과학
-
지질시대 탐구 보고서1. 지질 시대 지질 시대는 지구가 이루어진 이후부터 역사 시대 이전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생물 계, 특히 동물계의 큰 변화를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지질 시대는 이언, 대, 기, 세, 지질 계통으로 세분화되며, 은생 이언과 현생 이언, 시생대와 원생대,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로 나뉩니다. 각 시대마다 특징적인 생물들이 출현하고 번성했습니다. 2. 은생 이...2025.05.11 · 자연과학
-
고등학교 지구과학1 평가계획서1. 지권의 변동 지권의 변동을 설명하는 이론인 대륙이동설이 해저 확장설을 거쳐 판구조론으로 정립되기까지의 역사적인 과정을 여러 가지 탐사 기술의 발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암석에 남아있는 고지자기 자료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륙 이동의 속도를 계산하고, 과학적 추론능력을 발휘하여 현재 대륙의 이동 속도 자료를 이용하여 미래의 대륙 ...2025.01.16 · 자연과학
-
고등학교 지구과학2 평가계획서1. 행성의 운동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따른 천체의 위치 변화를 지평 좌표와 적도 좌표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내행성과 외행성의 겉보기 운동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고, 지구중심설과 태양중심설로 행성의 겉보기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갈릴레이의 망원경 관측으로 알게 된 금성의 위상과 크기 변화를 지구중심설과 태양중심설에서 예측한 내용과 비교하여...2025.01.16 · 교육
-
지구과학1 평가계획서(평가기준안)1.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대륙이동설로부터 판구조론으로의 발전 과정을 탐사 기술의 발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대륙의 이동 속도와 미래 대륙 분포 예상, 판의 움직임과 마그마 생성 과정 등을 설명할 수 있다. 2. 지질 구조와 지층 해석 지층의 퇴적 구조와 다양한 지질 구조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지층의 선후 관계 해석 방법과 상대 연령, 절...2025.05.02 · 자연과학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_개념 설명 13페이지
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 - 개념설명 - 지구과학 Ⅰ 고등학교 | 자기주도적 학습 자료| 시작하기 학습목표 TODAY’S GOAL 지질 시대를 기 수준에서 구분하고 , 화석 자료를 통해 지질 시대의 생물 환경과 기후 변화를 해석할 수 있다 . 학습내용 TODAY’S CONTENTS [ 표준 화석과 시상 화석 ] [ 지질 시대의 구분 ]화석 | 학습하기 화석 ⑴ 의미 : 지질 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유해 나 흔적 이 지층 속에 남아있는 것 ( 뼈 , 알 , 발자국 , 배설물 , 기어간 흔적 , 빙하나 호박 속에 갇힌 생물 등 ) ⑵ 생...2023.05.10· 13페이지 -
고등학교 지구과학1 수업 자료(PPT)_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_문제 풀이 9페이지
- 문제풀이 - 지구과학 Ⅰ 고등학교 | 자기주도적 학습 자료 화석과 지질 시대의 구분화석 | 문제 풀이 A : 표준 화석 B : 표준 화석 C : 시상 화석 D : 표준 화석 ㄱ . 가장 오래된 지층 : B 또는 C ㄴ . 암모나이트 : 중생대 , 해성층 답 : ③ ⇨ 중생대 , 육성층 ⇨ 고생대 , 해성층 ⇨ 수심이 얕고 따뜻한 바다 ⇨ 신생대 , 해성층지층의 나이와 지질 시대 | 문제 풀이 지층 생성 순서 C 방사성 원소 X 의 반감기 : 0.7 억년 처음 양의 1 2 처음 양의 1 8 Q 의 절대 연령 : 2.1 억년 / P...2023.05.10· 9페이지 -
지질시대와 화석 4페이지
지질시대와 화석1. 지질시대의 구분2. 화석(fossil)1. 지질시대의 구분그림 1. 지질시대 도표그림 2. 스트로마톨라이트그림 3. 에디아카라 동물군그림 4. 필석 시대(era)는 크게 지질시대(geologic time scale)와 역사시대(historical time scale)로 구분된다. 역사시대가 1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라면 지질시대는 지구 탄생 이후 1만 년 전까지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기간을 포함한다. 지질 시대는 누대(Eon), 대(Era), 기(Period), 세(Epoch)로 구분된다. 하지만, 우리는 지질시대를...2022.03.29· 4페이지 -
지질시대 탐구 보고서 3페이지
지질 시대란 지구가 이루어진 이후부터 역사 시대 이전까지의 시대를 말하며 생물 계, 특히 동물계의 큰 변화를 지질 시대의 구분의 기준으로 삼는다. 즉, 지질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지각의 변동과 생물계의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지질 시대는 각 시대의 지층에 포함된 화석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크게 이언, 대, 기, 세, 지질 계통으로 세분화된다. 이언은 지질 시대의 가장 큰 구분 단위도 이언 혹은 누대라고 하며 은생이언과 현 생이언으로 구분된다. 은생 이언은 생물이 생존한 흔적이 전혀 없거나, 간혹 있다고 하더라도 판별하기 어...2023.07.19· 3페이지 -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Environment and organism of geologic time scale) 8페이지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 Environment and organism of geologic time scale지질시대 (geologic time scale) 지구 탄생 ( 약 46 억 년 전 ) 부터 역사시대 (1 만년 전 ) 까지 지질 시대 구분 단위 누대 (Eon) ↓ 대 (Era) ↓ 기 (Period) ↓ 세 (Epoch)선캄브리아 시대 ( precambrian era) - 대체적으로 온난 - 빙하 퇴적물 존재 → 추운 시기가 있었음 - 스트로마톨라이트 , 에디아카라 동물군 화석 - 시생누대와 원생누대로 구분 지질시대 (ge...2021.09.04· 8페이지